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wanted child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초

원치 않은 임신에 대한 아이의 부양비 (The Cost of Child Rearing for Wrongful Conception)

  • 봉영준
    • 의료법학
    • /
    • 제12권2호
    • /
    • pp.219-263
    • /
    • 2011
  • "Wrongful conception" is a medical malpractice claim in which the plaintiff is the parent of a normal, healthy infant whose conception was unplanned and unwanted. Medical malpractice in wrongful conception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failure to properly perform a surgery, or a physician's negligent handling of a patient's problems. In the concrete, wrongful conception cases fall into two categories; those involving pre-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ed contraceptive, sterilization or failing of the controlling of embryo-number on the IVF, and those involving post-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ure to diagnose a pregnancy or to perform an abortion procedure. In addition, Medical malpractice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When bad results occur by medical malpractice or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is decided by a traditional civil liability law. However the calculation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is not easy because the high value of life is included in that case. So many courts opinions in foreign country and Seoul High Court decision in 1996 allow damages for the pregnancy, birthing process and sterilization costs, but refuses to allow damages for child rearing expenses. As to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one approach says that to allow damages in a suit such as this would mean that the physician would have to pay for the fun, joy and affection which plaintiff will have in the rearing and educating of the plaintiff's baby. To allow such damages would be against the dignity of the baby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nother approach says that damages are recoverable for all expenses related to child birth as well as for child rearing costs. Because the damages that the parents should bear a burden to the tort damage done is not a baby itself but child rearing cost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baby is healthy or not, economic burden of the parents can not be disregard. And denial of compensation for costs of child rearing may invalidate the role of liability law, grant the physician with a exemption certificate of liability. As a result, the medical field of procreation can be easily isolated from a liability of reparation. Therefore, on the liability law like the other medical malpractice action, parents who became pregnant or gave a birth by physician, wrongfully performed sterilization operation, etc. should be compensated for all damages relevant to unplanned and unwanted conception or birth as well as costs of child rearing.

  • PDF

소아청소년정신과 영역의 약물치료 : 비전형항정신병약물 (Pharmacotherapy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Field: Atypical Antipsychotics)

  • 유한익;백경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2호
    • /
    • pp.89-103
    • /
    • 2008
  • Although the scientific evidence is not entirely supportive,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been used widely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ental illnesses as alternatives to typical antipsychotics which have more serious unwanted adverse effects than atypical neuroleptics. On the basis of clinical experiences and research data,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been prescribed for adolescents with schizophrenia, manic or mixed episodes of bipolar disorders, tic disorders, aberrant behaviors i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mpulsive or violent behaviors in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Due to their efficacy and relatively more tolerable side effects, the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Howe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short-term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lack of well-designed controlled studies, especially in terms of adverse effects including those involving metabolic processes.

  • PDF

강점관점으로 본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s Model-based Parenting Experience of the Children with ADHD)

  • 최말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325-355
    • /
    • 2012
  •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0년 4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약 12개월동안 14명의 ADHD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강점관점으로 본 ADHD 아동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은 '완주를 위해 자신과 싸우는, 원하지 않는 마라톤'을 위해 달려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어머니의 강점관점으로서의 경험 본질은 '그래도 이쁜 내새끼와 함께하기 위한 힘을 찾아가는 여정'인 마라톤이었으며 그 경험은 시 공간적으로 8가지로 구성되었다. 처음 아이의 독특한 행동들을 겪으며 '혼란의 연속'속에서 'ADHD진단의 먹먹함'을 경험하지만 '엄마라는 운명'에 아이를 위한 총체적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그 과정에서 '총알이며 은총인 선생님의 말'에 절망과 감사함을 경험하면서 엄마들은 원하지 않은 마라톤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포기할 수도 없는 완주를 향해 달려가는 외로운 전투를 하면서도 내아이를 위해, 나를 위해 '그래도 긍정적으로' 살기로 한다. 하지만 자식을 위해 자신을 독려하지만 쉬운 과정은 아니다. 그럼에도 아이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전문가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버텨내는 힘'을 얻게 된다. 평범하지 않은 아이를 키우는 게 힘들고 '현재진행형이지만 그래도 이쁜 내새끼를 위하여' 오늘도 엄마는 아이와 함께 완주를 위해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도착점'이 다시 '출발점'이 된다하더라도 달려갈 수밖에 없는 마라톤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ADHD 어머니와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과제를 제언하였다.

