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ink Schedul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1초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FDD 시스템을 위한 낮은 복잡도의 안테나 선택 기반 MIMO 스케줄링 기법 (Low Complexity Antenna Selection based MIMO Scheduling Algorithms for Uplink Multiuser MIMO/FDD System)

  • 김요한;조성윤;이택주;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64-117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FDD 시스템에서 최적 성능을 보이면서 낮은 복잡도를 가지는 안테나 선택 기반 스케줄링 방식을 제안한다. 가장 복잡하면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인 Brute-Force 스케줄러(BFS)의 성능에 근접하면서 복잡도가 현저히 낮은 세 가지 스케줄링 방식을 제안하고 채널용량, 복잡도, SER 관점에서의 성능 비교를 보인다. 실험 결과 제안한 스케줄링 방식 중 CSS(Capacity-Stacking Scheduler)와 SOAS(Semi-orthogonal Antenna Scheduler) 방식은 낮은 복잡도를 유지하면서 BFS와 같은 성능을 보였으며, 좀 더 복잡도를 줄인 RC-SOAS(Reduced Complexity-SOAS)의 경우 안테나 수가 적은 경우에는 BFS 와의 성능차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케줄링을 하기 위한 안테나 채별의 집합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Full-Set(FS) 방식과 Sub-Set(SS) 방식을 비교하여, SS 방식을 통해 안테나 수가 적은 경우 성능 열화 없이 추가적으로 복잡도의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TDD/CDMA망에서의 업링크 트래픽을 위한 DiffServ 지원 스케줄러 설계 (A Design of DiffServ Supporting Scheduler for uplink traffics in TDD/CDMA Networks)

  • 장석구;김영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5호
    • /
    • pp.717-724
    • /
    • 2005
  • 본 논문은 다양한 요구조건을 가진 멀티미디어 클래스를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망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망 스케줄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줄러는 클래스 단위의 차등화된 서비스를 보장하면서 전송률을 높이고 패킷의 손실률을 낮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망은 TDD/CDM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였고, 특정 클래스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패킷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사용자별 전용 슬롯을 프레임 단위 내에 할당하여 처리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슬롯 할당은 물론 서로 다른 QoS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또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해서 기존에 제안된 스케줄링 방안과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안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특성 및 장점을 고찰한다.

이동통신 역방향 스케줄러에서의 고신뢰성 자원 할당 기법 (Reliability Constrained Resource Allocation in Cellular Network Uplink Scheduler)

  • 이성원;정광렬;박애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57-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역방향 전송이 전용회선 방식이 아닌 패킷 전송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에서의 고신뢰성 역방향 패킷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 기존 방안과 성능을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한다. 제안하는 고신뢰성 역방향 패킷 스케줄링 기법은 전송속도 혹은 처리용량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존 방식과 다르게 현재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연구 분야로 고려되는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분야에서, 단말의 위치 및 단말의 무선링크 상태에 독립적으로, 반드시 단말이 생성한 정보가 네트워크로 전송되어야 하는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제안되었으며,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방안이 기존 방안 대비 우수한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nergy-Efficient Scheduling with Delay Constraints in Time-Varying Uplink Channels

  • Kwon, Ho-Joong;Lee, Byeong-G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0권1호
    • /
    • pp.28-37
    • /
    • 200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roblem of minimizing the average transmission power of users while guaranteeing the average delay constraints in time-varying uplink channels. We design a scheduler that selects a user for transmission an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selected user based on the channel and backlog information of users. Since it requires prohibitively high computation complexity to determine an optimal scheduler for multi-user systems, we propose a low-complexity scheduling scheme that can achieve near-optimal performance. In this scheme, we reduce the complexity by decomposing the multiuser problem into multiple individual user problems. We arrange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each user such that it can be determined only by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n optimize the transmission rate of each user independently. We solve the user problem by using a dynamic programming approach and analyze the upper and lower bounds of average transmission power and average delay, respectively.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ser selection algorithm on the performance for different channel models. We show that a channel-adaptive user selection algorithm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under uncorrelated channels but the gain is obtainable only for loose delay requirements in the case of correlated channels. Based on this, we propose a user selection algorithm that adapts itself to both the channel condition and the backlog level, which turns out to be energy-efficient over wide range of delay requirement regardless of the channel model.

