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airway spac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이동 중 구급차에서 1급 응급구조사의 기관내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 of Paramedics in a Moving Ambulance)

  • 심규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92-5298
    • /
    • 2012
  • 본 연구는 이동 중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의 삽관자세 변화에 따른 시야의 높이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고 환자의 삽관자세 변화가 기관내 삽관의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심정지 및 외상성 응급 환자에게 효과적인 전문기도관리를 시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도 13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응급구조사 60(대조군30명, 실험군30명)명을 편의추출하여 시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 Version을 사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기도관리의 신속성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의 냄새맡기 자세와 주들것과 응급구조사 시트 사이 공간에서의 기관내 삽관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고 실험 후의 삽관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 하였으므로 전문기도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구급차 내에서의 삽관자세와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외과 영역에 있어서의 기관절제술 31 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TRACHEOSTOM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31 CASES)

  • 양윤석;민병국;민성기;엄인웅;김창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53-62
    • /
    • 1991
  • 기관절제술은 기도확보를 위해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행해지는 술식으로 1546년에 Brasabola에 의해 처음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기관절제술의 적응증으로는 상기도 폐쇄의 완화, pulmonary toilet의 촉진, dead space의 감소 및 mechanical ventilation의 장기 사용시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동안 term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1718년 까지는 "bronchotomy"란 term 이 사용되었고 그후 "tracheotomy"란 term 이 사용되었으나 1820년 이후에는 "tracheostomy"란 term 이 나오게 되어 현재 이 두가지 term 이 구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기도폐쇄를 야기시킬 수 있는 악안면 부위의 외상 혹은 여러가지 질병의 증가 추세로인해 구강외과의사가 기관절제술을 시행해야할 상황을빈번히 맞게 된다. 이에, 본 교실에서 기관절제술을 시행한 31 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해 숙련된 기관절제술 및 그 처치능력의 중요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문하 기관 및 기관누공 협착증에 대한 팽창성 금속 스텐트의 문제점 (THE PROBLEMS OF EXPANDABLE METALLIC STENT FOR THE TREATMENT OF SUBGLOTTIC TRACHEAL AND TRACHEOSTOMAL STENOSIS)

  • 홍기환;정경호;김중호;한영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3-221
    • /
    • 1996
  •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expandable metallic stents, the stents were implanted under endoscopic guidance with local anesthesia or general anesthesia for maintenance of the constructed subglottic space of trachea. The nine patients with respiration difficulty were subjected for expandable stents. The stenosis of upper airway were due to the framework problem of subglottic trachea and tracheostoma after total laryngectomy. Stents were constructed of 0.4 m stainless steel win in a zigzag configuration of 8 bends. A single stent was 20 m in diameter when fully expanded and 20 mm long. The stents were placed accurately to the stenotic site and followed to the 5 month after stent placement. The stenotic area became narrowed with overgrowing of granuloma in all patients and the metallic stents were removed and the stenotic area reconstructed surgically. As conclusion, this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the subglottic trachea showed simple and safe, but highly recurred due to overgrowing of granuloma. We suggest that the expandable metallic stent is not encouraging in this study.

  • PDF

Manage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Treacher Collins syndrome patient using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mandible

  • Damlar, Ibrahim;Altan, Ahmet;Turgay, Berk;Kilic, Soyd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88-392
    • /
    • 2016
  •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surgical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child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A 10-year-old girl with a past history of Treacher Collins syndrome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her parents for respiratory distress and insomnia. The patient was referred to a sleep laboratory where she was diagnos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which was a consequence of her Treacher Collins syndrome. The patient underwent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mandible was expanded by 15 mm using internal bilateral distractors.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the patient's respiratory problems resolved, and she was able to sleep comfortably.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an effective method of advancing the mandible, increasing the upper airway space and ultimately preven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patients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10년간 기관에 삽관되어 있었던 기관 절개관 1례 (A Case of Tracheostomy Cannula Inserted in the Trachea for 10 Years)

  • 김중환;오경균;정완교;이상기;김정배;길동석;서정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4-6
    • /
    • 1983
  • 기관 절개술은 상기도 폐색의 경감, 하기도 분비물의 제거, 사공의 감소 등을 위하여, 또는 보조 호흡의 수단이나 두경부 수술을 위한 선택적 수술로서 시행된다. 기관 절개술과 술후 처치에서 많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저자들은 2세 때 심한 두경부 화상으로 기관절개술을 받고, 10 년간 기관 절개관을 삽관한 채 지내다, 기관절개관이 삭아 부러져서 내원한 12세 남아 1 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종의 코골이장치 장착에 따른 인두공간의 변화 (Changes of the Pharyngeal Space by Various Oral Appliances for Snoring)