  • PDF

근린생활권의 육아환경 요소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arly Childhood's Mothers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Elements in the Neighborhood - Focused on Songpa-gu, Seoul -)

  • 이주림;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ho live in APT and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hers in order to surve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for child-rearing.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PA by hous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natural environment and playground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multi-family housing area. the mothers need soundproofing of house and management of unwanted facilities in neighborhood in common. In the apartment,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ren's library is required. The results of IPA on the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child-rearing environment improvement.

소아 안면열상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한 봉합술 (Convenient Suture Technique for Pediatric Facial Lacerations)

  • 김준형;권순범;어수락;조상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496-498
    • /
    • 2010
  • Purpose: Lacerations requiring formal wound closure compose a significant number of all childhood injurie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problem with conventional suture technique are that suture removal is quite cumbersome, especially in children. Unwanted soft tissue damage can result in the process of suture removal, which calls for sedation, stressful for both medical personnel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venient suture technique for pediatric facial lacerations. Methods: Children under the age of four,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facial lacerations were enrolled in the study. From March 2008 to June 2009, 63 patients (41 males and 22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1.4 years were treated with our convenient suture technique using utilized a loop suspended above a double, flat tie. Clean, tension free wounds were treated with our technique, wounds with significant skin defect and concomitant fractures were excluded. Results: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in 1, 3 and 5 days postoperatively. On the third hospital visit, suture removal was done by simply cutting the loop suspended above the wound margin and gently pulling the thread with force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s of infection and dehiscen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suture technique. Conclusion: The use of our technique was to be simple with similar operative time compared with conventional suture technique. Removal of suture materials were easy without unwanted injuries to the surrounding tissue which resulted in less discomfort for the patient and greater parental satisfaction, minimized the complications. It can be considered as a viable alternative in the repair of pediatric facial lacerations.

영아살해와 임신거부증을 주소로 내원한 경계선 인격장애의 치료사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Infanticide and Denial of Pregnancy : A Case Report)

