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loading Are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7초

Layer-specific serotonergic induction of long-term depression in the prefrontal cortex of rats

  • Shin, Dongchul;Cho, Kwang-Hyun;Joo, Kayoung;Rhie, Duck-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6호
    • /
    • pp.517-527
    • /
    • 2020
  • Layer 2/3 pyramidal neurons (L2/3 PyNs) of the cortex extend their basal dendrites near the soma and as apical dendritic tufts in layer 1, which mainly receive feedforward and feedback inputs,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neuromodulators such as serotonin and acetylcholine may regulate the information flow between brain structures depending on the brain stat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endritic compartment-specific induc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in single PyNs. Here, we studied layer-specific serotonergic and cholinergic induction of long-term synaptic plasticity in L2/3 PyNs of the agranular insular cortex, a lateral component of the orbitofrontal cortex. Using FM1-43 dye unloading, we verified that local electrical stimulation to layers 1 (L1) and 3 (L3) activated axon terminals mostly located in L1 and perisomatic area (L2/3). Independent and AMPA receptor-mediated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was evoked by local electrical stimulation of either L1 or L3. Application of serotonin (5-HT, 10 μM) induced activity-dependent longterm depression (LTD) in L2/3 but not in L1 inputs. LTD induced by 5-HT was blocked by the 5-HT2 receptor antagonist ketanserin, an NMDA receptor antagonist and by intracellular Ca2+ chelation. The 5-HT2 receptor agonist α-me-5-HT mimicked the LTD induced by 5-HT. However, the application of carbachol induced muscarinic receptor-dependent LTD in both inputs. The differential layer-specific induction of LTD by neuromodulator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of the prefrontal cortex.

고정밀 레이저 스크라이버 장비의 공정 시뮬레이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Simulation Analysis of the High Precision Laser Scriber)

  • 최현진;박기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56-62
    • /
    • 2019
  • The high-precision laser scriber carries out scribing alumina ceramic substrates for manufacturing ultra-small chip resistors. The ceramic substrates are loaded, aligned, scribed, transferred, and unloaded. The entire process is fully automated, thereby minimizing the scribing cycle time of the ceramic substrates and improving the throughput. The scriber consists of the laser optical system, pick-up module of ceramic substrates, pre-alignment module, TH axis drive work table, automation module for substrate loading / unloading, and high-speed scribing control S/W. The loader / unloader unit,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cribing cycle time of the substrates, carries the substrates to the work table that carries out the cutting line work by driving the X and Y axes as well as by adsorbing the ceramic substrates. The loader / unloader unit consists of the magazine up / down part, X-axis drive part for conveying the substrate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vision part for detecting the edge of the substrate for the primary pre-alignment of the substrates. In this paper, the laser scribing machining simul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instrument mechanism of each component module. Through this study, the scribing machining process is first verified by analyzing the process operation and work area of each module in advance. In addition, the scribing machining process is optimi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ribing cycle time of one ceramic substrate according to the alignment stage module speed.

자동차 공장의 혼류생산을 고려한 AS/RS 내 트윈크레인 Handshake 작업영역 위치 결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A Simulation Study on Handshake Location in an AS/RS with Twin Cranes for Mixed-model Production in an Automotive Plant)

  • 박정태;김보성;이태훈;이승환;홍순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1-18
    • /
    • 2023
  • 본 연구는 자동차 공장의 혼류생산을 위한 자동창고시스템에서 저장과 반출 작업을 수행하는 트윈크레인 간 협업(Handshake) 위치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다. Handshake 운영은 트윈크레인의 작업영역 구분을 통해 경로 간섭과 각 크레인의 이동 거리를 개선한다. 그러나 Handshake 위치로 구분된 작업영역 간 부품 이송을 위해 Handshake 위치에서 추가적인 부품 적재와 하역 작업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저장 및 반출 요청 응답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Handshake 위치 결정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최적 Handshake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평균 입고 요청 응답시간이 87%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차량 운반선의 효율적인 선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Stowage Planning for Vehicle Carriers)

  • 김지연;김기환;강영진;정석찬;이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7-36
    • /
    • 2023
  • 물류 산업은 기업과 소비자에게 필요한 상품과 자원을 저장하고 운송하기 때문에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그 중요성은 더욱 더 커지고 있다. 중요성에 커짐에 따라 물류 산업은 혁신과 변화를 통해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술적 혁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친환경적인 운송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물류 산업의 일부 측면에서 미흡한 연구가 있다. 특히,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차량 운반선의 최적화된 선적 계획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다양한 복잡성을 내포하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고려사항과 차량 운반선의 선적 계획 수립 규칙을 반영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하적 알고리즘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자기회귀 모델과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복잡한 지형 내 항만에서의 파고 및 하역중단 예측 (Wave Height and Downtime Event Forecasting in Harbour with Complex Topography Using Auto-Regressiv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Models)

