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Soils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4초

마늘 재배지토양중(栽培地土壤中) SO4-2의 분포(分布) (The Distributions of SO4-2 in the Cultivating Soils of Garlic)

  • 장기철;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1-326
    • /
    • 1987
  • 황(黃)의 시비체계(施肥體系)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경북도내(慶北道內)의 마늘재배지(栽培地) 답(畓)과 전토양(田土壤)을 표토(表土)와 심토(心土)로 구분(區分)하여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이들과 $SO_4{^{-2}}$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토양중(土壤中)의 $SO_4{^{-2}}$ 평균함량(平均含量)은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에서 각각(各各)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72.1 및 45.1ppm,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53.1 및 19.5ppm이었다.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전질소(全窒素) 및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1%) 치환성(置換性) Ca 및 Mg의 함량(含量)(5%), 심토(心土)에서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Fe의 함량(含量)(1%),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 각각(各各)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는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외의 화학성(化學性)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Mg^{{+}{+}}$ 함량(含量)은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증가(增加)하였지만, $K^+$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다. $SO_4{^{-2}}$는 1m 깊이 까지는 많은 양(量)이 존재(存在)하였으나, 유효인산(有效燐酸)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으며 토심(土深) 60cm 이상에서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효인산(有效燐酸)만이 존재(存在)하였다.

  • PDF

토지이용 형태별 벌개미취의 생육 및 중금속 흡수능 (Growth and Heavy Metal Absorption Capacity of Aster koraiensis Nakai According to Types of Land Use)

  • 주영규;권혁준;조주성;신소림;김태성;최수빈;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4
    • /
    • 2011
  • 본 연구는 자생 벌개미취를 이용하여 다양한 토양에 오염된 중금속의 정화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 밭 및 수림지에 벌개미취를 식재하여 8주간 재배한 후 생육 및 중금속 흡수능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 밭 및 수림지에서 8주 동안 재배한 결과 벌개미취는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중금속 내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중금속에 오염된 다양한 토양에서 벌개미취가 흡수한 비소,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벌개미취는 5종의 중금속을 모두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 및 토성에 따라 흡수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비소, 카드뮴 및 구리의 경우에는 토양 내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이 높을수록 흡수능이 증가되었다. 납은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 보다는 토성에 의하여 흡수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질토인 수림지에서 흡수능이 가장 증가되었다. 아연의 흡수능은 토양 내 아연의 함량과 토성이 모두 영향을 미쳤는데, 고농도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과 밭에서 재배하였을 때 아연의 흡수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벌개미취는 중금속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다양한 중금속에 대한 흡수능이 우수하므로 중금속으로 오염된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 가능한 경관식물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적정수준 보다 각각 2.6배 및 2.3배 높았으며 대부분 토양 화학성분의 최소값과 최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 산록경사지는 토양 유효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미사질양토에서 곰팡이와 형광성 슈도모나스균 개체수가 사양토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이 28.4%, 제 2주성분이 20.1%로서 전체 48.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주성분은 토양의 세균 개체수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곰팡이 개체수와 정의상관을 보인 반면 세균 개체수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Mercury Contents of Medicinal Plants and the Cultivated Soils in Korea

  • Kim, Won-Il;Go, Woo-Ri;Hong, Chang-Oh;Kim, Kwon-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06-5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mercury in several selected medicinal plants and to fi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for production of safety food. Cultivat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collected at 29 sites for Angelica gigas (Korean angelica root), 68 sites for Platycodon grandiflorum (Balloon flower), 35 sites for codonopsis lanceolata (Deoduck), 36 sites for Dioscorea batatas (Chinese yam), 32 sites for Rehmannia glutinosa (Foxglove), 16 sites for Cnidium officinale makino (cnidium), and 26 sites for Astragalus membranaceus (milk vetch root) during the harvest season of 2013. Mercury in the soils and medicinal roots were analyzed with a Direct Mercury Analyzer.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soils cultivated medicinal plants was $0.023mg\;kg^{-1}$ (range: from 0.003 to $0.074mg\;kg^{-1}$) and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medicinal plants was $0.003mg\;kg^{-1}$ (range: from 0.001 to $0.011mg\;kg^{-1}$), indicating that mercury in the survey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not exceeded the Korean regulation.

A Field Experiment Study on the Use of OSMI Wave Bands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 Hong, Suk-Young;Rim, Sang-Kyu;Jung, Won-Ky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7-319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OSMI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whose central bands are 443nm, 490nm, 510nm, 555nm, 670nm, and 865nm,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Radiance measurements, used to determine per cent reflectance of canopies and soils, were acquired with spectro-radiometers (Li-1800;330∼1,100nm, GER-SFOV;350∼2,500nm, and MSR-7000; 300∼2,500nm) in situ for crops and indoors for soils. OSMI equivalent bands and their ratio values were prepared(20nm interval for bands 1∼5; 40nm interval for band 6) by averaging spectral reflectance values to the real OSMI bands and analyzed as to crop growth parameters, leaf area index (LAI), total dry matter, and growth index in crop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in soils. Spectral variations for each growth stage in rice and for crop discrimination in upland crop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soils, clay and water content,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free iron oxide, and some cation content were correlated with the OSMI equivalent ban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OSMI wave bands would be promising for agricultural application in terms of spectral information and resolution.

농업적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동 평가 (Decadal Changes in Subsoil Phys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Agricultural Land Use Types in Korea)

  • 조희래;장용선;한경화;옥정훈;황선아;이협성;김동진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67-575
    • /
    • 2018
  •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의 밭, 과수원, 논을 대상으로 토양물리성 특성을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밭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 심토 산중식 경도가 증가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감소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수원은 경운심이 증가하였으나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적정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은 4년 전보다 증가하였다. 논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이 증가하는 등 물리성 불량이 심화되었다. 최근 10년간 밭, 과수원에 비해 논의 물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는 주요한 요인은 토양유기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토양물리성 질 관리에 유기물은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특히 논에서 지속적인 유기물 관리와 경운방법 개선 등이 필요하다.

