•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arming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2초

도농통합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지역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gropolitan C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박경훈;정성관;최원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47
    • /
    • 2000
  • 도시와 농촌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서 탄생된 도농통합시는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양상으로 인해 지역적 불균형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북도의 도농통합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지역특성 및 유형화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인구규모, 농업구조, 생활환경 등이 반영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인자분석을 적용한 결과, 개발지향적 인자, 농업적 인자, 생활환경적 인자, 미작적 인자, 과수적 인자가 추출되었고, 지역유형은 과수농업중심형, 중 소규모 농업형, 과소 침체 농촌형, 도시화 진행형, 도시 농촌 혼재형, 동남부해안 공업형으로 군집화되었으며, 지역유형구분의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적용한 결과, 제II, V, VI유형은 100%이고, 나머지 유형은 90%정도의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전략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trategy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 강기정;박수선;손서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33-45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strategy development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by analyzing fou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FSCs) i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2 to January 2013. Future directions for the four MFSCs are established based on a SWOT analysis o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centers. Various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four MFSC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analyses. For center A (urban type, college contract type), the strategic directions included the specialization strategy, systemization strategy, empowerment strategy,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achievement maximization strategy.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center B (urban-rural combined type, social welfare center contract type) included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e awareness, specialization strate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and networking strategy. For center C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type, direct management type by local authority), the strategic directions included the specialization strategy, activation strategy, qualification strategy, and networking strategy. For center D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type, social welfare center contract type), the strategic directions included the specialization strategy, business standardization strate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and network expansion strategy. The suggested management strategy development for the four MFSC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MFSCs in other areas in Korea.

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한 귀농인구 이동 분석 (Network analysis of urban-to-rural migration)

  • 이현수;노재선;정진화;장원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3호
    • /
    • pp.487-503
    • /
    • 2016
  • 귀농인구의 증가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한국농촌에서 경제 활성화의 단초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3년 귀농귀촌인 통계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방법을 사용해 귀농인구의 이동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중심도지표를 사용해 주요 귀농 거점지역을 파악하고 통계적 네트워크 모형을 사용해 귀농인구의 이동에 존재하는 경향을 살펴본다. 또한 latant distance model을 이용하여 거리가 귀농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과 도시지역 비교를 통한 연못형습지의 식생다양성 증진방안 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Urban and Rural Landscape for the Plant Diversity Improvement in Pond Wetland)

  • 손진관;공민재;강동현;남홍식;김남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2-74
    • /
    • 2015
  • 도시지역은 생태적 기능 쇠퇴 등 다양한 위협에 처해있다. 이러한 도시환경을 개선, 복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못형습지(Pond) 유형이 많이 조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의 반 자연형 습지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지역 습지의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수질환경 개선방안으로 인근 하천의 자연수를 유입하거나 강우의 직접유입을 제안하였다. 토양환경 중 토양산도, 유기물, 전질소 함량 등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과 차이가 나는 원인으로는 도시지역이 인공적인 수문공급, 고사체 제거, 인공토양, 방수재 사용 등을 제시하였고 개선방안으로 설계, 시공 시 자연재료 사용, 자연형 수문상태, 가을철 식물 방치 등을 제안하였다. 조사 대상지에서 출현한 식물상은 도시지역에서 35과 69종류, 농촌지역은 53과 142종류가 확인되었고, 평균은 도시지역 4개소는 18.5과 29.3종류, 농촌지역 4개소는 26.3과 53.5종류로 큰 차이로 분석되었다. 원인으로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일년생식물에서 차이를 거론할 수 있고 개선방안으로 일년생식물이 넓게 정착 할 수 있도록 토양 및 수질 등의 기반환경을 다양하게 조성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귀화식물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도시지역의 경우 출현한 식물 중 약 1/4이 귀화식물로 구성되었다. 또한 귀화율 평균이 17.4%로, 농촌지역 귀화율 평균인 7.7% 보다 큰 차이로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생활형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년생식물이 높게 출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식환경 조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지역 습지의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습지조성에서부터 높은 가치로 평가 될 수 있도록 배치, 재료, 서식환경 등을 고려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도시지역의 생물다양성 증진 및 개선을 위해 큰 역할을 담당 할 수 있는 연못형습지의 조성, 개선, 창출 등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도시텃밭과 옥상정원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물학적 안전성 조사 (Monitoring of Bio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Community Gardens and Roof Gardens in Korea)

  • 김진원;유용만;나원석;;최인욱;윤영남;이영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400-407
    • /
    • 2014
  • 도시농업은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수확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곳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과제에서는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내 도시텃밭 4곳과 옥상농원 6곳에서 채취한 배추 및 상추 260 표본을 대상으로 세균 및 기생충 오염수준을 정량적으로 혹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한 농산물에 부착되어 있는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1{\pm}0.8log\;CFU{\cdot}g^{-1}$(범위, $5.4{\pm}0.6-7.1{\pm}0.8log\;CFU{\cdot}g^{-1}$) 및 $4.0{\pm}0.7lo\;CFU{\cdot}g^{-1}$(범위, $2.3{\pm}0.6-6.1{\pm}0.9log\;CFU{\cdot}g^{-1}$)이었다.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59.6%에서 발견되었다. 농산물별로 분석 시 배추와 상추의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오염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농산물 재배 장소별로 분석 시 옥상농원에 비하여 도시텃밭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p > 0.05). 대장균은 전체 야채의 3.1%에서 발견되었으며, 오염수준은 $1.5{\pm}0.2log\;CFU{\cdot}g^{-1}$이었다. 식중독 유발 세균 중 황색포도상구균은 조사한 농산물의 1.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의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H7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2개의 배추 표본(전체 농산물의 0.8%)에서 미확인된 기생충란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내 도시농업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에서 세균학적 오염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재배 과정 중 생물학적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6개 시·군을 대상으로 -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Making of People Migrated to Rural Area for Farming - Case of Gyeongsangbuk-do -)

