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검색결과 1,874건 처리시간 0.035초

지역중소기업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학.관 협력모델에 관한 사례 연구 -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dustry-Academy-Government Cooperation to Intensify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SMEs - Focused on Gyeongbuk PRIDE Products -)

  • 여택동;이희용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411-443
    • /
    • 2012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의 심화 확산,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는 산학 협력 또는 산학관 협력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산학관 협력은 기존 연구개발 및 이론 연구중심의 협력에서 벗어나 지역기업 제품의 실용화 및 상품화를 목표로 실무 능력과 전문성이 강화된 현장 및 실습 중심의 협력 모델로 추진되고 있다. 기존의 산학관 모델과 비교하여 첫째,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 시스템은 중앙정부 및 중소기업관련 유관기관 중심의 하향식 중소기업 지원 체제이나 새로운 모델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선도 기업군에 대한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을 통한 성과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산업기술 개발, 인력 교육, 교류 위주의 산학관 협력 모델에서 벗어나 글로벌비즈니스 역량 강화와 해외시장 개척활동 지원이라는 다소 새롭고 실질적인 역할 분담 및 성과 측정이 가능한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학관 협력 모델인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 추진 내용을 고찰하고 '경북 PRIDE상품 육성사업' 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 효과성을 연구방법론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경북PRIDE상품은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 전담 지원, 전문화된 지식공유와 연계기능, 차별화된 산학관 협력 사업 추진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DF

물류협력지수의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공동물류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Logistics Partners Cooperation Index(LPCI): Focused on the Joint Logistics)

  • 서상석;송광석;박종우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6호
    • /
    • pp.107-118
    • /
    • 2016
  • Purpose - Over 90% of Domestic logistics industry is small enterprise and they are experiencing growth stagnation due to price-based competition structure rather than constructing logistics service of high added value. In order to get over this situation and pursue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industry,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through inter-enterprise cooperative network build-up, would be a key alternative. Therefore, in this study, an index for measuring inter-enterprise cooperation level of Joint logistics business will be developed as a typical collaborative business model in logistics industry. Moreover, a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method suggests a developmental step and a key management index to mature in logistics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is an index development research for measuring inter-enterprise cooperation level of logistics industry. Such a level was measured by performing a survey by targeting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Joint logistics business. The targeting enterprises are typical cooperative models in logistics industry. Measurement items were developed which were based on the presented items in existing research. Question items were composed of selection type questions as answering Yes/No. They measures implementation status of corporate activity and detailed activity items measuring qualitative level. Total samples were based on 116 enterprise samples including 90 logistics enterprises and 26 shippers. In addition, by evaluating the importance for Joint logistics business recognition with personnel working level, the weight of measuring variable was extracted. This study has built an assessment tools (LPCI) on Joint logistics business cooperation level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 previous studies on joint logistics busi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other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LPCI presented in this study, the score of logistics enterprise was represented as 59.9 points based on full score of 100 points and that of shippers as 47.2 points and cooperation level among enterprises participated in Joint logistics business was revealed to be very low.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mportance between logistics enterprise and shippers, the difference by each measurement standard was represented among those enterprises.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to be a key factor that cooperative operational conformity between logistics enterprises and shippers is represented to be low. Conclusions - As most joint logistics business, being promoted at present, is sharing facility and information with joint logistics business, it is hard to find such a joint logistics business in reality based on cooperative business model in main cooperation agents. Therefore,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industry could be strengthened by promoting joint logistics business based on their mutual cooperation among enterprises. In other words, it is to secur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f joint logistics business together with creation of new market by inter-enterprise cooperation based on integration of basic logistics business.

A Conceptual Framework of Port Cooperation

  • Ryoo, Dong-Ke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81-588
    • /
    • 2011
  • Globalization of production, changing technology in ocean shipping sector, shifting bargaining power from port service provider to port users, changing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ontainerization and new implementation for the environment and safety concerns introduced new ways of administration in port sector. In these days, port industries cannot survive alone. Port operation and management has to be proactive to cooperate and integrate with other port operators or other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ooperation in maritime sector is more common than that in the past with several different reasons in a mixture of forms of cooperation. Cooperation among port authorities, port operators, shipping line, inland transport service providers and/or related organizations themselves becomes to exist to overcome the challenges and development of the global transport chai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port cooperation and the case analysis of the cooperation in the port industry.

IT Cooperation between R.O.Korea and P.R.China

  • Liu, Shin-Il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0
    • /
    • 2007
  • Since 2003, the biggest trade partner of South Korea has not been America but China. China appears to be a strong competitor of South Korea in every field of international market and even in IT industr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competitive field of Korean Economy. IT Industry is now becoming a driving locomotive of economy in South Korea and China. It is reported that the IT gap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s shorten to be 1.7 years in 2006, from 2.6 years in 2003 and will be within one year in 2010. China has been aware of the urgent need of developing electronic and information industry in order to improve its productivity. In the results of the efforts to develop its IT industry, China has achieved average 25% yearly growth rate of IT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1991. Since 2004, South Korea has pursued IT 839 strategy. How South Korea and China can susta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T industry. South Korea IT is expected to utilize China's through the mutual cooperation, which results in mutual benefit. To achieve the mutually benefited cooperation and specially to result in Small & Medium sized Korean companies' cooperation with China's, China is expected to improve the market system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admitting intellectual property.