  • 조철배;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47-256
    • /
    • 2009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대부분 상기도의 인두부위의 폐쇄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 부위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혀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구강내 장치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종류의 코골이장치 즉,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MAA), 혀견인장치(tongue retaining appliance, TRA), 하악-혀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tongue retaining appliance, MATRA )가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Class I 교합을 갖고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이 없으며 체질량지수 (BMI)가 정상인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상기 세종류의 코골이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MAA, MATRA의 하악전방이동량은 5mm로 TRA, MATRA의 혀전방이동량은 10-20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코골이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CO상태와 MAA, TRA, MATRA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모두부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 두경부 자세, 연구개와 설골의 위치와 관련된 20가지 측정항목에 대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MAA, TRA, MATRA 모두 상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나, MATRA 만이 하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MATRA가 MAA와 TRA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의 기도 분석 (Airway analysis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손우성;백재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1-598
    • /
    • 2000
  • 본 연구는 순$\cdot$구개열자의 호흡과 발음, 그리고 안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완전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 78명(남성 48명, 여성 30명)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도 및 설골에 대한 전후방적, 수직적 거리 및 각도를 계측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춘기성장급등기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집단을 다시 남녀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계측된 자료들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설골 위치가 보다 낮아졌다. 2.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인두 용적에 관계된 CV3ia-APH, PNS-ad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adenoid감소와 하악의 전하방 성장과 관련된 것으로 사춘기 이후 호흡 및 발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3. 사춘기 성장급등기를 이후 남성에서 모든 계측항목이 여성보다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성별간 성장량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4.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전후 시기 모두에서 남성의 설골 위치가 여성보다 낮았다. 5.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성에서 CV3ia-APH수치가 매우 크게 증가했고, 이는 남성의 하악골 성장이 보다 커 악이복근등 근활성이 야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두개저 결손의 미세수술적 재건술 (Microvascular Reconstruction of the Cranial Base Defects)

  • 민경원;김인철;이민구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8권1호
    • /
    • pp.71-76
    • /
    • 1999
  • Until recently, the cranial base tumors were deemed unresectable due to the inability to diagnose the extent of the involvement accurately and to approach and excise the tumor safely. With refinements in CT and NMR scanning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techniques, reconstruction becomes absolutely crucial in allowing successful resection of these tumors. Resection of these tumors may sometimes result in massive and complex extirpation defects that are not amendable to local tissue closure. In such cases, the free tissue transfer was a useful alternative because it can provide large amount of well-vascularized tissues and reliable separation of intracranial space from bacterial flora of the upper airway. The microvascular free tissue transfer was used in 9 patients at our center to reconstruct the cranial base defects. Of these, 8 were free rectus muscle flaps, and 1 was free latissimua dorsi muscle flap. There were 1 case of partial flap loss and 1 case of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e large, complex defects were successfully reconstructed by one stage operation and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were satisfactory with acceptable complication rates.

  • PDF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children

  • Ahn, Young-M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0호
    • /
    • pp.872-879
    • /
    • 2010
  •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children is a frequent disease for which optimal diagnostic methods are still being defined. Treatment of OSA in children should include providing space, improving craniofacial growth, resolving all symptoms, and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in the adult years. Adenotonsillectomy (T&A)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and thought to solve young patient's OSA problem, which is not the case for most adults. Recent reports showed success rates that vary from 27.2% to 82.9%. Children snoring regularly generally have a narrow maxilla compared to children who do not snore. The impairment of nasal breathing with increased nasal resistance has a well-documented negative impact on early childhood maxilla-mandibular development, making the upper airway smaller and might lead to adult OSA. Surgery in young children should be performed as early as possible to prevent the resulting morphologic changes and neurobehavioral, cardiovascular, endocrine, and metabolic complications. Close postoperative follow-up to monitor for residual disease is equally important. As the proportion of obese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par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weight gain after T&A.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the anatomic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OSA leads to better overall treatment outcome.

동일한 상시 호흡량의 $N_2-O_2$ 및 Heliox 투여 시 가스교환지표의 비교 (Comparison of Gas Exchange Parameters between Same Volume of $N_2-O_2$ and Heliox Inhalation)

  • 손장원;임채만;고윤석;이종덕;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169-175
    • /
    • 1998
  • 연구배경: Heliox는 기도 저항이 증가된 환자에서 분시환기량의 증가와 호흡일의 감소로 인해 $PaCO_2$가 감소함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과 이외에도 최고 호기 유량비의 증가와 가스 분포의 호전에 의한 사강 호흡률의 감소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저자등은 공기($N_2-O_2$)호흡 시와 통일한 분시환기량과 호흡일의 조건에서 heliox투여로 $PaCO_2$가 감소하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 부전으로 기계호흡 중인 환자 중 기관지 천식이나 상기도 협착이 있으며 근 이완제 투여로 자신의 호흡일이 없는 8명(남 : 여 =5 : 3, 평균 6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각 15분씩 기저 $N_2-O_2$투여, heliox투여 및 washout순으로 진행하였다. Heliox는 Servo 900C기종의 저압입구(low pressure inlet)를 통해 공급하였다. 호흡 역학 지표는 CP-100 monitor(Bicore, USA)로 측정하였고 heliox 투여시 동일한 일호흡량 유지을 위해 $N_2-O_2$에 대한 상대유량 비로 상시 호흡량을 보정하였다. 사강 호흡률용 Bohr의 공식으로 구하였다. 결 과: 일호흡량, 분시환기량, 최고 흡기압 및 최고 흡기 유량 비는 $N_2-O_2$와 heliox투여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최고 호기 유량 비는 heliox투여 군에서 ($0.52{\pm}0.19$L/sec) $N_2-O_2$투여 군($0.44{\pm}0.13$L/sec)보다 높았다 (p=0.024). $PaCO_2$는 heliox투여 군 ($56.1{\pm}14.1$mmHg)이 $N_2-O_2$투여 군 ($60.5{\pm}15.9$mmHg) 보다 낮았고 (p=0.027), 사강 호흡률은 heliox투여군 ($71{\pm}10%$)이 $N_2-O_2$ 투여 군 ($73{\pm}9%$)보다 낮았다. 결 론: 분시환기량과 호흡일이 동일한 조건에서도 heliox투여 시 $N_2-O_2$투여에 비해 $PaCO_2$의 감소가 관찰되며 이는 사강 호흡률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