합성 Pyrethroid 계 살충제인 Bifenthrin의 토양환경중 동태 제1보. Bifenthrin 및 Cyhalothrin의 토양 및 수용액중에서의 분해양상 (Behavior of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 Bifenthrin in Soil Environment I) Degradation Pattern of Bifenthrin and Cyhalothrin in Soils and Aqueous Media)

  • 김장억;최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1992
  • 합성 pyrethroid계 살충제의 화학구조중 alcohol부분이 2-methyl biphenyl 그룹이 있는 bifenthrin과 ${\alpha}$-cyanobenzyl ester 그룹이 있는 cyhalothrin의 분해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토양의 환경조건을 호기적, 혐기적 및 살균조건으로 하였을 때와 pH를 변화시킨 수용액중에서 분해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fenthrin의 호기적 토양조건에서의 분해반감기는 칠곡 및 복현 토양에서 85.1 및 61.2일이었으며 cyhalothrin은 각각 54.6 및 32.2일로서 유기물함량이 많은 복현토양에서 두 약제 모두 분해가 빨랐다. 두 약제 모두 혐기적 조건 및 살균 조건의 토양에서는 매우 느린 분해양상을 보였다 Bifenthrin과 cyhalothrin의 분해는 주로 호기성 미생물이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약제간에는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분해반감기가 30일 정도 빨랐다. 수용액의 pH가 10인 알카리성 조건에서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상당히 빨리 분해되 었으며 pH 2 및 6의 산성조건에서도 두 약제 모두 분해가 지연되었다.

  • PDF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for Phytophthora sojae Resistance with the Two Races Collected from Main Soybean Production Area in Korea with 210 Soybean Natural Population

  • Beom-Kyu Kang;Su-Vin Heo;Ji-Hee Park;Jeong-Hyun Seo;Man-Soo Choi;Jun-Hoi Kim;Jae-Bok Hwang;Ji-Yeon Ko;Yun-Woo Jang;Young-Nam Yun;Choon-Song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2-202
    • /
    • 2022
  • Recently days, soybean production in paddy field is increasing, from 4,422 ha in 2016 to 10,658 ha in 2021 in Korea. It is easy for Phytophthora stem and root rot (PSR) occurring in paddy field condition, when it is poorly drained soils with a high clay content, and temporary flooding and ponding. Therefore PSR resistant soybean cultivar is requi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QTL region and candidate genes relating to PSR resistance of the race in main soybean cultivation area in Korea. 210 soybean materials including cultivars and germplasm were used for inoculation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Inoculation was conducted using stem-scar method with 2 replications in 2-year for the race 3053 from Kimje and 3617 from Andong. 210 materials were genotyped with Soya SNP 180K chip, and structure analysis and association mapping were conducted with QTLMAX V2. The results of inoculation showed that survival ratio ranged from 0% to 96.7% and mean 9.7% for 3053 and ranged from 0% to 100% and mean 7.6% for 3617. Structure analysis showed linkage disequillibrium (LD) was decayed below r2=0.5 at 335kb of SNP distance. Significant SNPs (LOD>7.0) were identified in Chr 1, 2, 3, 4, 5, 11, 14, 15 for 3053 and Chr 1, 2, 3, 7, 10, 14 for 3617. Especially, LD blocks (AX-90455181;15,056,628bp~AX-90475572;15,298,872bp) in Chr 2 for 3053 and 3067 were duplicated. 29 genes were identified on these genetic regions including Glyma.02gl47000 relating to ribosome recycling factor and defense response to fungus in Soybase.

  • PDF

원추형 탐침봉을 이용한 밭작물 유효근권심 현장 진단 (In-situ estimation of effective rooting depth for upland crops using hand penetration of cone probe)

  • 한경화;장용선;정강호;조희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3호
    • /
    • pp.183-189
    • /
    • 2015
  • Plant root penetration through soil profile is restricted by compacted layer such as plow pan under conventional tillage. For detecting the compact layer, we made a graduated T-shape probe and measured compared between the depths with rapid change in feeling hardness of hand penetration using T-shape probe and with a rapid increase of penetrometer cone index. On upland crops, including red pepper, corn, soybean and cucumber, plow pan depth ranged from 10 cm to 25 cm depth. The effective rooting depth (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low pan depth (PP) except soils with the shallow ground water and/or poorly drained soil. The regression equation was ER = 0.9*PP ($R^2=0.54^{**}$, N = 14) with the applicative PP range of 10-25 cm.

A Study on Chemical Speciations and Leaching Potential of Heavy Metals in Polluted Wastes Soils

  • Kim Hee-Joung;Yang Jae-E;Park Byung-Kil;Kong Sung-Ho;Lee Jai-Young;Jun Sang-H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3호
    • /
    • pp.1-8
    • /
    • 2005
  • 석탄저장소, 텅스텐 광산의 광미, 고철 제련장내의 오염된 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의 존재형태와 용출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석탄저장소와 광미, 제련장 지역 내 토양의 중금속 농도는 논과 비 오염지역의 산 토양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reducible, organic과 residual fraction이 높게 나타났다. 오염되지 않은 토양의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residual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용출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오염되지 않은 토양보다는 오염된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H 7.0 보다는 pH 4.0에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오염 된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의 용출은 Cu, Zn, Pb 등이 용출시간이 25시간 또는 35시간에 유사 평형에 도달했다. 오염되지 않은 토양의 낮은 용출은 중금속의 존재형태 중 높은 residual fraction의 비율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