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limb Rehabilitation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3초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Upper Limb Reaching task on Upper Limb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송승일;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59-6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인 만 39세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팔 뻗기 과제는 6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1회당 30분간 실시하였다. 과제 전-후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중재 전 왼손 10개, 오른손 40개에서 중재 후 왼손 22개, 오른손 43개로 증가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중재 전 41점에서 중재 후 70점으로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팔 뻗기 과제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뇌졸중 후 상지 편마비 환자의 상지 게임재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에 대한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Clinical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Game Program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Using Smartphone: Preliminary Study)

  • 임현미;최윤희;백남종;구정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5-161
    • /
    • 2015
  • In the paper, we developed the mobile based rehabilit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and evaluated clinical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e sensors built in the smartphone were used to track patients' upper limb motion and the movements was transferred to the tablet PC through bluetooth connection so that the game contents could be interact with the movements. The rehabilitation game contents was based on Brunnstrom stage(B-stage), and was designed to lead accurate movement of upper limb. For the clinic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11 patients were recruited and make them perform an exercise of their wrist, shoulder, and forearm using the system for two weeks. The change of upper limb motor function was measured using fugl-meyer assessment(FMA), Brunnstrom stage(B-stage).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EuroQoL-5 Dimension(EQ-5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limb function but not in quality of life. We verified mobile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could be useful and effective for the clinical use.

스테레오비전 센서의 3D 궤적 정보를 이용한 상지 재활 동작 인식 (Recognition of Physical Rehabilitation on the Upper Limb Function using 3D Trajectory Information from the Stereo Vision Sensor)

  • 권기현;이형봉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13-119
    • /
    • 2013
  • 뇌졸중 및 척수 신경 손상으로 인해 재활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다. 재활 영역 중에서도 상지(上肢) 재활은 신경의 복잡도로 인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재활은 전문치료사가 시설에서 작업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나, 접근성, 상시성, 자발성 등에 대한 문제와 함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지 재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통해 취득한 3D 궤적정보에 대해 PCA, ICA, LDA, SVM의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을 구하고, 여러 패턴인식 알고리즘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제시한다. 실험결과, PCA, ICA는 인식정확도가 낮아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며 LDA, SVM은 인식정확도가 우수하여 상지 재활 동작 인식에 사용이 적합함을 보인다.

사지경근(上肢經筋)의 임상적 응용을 위한 기능적인 움직임 분석에 대한 고찰 (Review of Functional Kinematic Analysis for Clinical Application of Upper Limb)

  • 홍서영;송윤경;임형호;조현철
    • 대한추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1-26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meridian muscles and myofascial meridians of upper limb that relate with normal movement and getting a glass of water. We researched on analysis of normal articular movement and the related muscles. In addition this article is suggested to study about the Therapy with apply meridian muscles and myofascial meridian lines to upper limb's motor disturbance.

  • PDF

유방암 환자의 복합 상지병증에서 체외충격파치료의 유용성 (Feasibility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Complex Upper Limb Morbidity in Breast Cancer Patient)

  • 하민철;신지철;정유상;임상희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25-29
    • /
    • 2021
  • Upper limb morbidity including shoulder pain, lymphedema, adhesive capsulitis,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limited range of motions (LROMs) occurs frequently in breast cancer patients. Especially restricted upper limb motion aggravated by chronic lymphedema results in functional limitation and impair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However,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including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and stretching exercise is insufficient for managing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with complex upper limb morbidity. Here, we report a case of breast cancer-related chronic lymphedema in a 62-years old female with severe LROM in all joints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that caused severe disability in AD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ange of mo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observed after ser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combined wit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Therefore, ESWT might be recommended for managing the extensive limited joint motion which causes functional decline in a patient of chronic lymphedema with trophic skin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