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Hydrograph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2초

원격탐사 기법에 의한 소유역의 홍수 수문곡선 결정 (Determination of Flood Hydrograph by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a Small Watershed)

  • 남현옥;박경윤;조성익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7
    • /
    • 1989
  • In recent years satellite data have been increasingly used for the analysis of floodprone are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repetitive satellite imagery in monitoring flood levels of the Pyungchang watershed. Runoff characteristics parameters were analyzed by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Runoff Curve Number(RCN) based on Landsat imagery and Digital Terrain Model data. The RCN average within the watershed was calculated from RCN estimates for all the pixels(picture elements) and adjusted by antecedent precipitation conditions. The direct runoff hydrograph was derived from the unit hydrograph using SCS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and effective rainfalls estimated by the SCS method. In comparsion of the direct runoff hydrograph with the measured rating curve their peak times differ by one hour and peak discharges differ by 5.9 percents of the discharge from each other. It was shown that repetitive satellite image could be very useful in timely estimating watershed runoffs and evaluating ever-changing surface conditions of a river basin.

단위유량도합성을 위한 Snyder 계수의 조정 (Revision of Snyder's Coefficient for Synthesizing Uint Hydrograph)

  • 선우중호;고영찬
    • 물과 미래
    • /
    • 제19권1호
    • /
    • pp.57-63
    • /
    • 1986
  • 유역 추적에 자주 쓰이는 합성 단위 유량도 방법의 일종인 Snyder 방법에 있어서의 계수를 남한강 수계에서 재조정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은, 과거의 조사에서 구한 남한강 수계의 Snyder 공식에서 초기값을 구한 다음, 이 값을 HEC-1 모델에 적용시켜 계수를 재조정한 후에 그 계수로부터 Snyder의 개선공식을 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구한 개선 공식은 기존 공식에 비해 계산 수문 곡선의 첨두 유량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첨두 유량에 도달하는 기울기도 기존 공식보다 급격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첨두 유량이 발생하는 시간을 결정하여 주는 지체 시간이 기존 공식에 비해 개선 공식에서 작게 되기 때문에 첨두 유량이 발생되는 시간도 개선 공식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 공식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빨라지게 된다.

  • PDF

웹기반 홍수관리시스템 구현을 위한 홍수분석모듈개발 (Development of Flood Analysis Modul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Flood Management System)

  • 정인균;박종윤;김성준;장철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03-111
    • /
    • 2014
  •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lood analysis module (FAM) for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real-time agricultural flood management system. The FAM was developed to apply for an individual watershed,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This module calculates the flood inflow hydrograph to the reservoir using effective rainfall by NRCS-CN method and unit hydrograph calculated by Clark, SCS, and Nakayasu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s, and then perform the reservoir routing by modified Puls method. It was programmed to consider the automatic reservoir operation method (AutoROM) based on flood control water level of reservoir. For a $15.7km^2$ Gyeryong watershed including $472{\times}10^4m^3$ agricultural reservoir, rainfall loss, rainfall excess, peak inflow, total inflow, maximum discharge, and maximum water level for each duration time were compared between the FAM and HEC-HMS (applied SCS and Clark unit hydrograph methods). The FAM results showed entirely consistent for all components with simulated results by HEC-HMS. It means that the applied methods to the FAM were implemented properly.

A STUDY ON THE PARAMETER ESTIMATION OF SNYDER-TYPE SYNTHETIC UNIT-HYDROGRAPH DEVELOPMENT IN KUM RIVER BASIN

  • Jeong, Sang-man;Park, Seok-Chae;Lee, Joo-Heo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4호
    • /
    • pp.219-229
    • /
    • 2001
  • Synthetic unit hydrograph equations for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have long and quite frequently been presented, the Snyder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The major inputs to the Snyder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are lag time and peak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methods for estimating lag time and peak coefficient for small watersheds proposed by Zhao and McEnroe(1999) were applied to the Kum river basin in Korea. We investigated lag times of relatively small watersheds in the Kum river basin in Korea. For this investigation the recent rainfall and stream flow data for 10 relatively small watersheds with drainage areas ranging from 134 to 902 square kilometers were gathered and used. 250 flood flow events were identified along the way, and the lag time for the flood events was determined by using the rainfall and stream flow data. Lag tim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a given drainage area such as channel length, channel slope, and drainage area.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late lag time to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 resulting regression model is as shown below: ※ see full text (equations) In the model, Tlag is the lag time in hours, Lc is the length of the main river in kilometers and Se is the equivalent channel slope of the main chann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s (r$^2$)expressed in the regression equation is 0.846. The peak coefficient is no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ny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We recommend a peak coefficient of 0.60 as input to the Snyder unit-hydrograph model for the ungauged Kum river watersheds