  • 정세미나;백기청;이준형;김경민;도진아;임명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1-166
    • /
    • 2012
  • Though infanticide, killing the baby after birth of the neonate and denial of pregnancy, are very rare psychiatric disorder, they have been receiving a lot of social concerns. We report and review infanticide and denial of pregnancy administration in a 19 year-old adolescent with bipolar disorder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with a young age, cognitive immaturity, an unwanted child, hid the pregnancy fac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patient's impulsivity and emotional instability is affecting infanticide. After inpatient care with pharmacotherapy (escitalopram 20mg, alprazolam 1.5 mg, clonazepam 0.5 mg, valproate sodium 1,100-1,300 mg, and quetiapine 100-400 mg) and supportive psychotherapy, a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소아청소년 정신과병동 입원아동의 학대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ABUSE IN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수경;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45-157
    • /
    • 1999
  • 이 논문은 소아청소년 정신병동에 입원한 아동에서 신체적,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동반된 아동을 선별하여 이루어졌다. 입원 아동중 이에 해당하는 아동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았으며 학대가 아동의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고 가족의 특성과 발달과정에 따른 영향이 서로 상호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어 특징적 증상과 발달력, 학대의 특성, 학대자의 특성, 가족역동, 정신병리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 중 주치의의 면담과 병록지를 참조하여 학대와 방임이 뚜렷하다고 판단된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 아동의 인구학적 특징:성별은 남아가 1:6.3의 비율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평균연령은 $11.1{\pm}2.5$세였다. 형제순서는 첫째가 12명(54.5%), 둘째 5명(23%), 셋째는 2명(9%)이었고 독자는 3명(13.5%)이었다. 2) 가족의 특징:사회경제적 상태는 중상 3명(13.5%), 중 9명(41%), 중하 9명(41%), 하 1명(0.5%)이었다. 가족 수는 3인 이하 3명(13.5%), 4∼5인이 17명(77.5%), 6∼7인 2명(9%)이었다. 부가 직업이 있는 경우는 18명(81.8%)이었고 모가 직업이 있는 것은 7명(32%)이었다. 결혼상태는 이혼과 별거가 5명(23.0%), 재혼 2명(9%)이었고 심각한 부부불협화는 19명(86.5%)에서 보였다. 부에서 반사회적 행동은 7명(32%), 알콜 중독은 10명(45.5%)이었다. 모의 알콜남용이 5명(23%)이었고 우울은 17명(77.3%)에서 보였으며 정신과 진료력이 6명(27%)에서 있었다. 3) 학대의 특징:신체적 학대가 18명(81.8%), 신체적 방임과 정서적 방임은 4명(18.2%)이었다. 학대 시작시기는 3세 이전이 15명(54.5%) 3세 이후가 5명(27.5%), 학령기가 1명(5%)이었다. 학대가 부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2명(9%)이었고 모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으며 부모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다. 배우자 구타가 동반된 것은 7례(27%)에서 였고 배우자 학대의 피해자는 자녀에 대해 신체적 학대나 정서적 학대를 가하고 있었다. 형제자매가 같이 학대를 받고 있는 것은 4명(18.2%)이었다. 4) 학대아동의 일반적 특징 및 발달력:원하던 아이로 태어난 것은 10명(45.5%)이었고 원하지 않는 아이로 태어난 아동이 12명(54.5%)이었다. 학대이전에 언어나 운동발달상의 이상을 보인 아동은 9명(41%)이었으며 공존하는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은 모두 15명이었는데 이들 중 학대이전에 뚜렷한 발달지체의 증거가 없었던 경우는 6명(27.5%)이었다. 또 학대이전 과잉운동을 보인 아동은 9명(41%), 키우기 어렵게 지각한 아동이(difficult child) 6명(27.5%)이었다. 뇌파의 이상소견은 5명(23%), 두뇌의 컴퓨터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술 이상소견은 4명(18.2%), 벤더-게스탈트검사에서 기질성 뇌장애를 의심할만한 소견은 14명(63.5%)에서 보였다. 지능검사의 결과는 평균이상 IQ는 12명((54.5%), 지능지체 및 경계선 지능은 9명(41.0%)이었다. 5) 주 진단 및 공존진단:주 진단으로는 행실장애가 6명(27.3%), 경계선장애(borderline child) 5명(23.0%), 우울병 4명(18%),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4명(18%),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2명(9%), 선택적 함구증 1명(5%)이었다. 모든 대상 아동이 주 진단 이외의 2∼6개 이상의 다양한 공존진단을 보였다. 공존진단에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우울병, 경계선지능 및 정신지체, 학습장애, 언어발달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만성 틱장애, 기능성 유뇨증과 유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불안장애, 해리 장애, 기질성 성격장애순이었다. 6) 치료경과:이들 아동의 입원기간은 평균 2.4개월(${\pm}1.5$)이었고. 이들 중 권유에 의한 퇴원은 14명(63.5%), 조기거역퇴원은 6명(27.3%)이었고 증상의 호전을 보인 것은 모두 11명(50%)이었고 변함이 없는 경우도 11명(50%)였다.