  • PDF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충청권 연구마을 특성화 연계 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ased the Link Strategy of Localization Project: Focusing on Chungcheong-Provincial Research Town Characterization Linkage Strategy)

  • 홍은영;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5-115
    • /
    • 2017
  • 혁신클러스터 이론에서는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해 암묵적 지식과 노하우 접근이 수월할수록 클러스터의 성장이 촉진된다. 산학협력이란 산학연간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혁신네트워크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의 정부 정책의 흐름은 산학연협력 생태계가 자발적으로 조성되도록 대학 및 연구기관의 지원 전담조직을 활성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소기업청은 2013년도에 우수한 연구기반을 갖춘 대학 또는 연구기관 내에 중소기업의 연구 기능을 집적화하여 산학연협력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마을 지원사업'을 첫 시행하였다. 이러한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사업의 생태계가 잘 조성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화산업을 반영한 산학협력기술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특화발굴 전략이 잘 반영된 연구마을의 경우, 유사 기술분야 기업들의 집적화로 자연스럽게 클러스터가 조성되어 연구의 시너지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사업에 참여한 충청권의 연구마을 특화분야 발굴사례를 통해 지역 특화사업 연계 전략을 조사 정리하여 향후 연구마을뿐만 아니라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을 추구하는 기관에 발굴전략을 제시하고 정부의 클러스터정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산업으로서 e-Book 비즈니스 전략 (Study on e-Book Business Strategy in Information & Communication Industry)

  • 박재수;김학진;안영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057-2065
    • /
    • 2014
  • 전자책 산업은 인쇄문화와 정보통신의 융합이며, 새로운 비즈니스이지만, 우리나라의 시스템적인 변화는 역동적이지 않다. 세계적인 시장 플레이어들은 단말기, 플랫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회원제 또는 커뮤니티형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창조적인 콘텐츠 제작에 아쉬움이 많다.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국한되어 있는 바, 본 연구는 다각적인 모델링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그리고 전자책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서 플랫폼 기술과 서비스 콘텐츠의 다양한 개발도 중요하지만 개발된 기술의 응용을 시사하고 있다.

독거노인을 위한 맞춤형 의사소통 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enior Living Alone)

  • 김가영;이현동;김동현;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83-184
    • /
    • 2018
  • 우리나라의 노인자살률은 OECD 국가 중에 1위이다. 인위적 고독사인 '자살'의 가장 큰 원인인 우울증을 의사소통을 통해 예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에 따라 독거노인에게 스피커가 먼저 질문하는 형식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성인식 시스템인 스피커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의사소통을 증대시키고, 질문뿐만이 아니라 식사 여부, 약 복용 여부 관련 일상 알람도 주기 때문에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 PDF

플립 러닝에 기반한 e-그룹 학습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group Study System based on the Flipped-Learning)

  • 박주미;이현동;김동현;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81-182
    • /
    • 2018
  • 주입식 강의로는 미래형 인재를 키우기 어렵기 때문에 e-러닝의 진화로 주입식 교육의 반대인 플립러닝이 이슈화되고 있다. 주입식 교육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도성을 가지며 학생의 생동감, 흥미, 능력, 필요를 전혀 무시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룹 스터디 활동에 플립 러닝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스로 학습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대표 학생은 활동 기간 동안 교사 역할과 함께 책임자가 되고, 수업 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데 학생들은 자료마다 질문을 남길 수 있다. 대표 학생이 질문 확인을 함으로써 학생 진도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비콘을 활용한 건강검진 안내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examin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Beacon)

  • 박수빈;이현동;김동현;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85-186
    • /
    • 2018
  •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을 해치게 되면 삶의 질이 저하 될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커져 어려움을 겪는다. 현대인들이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다. 건강검진 대상자가 건강검진을 받을 때 각 단계별 검사 대기시간 및 안내를 받기 위하여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검진을 받으러 온 검사자마다 간호사가 일일이 다음 검진 안내를 해주는 것에 대한 수고를 덜어 주고자 비콘을 활용한 건강검진 안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융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융합치유전공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c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Convergence Healing Major Focus -)

  • 이진홍;송덕근;권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6호
    • /
    • pp.28-39
    • /
    • 2019
  • In order to improve this, Korean universities should reorganize their curriculum such as job system research and job - based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emand of industry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ing ability due to the decrease of the school - age population an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n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ation of friendly education and definition of industry - university cooperation and analysis of cases related to friendly -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second, analysis of fusion healing majors in Healing Bio - I want to conduct research. Konkuk University Healing Bioresource College conducted a survey based on demand such as experts and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 friendly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process, I developed a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to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itiveness curriculum reflecting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 to develop competitiveness curriculum that reflects customized opinions of societal demand, to organize systematic curriculum to have practical ability, to strengthen the employment link through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e will make contribution to build the system of operation from the center to the consumer center, evaluation of the practical ability through the curriculum and the feedback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