IEEE 802.16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링크 QoS 패킷 스케줄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plink QoS packet scheduler for VoIP service in IEEE 802.16 systems)

  • 장재신;이종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45-152
    • /
    • 2009
  • IEEE 802.16e 표준은 CDMA 기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안고 있는 장단점과 무선 LAN 시스템이 안고 있는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이동중인 단말에게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정된 WMAN 표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e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QoS 패킷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 NS-2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QoS 패킷 스케줄링 기법은 스케줄링 간격을 결정하는 부분, 스케줄링 시 대역할당 크기를 결정하는 부분, 그리고 스케줄링 대상이 다수 개일 경우에 어느 단말을 먼저 서비스할 것이지 서비스 순서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성능평가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UGS 서비스 기법에 비해 시스템 용량이 220%, ertPS 서비스 기법에 비해 시스템 용량이 25%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선 TDMA/TDD 시스템에서의 상.하향 링크 통합 페어큐잉 스케쥴링 (Uplink/downlink - combined Fair Queueing Scheduling for Wireless TDMA/TDD Systems)

  • 최효현;최명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93-96
    • /
    • 2002
  • Fair Queueing has been studied only on wired network. When it is applied to wireless netowork, the collision phenomenon makes a problem.'rho information of queue of MT cannot be transferred to fair queueing algorithm In real time easily. We propose wireless fair queueing scheduler that protects short term farirness and long term fairness. We developed it in TDMA/TDD enviroment. Our scheme also supports uplink and downlink at the same time. And it can make subframe boundary based on fair scheduling algorithm.

  • PDF

Adaptive Wireless Schedulers based on IEEE 802.11e HCCA

  • 정진우;김종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B호
    • /
    • pp.775-785
    • /
    • 2008
  • We identify the problem of the current IEEE 802. lie HCCA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Controlled Channel Access) scheduler and its numerous variations, that the queue information cannot be notified to the Hybrid Coordinator (HC) timely, therefore the uplink delay lengthens unnecessarily. We suggests a simple solution and a coupl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namely the Adaptive Scheduler with RTS/CTS (ASR) and Adaptive Scheduler with Data/Ack (ASD). They are both further elaborated to emulate the Deficit Round Robin (DRB) scheduler. They are finally compared with existing exemplary schedulers through simulations, and shown to perform well.

cdma2000-type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에서의 다중 QoS 서비스 보장을 위한 자원 관리 기술: Modified Weighted G-Fair 스케줄러 (Uplink Resource Management Scheme for Multiple QoS Traffics in cdma2000 type Networks: Modified Weighted G-Fair Scheduler with RoT Filling)

  • 기영민;김은선;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A호
    • /
    • pp.786-793
    • /
    • 2004
  • cdma2000 Ix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에서와 같은 자율적 전송률 제어 (ARC, Autonomous data Rate Control) 구조는 다중 QoS 환경에서의 다양한 QoS 보장 및 RoT (Rise over Thermal)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cdma2000 기반의 역방향 링크 시스템을 위한 자원 관리 기술로서, MWGF (Modified Weighted G-Fair) 스케줄러를 제안하고, 다중 QoS 서비스 환경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스케줄러는 QoS 요구를 고려한 우선 순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RoT-filling 기법을 이용해서 RoT 정규화를 보장함으로서 CDMA 시스템의 로딩 (loading)을 유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스케줄러는 자율적 전송률 제어 구조에 비하여, 약 29 - 40 % 정도의 실시간 서비스의 전송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보였으며, 약 1.0 - 1.3 dB의 낮은 평균 수신 RoT 레벨을 유지하여 낮은 시스템 로딩을 제공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낮은 시스템 로딩은 여분의 간섭량을 타 서비스 또는 타 셀에 제공하여 시스템 전체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FDD 기반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 상에서의 낮은 복잡도의 스케줄링 기법 (A Low Complexity Scheduling of Uplink Multiuser MIMO/FDD System)

  • 조성윤;김요한;김동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0-4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FDD를 기반으로 한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을 가정하였다. 실제 시스템 구현을 고려한 전송 기법으로 안테나 선택 기법과 송신 빔포밍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두 가지 전송 기법에 대한 시스템 모델을 설명하고 각각의 전송 기법에 대하여 최대 전송률에 도달하는 동시에 낮은 복잡도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스케줄러는 낮은 복잡도를 갖는 동시에 최대 전송률을 나타내는 Brute-force 스케줄러와 비교하여 성능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TDMA/TDD 기반 무선 ATM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MAC 프로토콜 (MAC Protocol for Multimedia Services in Wireless ATM Networks based on TDMA/TDD)

  • 임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99-90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DMA/TDD 기반의 무선 ATM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MAC 프로토콜로서 채널접속제어 알고리즘과 슬롯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요구하는 VBR 단말기는 임의접속 미니슬롯을 통하여 예약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예약에 성공한 단말기는 동적 매개변수 전달을 위한 미니슬롯을 통하여 경쟁 없이 동적 매개변수를 전송한다. 반면, 비실시간성의 버스트 트래픽 전송을 요구하는 ABR 단말기는 트래픽 버스트가 발생할 때마다 임의접속 미니슬롯을 통하여 슬롯을 요청한다. 기지국 스케줄러는 예약에 성공한 실시간 VBR 단말기들에게는 요청한 슬롯 수와 트래픽의 잔여수명을 기반으로 상향 데이터 슬롯과 동적 매개변수 전달용 미니슬롯을 할당하고, 비실시간 ABR 단말기들에게는 요청한 슬롯 수에 비례하여 상향 데이터 슬롯을 할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