  • PDF

목감천 복원설계를 위한 비정상성을 고려한 설계홍수량의 산정 (Estimation of Design Discharge Considering Nonstationarity for River Restoration in the Mokgamcheon)

  • 이길성;오진호;박기두;성장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361-1375
    • /
    • 2013
  • Lee et al. (2011)이 제시한 목감천 유역의 하천복원 설계절차에 근거하여 수리구조물의 설계와 관련 있는 설계홍수량을 산정에 있어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목감천 유역에서 비정상성을 고려한 새로운 설계홍수량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인 설계-호우단위도법과 직접 홍수빈도해석법을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에 사용되는 빈도분석은 NCA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개발된 extRemes 모형을 통하여 비정상성을 고려하였다. 직접 홍수빈도해석의 방법은 유량으로부터 직접 빈도해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신뢰성이 기대되지만, 설계-호우단위도법보다 다소 과소 추정되었다. 따라서 가장 크게 산정된 설계호우-단위도법의 100년 빈도 설계홍수량을 목감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으로 결정하였다.

중소규모유역의 지형공간적 형상계수를 이용한 Nash 모형기반의 합성단위도 산정 (Estimation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Using Geospatial Shape Factors and Nash Model in Mid-size Watershed)

  • 김진겸;김종민;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47-558
    • /
    • 2013
  • 설계홍수량 산정 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합성단위도법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단위도의 형태를 결정짓는 첨두 비유량과 첨두시간의 결정을 위하여 첨두수문량과 유역의 지형공간적 형상계수간의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역의 단순 공간적 기하요소보다는 형상계수의 결정계수가 뚜렷이 높았으며, 유역의 지형특성영향을 독립적으로 검토할 경우 결정계수가 0.52~0.69에 그쳤으나, 지형특성이 조합된 형상계수를 이용하여 민감도분석을 해보면 결정계수가 0.73~0.81로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단위도를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유역의 면적은 대략 500~700 $km^2$이라 볼 때, 이러한 영역에서 유역유출모의를 통한 본 연구의 합성단위도를 검증한 결과, 특이값이 발생하는 유역을 제외하고 본 연구결과의 상대오차가 1.7~29.0%(평균 11.6%)의 수준을 보여주었다. 합성단위도법 적용에 관한 기존사례(KICT, 2000)는 상대오차가 35.0~64.9%(평균 46.7%)를 보여주어 본 연구의 제안식이 기존에 비하여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황구지천 수직교 지점에서의 최적 단위도 및 침투율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Unit Hydrographs and Infiltration Rate Functions at the site of the Su-Jik Bridge in the HwangGuJichen River)

  • 안태진;조병돈;류희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7-66
    • /
    • 2005
  • 본 연구는 최적화모형을 이용하여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 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 공식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단일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절대오차누계를 최소로 하는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고, 황구지천 수직교 지점에서의 최적침투율과 단위도를 결정하였다. 침투율 공식의 섭동 단계에서는 시산법을 적용하여 Kostiakov, Philip, Horton 및 Green-Ampt 공식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Phi}$지표법에 의한 단위도 종거의 값은 유일하게 결정되지만 침투율 공식의 매개변수에 따라 단위도의 종거는 변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사상에 관하여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종래의 방법에 의한 오차보다 작은 단위도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기존 합성단위도 방법의 비교 (The Comparison of Existing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in Korea)