  • 이진학;류경호;백원대;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180-188
    • /
    • 2017
  •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해 너울성 고파 등 이상고파의 출현빈도가 높아지고 항만에서의 하역중단이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하역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방파제(breakwater) 등을 추가적으로 건설하여 정온도(tranquility)를 향상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하역중단시점을 미리 예보함으로써 항만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도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항만 운영을 위하여 하역중단시점을 사전에 예보할 수 있도록 바람 예보자료를 이용하여 항외 주요 지점에서의 파랑자료를 추산하고, 복잡한 지형을 가진 항내 주요 지점에 대해서는 장기 관측을 실시하여 파랑자료를 수집한 후, 광역 계산지점에서의 파고와 항내 관측지점에서의 파고 사이의 관계를 자기회귀모델(auto-regressive model)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모델을 이용하여 바람예보자료를 이용한 수치실험 결과만으로 항내 파고를 예측하고, 하역중단시점을 예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포켓(pocket) 형상의 비교적 복잡한 지형 조건을 가진 포항신항 내 파랑관측지점에서의 파고 예측 및 하역중단시점을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제안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의 파고 예측결과를 자기회귀모델에 의한 파고 예측결과와 비교할 때, 인공신경망 모델의 예측결과가 관측자료와의 상관계수가 높고 RMS 오차가 작음을 알 수 있었고, 하역중단시점의 예측에 있어서도 인공신경망의 결과가 자기회귀모델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말뚝재하시험을 통한 압입강관말뚝의 연직지지거동 분석 (Investigation of Axially Loaded Jacked Pile Behavior by Pile Load Test)

  • 백성하;도은수;김석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7호
    • /
    • pp.39-49
    • /
    • 2018
  • 유압잭을 통해 지반에 압입 시공되는 압입강관말뚝은 소음 및 진동을 적게 발생시켜 도심지 공사에 적합한 기초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시공이 용이하여 리모델링 혹은 수직증축 공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연직지지거동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제한적으로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입강관말뚝의 연직지지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지층인 풍화토 및 풍화암 지반에서 말뚝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재하시험 결과를 통해 각 시험조건 별 주면지지력 및 선단지지력을 평가하였고 이를 항타말뚝을 대상으로 제안된 지지력 평가식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타말뚝을 대상으로 제안된 평가식을 통한 예측값은 압입강관말뚝의 주면지지력 및 선단지지력을 각각 57.2% 및 33.8%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지지력 평가식이 단단한 풍화토 및 풍화암층의 강도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며, 항타공법에 비해 압입공법을 통한 말뚝 설치 시 말뚝주변 지반교란에 따른 지지력 감소가 더 작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지지력 평가식을 재하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하여 압입강관말뚝의 연직지지거동 평가 및 연직지지력 산정 시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토끼 경골에서 치과용 임프란트의 이중 산부식 및 양극 산화 표면처리에 따른 조직계측학적 연구 (HISTOMORPHOMETRIC STUDY OF DENTAL IMPLANTS WITH DOUBLE ACID-ETCHED AND ANODIC OXIDIZED SURFACE IN THE RABBIT TIBIA)

  • 한예숙;김일규;장금수;박태환;전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434-444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implant surface treatments to the bone formation during osseous healing period under unloading conditions. Machined, double-acid etched and anodic oxidized implants were inserted into tibia of 3.0 - 3.5 kg NZ white male rabbits and 2 animals of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2, 4 and 8 weeks. The specimens containing implant was dehydrated and embedded into hard methylmethacrylate plastic. After grinding to $50{\mu}m$,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Villanueva bone stain. From each specimen,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and the bone implant contact rate were analysed with optical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ic examination, machined surface implant had several shallow and paralleled scratches on plain surface, double acid-etched implant had lots of minute wrinkles, rough valley and also irregularly located craters that looked like waves, anodic oxidized surface implant had porosity that minute holes were whol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2. After 2 weeks of implantation, the percentages of bone-to-implant contact in the machined implant, double acid-etched implant and anodic oxidized implant were 26.85%, 62.64% and 59.82%, after 4 weeks of implantation they were 64.29%, 77.85% and 75.23%, and after 8 weeks they were 82.66%, 85.34% and 86.39%. 3. After 2 weeks of implantation, the percentages of bone area between threads in the machined implant, double acid-etched implant and anodic oxidized implant were 21.55%, 42.81%, and 40.33%, after 4 weeks of implantation they were 49.32%, 62.60% and 75.56%, and after 8 weeks they were 71.62%, 87.73% and 83.94%. In summary, percentages of implant surface contacted to bone trabeculae and bone formation area inside threads in double acid-etched implants and anodic oxidized implants were greater than machined implants in early healing st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uble acid-etched and anodic oxidized surface implants could reduce the healing period for osseointegration and may enable to do early function.