  • 우성호;이성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101-11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people who have returned to rural areas for farming and resid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return farmers of six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buk-Do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11th 2013. For data analysis, researchers used 280 answered sheets and utilized two-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which are pull to rural area, push from city, and policy factor. The highest scores of factor is pull to rural area (2.93), the second one is push from city (2.31), and the lowest score is politic factor (2.18). In addition, thes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are elucidated by environmental variable, economic variable, and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factor of pull to rural area is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 and the factor of push from city is affected by economic variable. Lastly, politic factor pertains to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신농촌개발을 위한 농학,공학적 정주생활권 모형의 개발(I) - 주민의 의식조사 - (Development of Rural Settlement Planning Model through Engineering and Agricultural Approach (I) -Analysis on Way of Thinking of Rural Residents-)

  • 김홍균;이신호;이홍주;전우정;정예표;조흥수;전영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4-74
    • /
    • 1992
  • The way of thinking of rural residents(Izuk-myun, Anseong-gun, Kyeonggi-do) was surveyed in order to develop the basic model of new rural setlement planning. From the data collected in this survey, rural life-style, farmers' view on traditional rural life, agriculture, farming, agri-policy, social attitude,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rural life, etc. were analyzed. Firstly, most of rural residents interviewed in this survey have the opinion of not leaving their home village if living conditions improved to a reasonable level in the near furture.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village affairs, they want to participate actively and equally. Secondly, in spite of their acceptance of agriculture as a vital sector destined to national security, most of them think that farming should be little of promise. Thirdly, they have the negative attitude to urban-oriented social value and also to the agricultural policy, while seeking consolation through human and traditional viewing of rural life style.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of new rural settlement model, idea-making should be directed to the betterment of communal value of village life, stability of rural economy, rationalization of rural life style and enhancement of rural-type happiness.

  • PDF

메소포타미아 고대도시의 변천과정과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Changing Process in Ancient Mesopotamia cities)

  • 이석우;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18-6127
    • /
    • 2012
  •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서기전 3800년경에 시작된 수메르 문명에서 시작하여 서기전 600년경 사라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문명에 이르기까지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중첩되며 발달하였다. 하기에 3000여년간 지속된 도시의 변화과정을 살펴봄은 초창기 인류문명과 도시에 어떤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이 시기에 있었던 30여개의 도시 중 13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도시의 기능이 농경문화에서 점차 상업, 무역, 군사기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도시의 위치가 도시기능과 연관되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점차 북부로 이동하고 있었고, 셋째 도시의 형태는 '텔' 이라는 구릉위의 도시형태가 점차 평지로 내려오고 있었고 나중에는 지형에 의지하지 않는 계획도시의 형태를 띄게 되었으며, 넷째 신전중심의 도시구조가 왕궁중심의 도시 구조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농복합시 농업기술센터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인식 연구 - 농업인과 비농업인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Awarenes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Role and Function in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 Focusing on Comparison of Awareness between Agriculturalist and Nonagriculturalist -)

  • 최수호;이승현;강은지;김용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1호
    • /
    • pp.79-92
    • /
    • 2015
  •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s an education center to provide agriculturalists with information and technology related with agriculture.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s changing, functions and rol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re evolving according to stream of times. In 1995, a new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was created for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rural area, As a result, user group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expanded to nonagriculturalists. Though the change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s necessary to perform extended functions of rural area and to satisfy needs of new group of users, it is difficult to find enough studies on new functions and rol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o manage the service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new functions and rol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ccording to stream of times. This study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targeting users of Namyang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o compare user group awarenes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 while main purpose of agriculturalists' visiting at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as participating in education programs related with agriculture. In contrast, nonagriculturalists usually visited the center for agricultural understanding, leisure activities, and children education, participating in field work programs. From the survey result of required functions of the center, it was revealed that nonagriculturalists expected urban agriculture, research for living improvement in rural area, adjustment education for returning farmer, and function of farming promotion, comparing agriculturalists. It is verified that this difference of user group awareness reflects the necessity that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hould change services and accept increasing use of nonagriculturalists with new functions and roles.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1999~2007) in Greenbelt Area, Seoul)

  • 최진우;이경재;노태환;민성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25-1034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of landuse and environmental value of cultivate land for eight years from 1999 to 2007 year in greenbelt area, Seoul. Greenbelt area decreased from $166.82\;km^2$ in 1999 to $156.50\;km^2$ in 2007 according to removal policy. Regarding landuse status in 2007, forest field area accounted for 64.16 %, dry paddy area 4.10 %, facilitated farming area 3.82 %, rice paddy area 2.95 % out of total greenbelt area. Cultivate land occupied wide spaces with dry paddy area, facilitated farming area, tree nursery in Seocho-gu, Gangnam-gu and Gangdong-gu. Changes of landuse were serious in Seocho-gu. The trend of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 is that rice paddy area was changed dry paddy area by laying the ground and dry paddy area was changed facilitated farming area for intensive agriculture. Rice paddy area could change without permission by laying the ground in below 50 cm height and it was changed to green houses due to increase in profit and modern policy of agriculture. It is nessary to monitor landuse regularly, improve regulation for change of landuse, compensate a property los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value in greenbel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