  • PDF

영유아 무인 관리 시스템 (Infants Manless Management System)

  • 민영귀;권광민;이언조;박상준;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3-416
    • /
    • 2017
  •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의 발달이 최근 우리 삶에 서서히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흐름을 토대로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는데 영유아의 위험을 감지해주는 기능적 측면으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고 파악이 되었다. 일상에서의 생활소음 및 가사활동으로 인해 아이들을 위험으로부터 감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점차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여러 소음으로 인해 아이의 돌발행동을 감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위험을 방지하고자 이를 라즈베리파이와 시청각 센서 모듈을 가지고 개발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를 Wifi 신호를 통해 스마트폰 앱과 연동을 구현시켜 더욱 보호자들에게 편의를 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아동기 경계선 장애 : 8증례 (BORDERLINE DISORDER OF CHILDHOOD : 8 CASES)

  • 홍강의;이정섭;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3-17
    • /
    • 1995
  • 아동에서의 경계선 장애는 현실감각의 불안정, 대인관계의 장애, 충동조절의 장애, 심한 기능의 변동, 발달상의 불균형, 불안등을 보이며 현재의 진단 체계로는 진단하기 어려운 환아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Bemporad등과 Vera등이 제안한 '경계선 아동'에 부합하는 7세에서 11세 사이의 8명의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37개의 병인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인 특징으로는 모든 환아들이 다 남아였으며, 현재의 진단체계에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웠고, 공존정신과적인 진단이 많았다. 주소는 산만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다는 것이 많았다. 현실과 환상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한 것과 사고의 장애가 특징적인 증상이었다. 2) 심리학적 및 신경생리학 검사상 지능은 보통수준이었으며,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 투사법 검사에서는 사고 장애의 지표는 보였으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공격성이 심하였다. 반수에서 주의력 검사상 주의력결핍을 시사하였다. 기질적인 요인은 뚜렷하지 않았다. 3) 발달력 및 가족력상 원하지 않았던 아이가 많았고,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으나, 양육방식에 중등도의 문제가 있었다. 부모간에 불화가 많았고, 사회 경제적으로는 중하가 많았다. 언어발달은 대부분에서 지연이 되었거나, 성장하면서 점차로 정상이 되었다. 공격적이어서 또래들로 부터 따돌림을 많이 받았다. 4) 치료 및 경과상 6세경에 처음 병원에 방문하였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2년이었고, 주로 외래에서 치료를 받았다.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장기 놀이치료의 필요성이 암시되었다. 본 연구 방법에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나 앞으로 이 장애의 명확한 진단 기준을 확립하고 역학 및 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미혼모의 임신 체험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regnancy Experience of Unmarried Korean Mothers)

  • 한진숙;문영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6-22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nature of pregnancy experience among unwed Korean mothers and to figure out what it meant for them, by asking some of them to reflect on themselves in a written form from interpretative and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van Manen's research method of the same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ven unmarried mother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hrough December 2000 through in- 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were taped, recorded, analyzed and select essential themes. To have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regnancy unmarried mothers, literary works, including essays and novels, were review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e selected substantial themes about the pregnancy and birth experiences of the single mothers included 'hatred for boy friend,' 'hatred for the fetus,' and 'hatred for myself.' The unmarried mothers met their boy friend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riends. At first, they were good friends, but they soon went on a date and had sexual relation with no common knowledge about sex. Most of them were aware of their pregnancy after they felt fetal movement, but they put off taking the test because they didn't want to accept the fact and feared it. Such an attitude was rare among married pregnant women, and being pregnant with no prior preparation or sexual knowledge is not common in Western countries. They felt guilty and informed their boy friends of the fact, but the boy friends didn't admit their responsibility and rejected the babies. This made the poor girls hate them, and it turned into severe abhorrence. They thought their lives were ruined by the babies, and wished they would disappear. They reproached the babies, hitting their own bellies or making a kick.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abandoned and didn't want to live any more. Giving themselves up to despair, some attempted to commit a suicide. They hoped to die, thinking their death would solve the problem. When they lost a chance of abortion and were about to have the babies adopted, they felt sorry for them. The unwanted pregnancy gave them a pain, but they keenly felt they were loved by their mothers, and learned the value of family.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clearly show how much unmarried Korean mothers suffered from pregnancy, and this effort paved the way for seeing unwed mothers in a new light and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instead of sticking to general perce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