대기오염 저감을 통한 인천항의 Green Port 전략 (Green Port Strategies for Reducing Air Pollution in Port of Incheon)

  • 한철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1-304
    • /
    • 2011
  • 21세기 에너지기후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미래 국가성장동력으로 녹색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현정부 들어 녹색성장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녹색혁명의 바람은 해운항만산업도 예외가 아니어서 IMO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미국, EU를 중심으로 한 세계 주요국들은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이나 항만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이의 저감방안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최근 들어 이루어지고 있어 선진국 항만들과는 그 격차가 큰 실정이다. 또한 최근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중국 항만을 비롯한 주변 항만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국내 항만들이 지속가능한 우위를 확보해 나가기 위해서도 차별화된 Green Port 전략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대기오염원과 인천항의 환경오염 실태 및 현황을 살펴보고, 세계 주요항만에서 시행되고 있거나 향후 도입될 예정으로 있는 청정대기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인천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수도권 관문항으로서 연간 막대한 양의 벌크화물을 취급하고 있는 인천항의 대기오염 저감방안을 컨테이너터미널과 벌크터미널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도모하였다.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기술적 측면에서 청정연료사용, 배출통제장치 설치, 노후장비 교체 및 개조, 운영적 측면에서는 선박속도저감 프로그램 도입, 육상전원공급장치의 도입, RFID를 활용한 게이트 자동화, 그리고 시장기반프로그램으로 차별화된 항만이용료 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벌크부두(일반부두)의 경우 선적과 하역 시 다단식 선적슈트, 고각도 컨베이어벨트, 건무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비산분진과 화물유출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화물보관 시 기존 사이로 방식 대신 돔구조물이나 폴리에스터 보관시설을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 기술을 이용하는 컨테이너 항만에서 야드 트랙터에 탑재된 웹-패드의 무선통신 환경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of Web-pad on board Yard tractor in container terminal use convergence technology)

  • 홍동희;김창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281-288
    • /
    • 2015
  • 유선과 무선 등 다양한 융복합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컨테이너 항만에서는 작업을 위해 항만운영정보시스템(TOS)과 하역장비(CC, TC, YT)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작업정보를 교환한다. 그러나 컨테이너항만의 야드에 컨테이너화물이 높게 장치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이 단절되어 음영지역(작업자가 정보를 받을 수 없는 지역)이 발생하여 작업 지연 및 작업 지시 오류가 발생한다. 이 때 작업자인 야드 트랙터(YT)의 운전자가 통신 상태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통신 음영지역에서의 작업 지연 및 작업지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통신 단절로 작업이 지연될 때에도 작업자가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야드 트랙터에 장착된 웹-패드의 기능 개발, 그리고 통신 단절 시 빠르게 통신을 회복하는 기능 등을 개발하여 업무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모듈의 흐름을 변경하고, 야드 트랙터의 웹-패드에 단락(끊김) 또는 통신지연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알려주는 UI 개발 등을 통해 작업자가 작업지연 및 작업지시 오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무선통신 환경을 구축하였다.

기존터널 상부지반 굴착 후 구조물 설치에 따른 터널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unnel behavior induced by the excavation and the structure construction above existing tunnel)

  • 차석규;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40-655
    • /
    • 2018
  • 최근 도심지 공사가 급증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상부에서 지반굴착 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반굴착 후 구조물이 시공되는 경우 굴착 저면 하부 지반 내에서 하중 제하, 재하 과정이 반복되므로 기존 지하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반굴착으로 인한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부에서의 굴착 및 구조물 하중에 의한 영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터널 상부에 지반 굴착 및 신규 구조물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를 실험적으로 구현하여 인접시공이 기존 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크기의 1/5로 축소한 대형모형시험기를 제작하여 굴착저면과 터널 천단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체 지반굴착, 구조물 하중의 폭, 기존 터널 중심과 지반 굴착 저면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하중 크기에 대하여 굴착 깊이가 깊어질수록 기존 터널에 더 큰 영향을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 이격거리에서 기존 터널에 영향은 건물하중 폭 증가에 따라 터널 내공변위가 최대 3배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물하중 폭의 영향이 굴착 깊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평으로 이격하는 경우는 터널 중심에서 1.0D 이격되면 터널 천단변위가 48%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기존 터널 상부에 터파기 시공 위치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위치는 1.0D (D: 터널직경)인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