  • 정성원;문장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59-672
    • /
    • 2001
  • 수공구조물의 설계홍수량 산정은 일반적으로 유출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산정된다. 하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기 힘든 경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주로 강우-유출모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유출모형은 합성단위도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단위도 방법 중 국내에서는 Nakayasu 방법, Snyder 방법, SCS 방법, HYMO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거나 제안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법들과 최근 개발된 건기연의 합성단위도법을 총 10개 유역의 지점 대표단위도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국내 수문특성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결정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점 대표단위도와 각 방법으로부터 합성된 단위도의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을 비교하였으며, 평균제곱근오차의 산정과 비교를 통해 단위도의 형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서 개발된 Nakayasu 방법은 단위도의 첨두유량, 첨두시간과 단위도의 형상에서 실제와 매우 다른 왜곡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나머지 방법들은 지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건기연(2000)의 방법이 실제 대표단위도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주고 있었다. 또한, 합성단위도 개발에 이용된 자료, 지점 및 유역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과거의 성과를 함께 이용한 건기연의 방법이 가장 포괄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문실무에서 합성단위도법을 적용할 경 우, Nakayasu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지며, 건기연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결과를 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만약 SCS나 Nakayasu 방법을 적용한다 할 지라도 국내 자료를 통해 해당 모형의 매개변수나 회귀적 등을 조정하여 이용한다면 보다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다. 재생 $Al_2$O$_3$시편의 치밀화를 위하여 5~20wt%의 폐유리분말을 첨가하여 1200~1$650^{\circ}C$에서 5시간 소결한 시편은 폐유리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밀도와 3점곡강도를 나타내는 온도는 감소하였으나, 140$0^{\circ}C$이상에서는 페유리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시편에 비하여 밀도와 3점곡강도가 감소하여 재생 $Al_2$O$_3$세라믹스의 소결성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TEX>$_{0}$=32900 GHz, $\tau$$_{f}$ =-2.2 ppm/$^{\circ}C$이었다. B$_2$O$_3$첨가의 경우 최적의 첨가량은 1.0~2.5 wt%이었으며 8$50^{\circ}C$에서 소결한 경우 얻어진 유전특성은 $\varepsilon$$_{r}$20.3~22.1, Q$\times$f$_{0}$=48700~54700 GHz, $\tau$$_{f}$ =+2.4~+8.2ppm/$^{\circ}C$이었다.describe the desired urban resort nature of the stadium. From this historical perspective it seems that stadiums have great potential as urban resorts. The factor that will determine their success is

  • PDF

유역의 동수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합성단위도 기법의 제시 (Suggestion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Considering Hydrodynamic Characteristic on the Basin)

  • 김주철;최용준;정동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B호
    • /
    • pp.47-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동수역학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합성단위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폭함수 GIUH 이론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적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1) GIS에 의해 유역 각 격자 중심에서 유역출구점까지의 유하거리 분포도(폭함수) 산정, 2)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에 의한 유하시간 유하시간 분포도(재조정된 폭함수) 작성, 3) 재조정된 폭함수로 부터 순간단위도 및 지속시간 단위도 유도, 4) 기존 합성단위도와의 비교, 대상유역은 보청천 유역의 이평 및 탄부 유역을 선정하였다. 두 유역은 유사한 유역규모(유역면적)를 가지나, 배수구조(배수밀도 등)는 상이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두 유역은 동수역학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수문학적 응답함수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단위도 유도결과 기존 합성 단위도법은 두 유역에서 비슷한 형태의 형상을 나타낸 반면 제시된 방법은 상이한 형상의 수문학적 응답을 보였다. 실제사상의 적용결과 제시된 기법의 첨두유량은 기존 합성단위도법과 유사한 모의 양상을 나타냈으나, 첨두시간은 본 연구방법이 우수하게 모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과 합리적인 유속산정 방법이 결합된다면 미계측 유역의 단위도 합성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Sediment Yield by Instantaneous Unit Sediment Graph

  • Lee, Yeong-Hwa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1호
    • /
    • pp.29-36
    • /
    • 1998
  • An instantaneous unit sediment graph (IUSG) model is investigated for prediction of sediment yield from an upland watershed in Northwestern Mississippi. Sediment yields are predicted by convolving source runoff with an IUSG. The IUSG is the distribution of sediment from an instantaneous burst of rainfall producing one unit of runoff. The IUSG, defined as a product of the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SCD) and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UH), is known to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rainfall. The IUH is derived by the Nash model for each event. The SCD is assumed to be an exponential function for each event and its parameters were correlated with the effective rainfall characteristics. A sediment routing function, based on travel time and sediment particle size, is used to predict the SC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