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lateral Neglec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 최유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9-3887
    • /
    • 2009
  • 본 연구는 손상된 사지의 기능적 활동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8회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선 과정이 5회, 상상연습을 시행한 중재 과정이 10회, 기초선 회귀 과정은 중재 과정을 마친 2주 뒤에 3회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3개의 기능적인 활동(옷 입기, 화장품을 사용하여 화장한 뒤 정리하기, 옷을 개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활동에 대해서 5분씩, 1일 총 15분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편측무시는 읽기 검사, 쓰기 검사,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COPM(Canada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연습 후 편측무시 검사의 점수가 모두 감소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검사 점수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실내출혈을 동반한 뇌내출혈로 인한 편측무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자음건비탕, 침치료, 사지운동을 포함한 한의복합치료 증례 보고 1례 (Case Report: Complex Treatment Using Korean Medicine, Including Jaeumkunbi-tang, Acupuncture, and Limb Activation Exercises for a Patient Suffering Unilateral Neglect due to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ccompanied b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신주은;강지윤;김윤식;설인찬;유호룡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7-96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tracerebral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suffering unilateral neglect symptoms. Case presentation: The patient was treated using Korean medicine, including acupuncture, herbal medicine, moxibustion, and a limb activation exercise. We measured Unilateral Neglect Symptom progress with a numeric rating scale, Albert's test, Line bisection test, Clock drawing test, and Catherine Bergego Scale. After eight days of combined Korean medicin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the Unilateral Neglect Symptom intensity reduced from NRS 8 to 6. In addition, Albert's test score decreased from 2.5% to 0%. The Line bisection test score decreased from 19 mm to 12 mm, and the Clock drawing test score improved from 8 to 10. Last, the Catherine Bergego Scale decreased from 12 to 9. No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during treatm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a complex treatment including Jaeumkunbi-tang, acupuncture, moxibustion, and limb activation exercise can be effective for an intracerebral hemorrhage wit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atient suffering from Unilateral Neglect Symptoms. Consequently,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편측무시 유무에 따른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Mirror Therapy on Patients Who Have a Stroke, with or without Unilateral Neglect)

  • 이슬아;김희정;홍기훈;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5
    • /
    • 201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 편측무시가 있는 군과 없는 군 각각에 대해 4주간의 거울치료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거울치료를 통하여 상지의 기능 향상과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창원시 C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성인 편마비 환자로써 편측무시가 있는 환자 10명, 편측무시가 없는 환자 10명, 총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치료사와 1:1로 30분씩 주5회 총 4주간 걸쳐 거울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편측무시 유무를 확인하고 거울치료 중재 전, 후 비교를 위해 알버트 검사를 사용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써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Box & Block Test(BBT)을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평가는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를 사용하였다. 결과 : 거울치료는 편측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가 있었다(p<.05). 또한 뇌졸중환자의 편측무시 유무에 관계없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가 있었다(p<.05). 결론 :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편측무시 증상을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서도 편측무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거울치료는 편측무시 감소를 보일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편측 무시 환자에서 시각 정보 차단이 머리 위치 정렬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Visual Cue Deprivation for the Head Alignment on Unilateral Neglect Patient: Case Report)

  • 장종성;박정미;이미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7-342
    • /
    • 2013
  • PURPOSE: The Unilateral neglect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y shifting attention to the side of space opposite the brain lesion and frequently reducing use of contralesional extremiti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visual deprivation was responsible for head position on unilateral neglect patient after stroke. METHODS: A patient with lef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neglect using line bisection and star cancellation test. Patient was instructed to maintain correct alignment of trunk and head in a sit position. We evaluated degree of head lateral tilting and rotation. Then, patient was blocked visual input. Also, we evaluated head position in the same way. RESULTS: He scored 3 points in the line bisection test and 9 points star cancellation test. In postural evaluation, he had deviated posture such as lateral head tilting and rotation. After visual cue deprivation, patient showed different head position which was decreased degree of head tilting and rotation. CONCLUSION: For vertical body orientation, it was used multiple sensory references including the vestibular, somatosensory, and visual system. This finding suggested that abnormal posture of neglect patient could be related to the visual input. It has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neglect.

좌측편측무시 환자에게 양쪽 눈을 반쪽씩 가린 안경착용 중재 시 효과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half-eyes patching on Hemispatial in Patients With Stroke)

  • 유재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83-8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쪽 눈을 반쪽씩 가린 안경착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좌측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기간은 2014년 10월 뇌졸중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참가자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동의하였다. 실험은 1일 1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A기간은 기초선 기간으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3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B기간은 치료기간으로 안경을 세수할 때와 잠잘 때를 제외한 모든 시간 동안 착용하도록 하였다. A(withdrawal)는 안경을 제거하고 3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검사의 측정은 1일 1회씩 동일 시간과 동일 검사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결과 : 선나누기 검사의 오차 평균(mm) 앨버트 테스트의 오차평균은(개)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결론 : 이 치료가 편측무시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더 여러 가지 편측무시 평가를 사용하여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여러 사항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이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 연구 (The Effect of Light Stimulation on the Reduction of Unilateral Neglect of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 이호승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1-69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을 주었을 때 편측 무시가 얼마나 완화되는지, 또 그러한 자극이 MVPT 구성 항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청주 성모병원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왼쪽 무시가 있으면서 연구방법을 이해하고 동의한 60세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편측 무시정도는 MVP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반전설계(ABAB설계)로 A는 기초선(baseline)을 설정하는 기간으로 5일 동안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를 실시하고 B는 중재기간으로써 4일 동안 불빛 자극을 주기 전과 후, 각각 1회씩 선 나누기 검사를 실시한다. MVPT 구성 항목의 변화를 보기 위해 3회 실시 하였다. 결과 : 기초선 기간 중 선 나누기 검사의 평균값은 12.19mm 불빛 자극 후의 평균값은 9.15mm로 24%의 오류감소를 보였다. 두 번째 치료기간 중 불빛자극 후의 평균값은 6.37mm로 처음 치료기간보다 43%의 오류감소를 보였다. MVPT 점수는 반응 행동이 13개에서 18개로 증가하였고, 수행시간은 16.14초에서 7.52초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편측 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이 편측 무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치료기간이 중첩되어 일어날수록 치료효과도 좋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불빛 자극이 MVPT 수행 시간 향상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뉴로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Unilateral neglec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troke)

  • 김지훈;김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61-368
    • /
    • 2015
  •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기본적인 입원치료와 추가적으로 뉴로피드백을 중재한 실험군 14명, 기본적인 입원치료와 추가적으로 전통적인 편측무시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14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를 비교하여 편측무시가 감소되었다. 하지만 중재후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를 비교하여 우울이 감소되었다.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편측무시와 우울을 나타내는 뇌졸중 환자들의 재활에서 뉴로피드백 훈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Upper Limb for Postural Control and Locomotion in Hemiplegic Stroke with Unilateral Neglect

  • Song, Bo-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5호
    • /
    • pp.332-33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ural control and locomotion on improvement of two point discrimination (TPD), stereognosis (ST) through somatosensory training (SST) on the upper limb (UL).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hemiplegia patients who have problems with unilateral neglect after strok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the control group (CG). In the EG, SST for TPD, ST was performed 18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gether with physical therapy (PT) and occupational therapy (OT). In the CG conventional PT and OT without SST was performed for six weeks. Several assessment tools were used in comparison of groups; two point discrimination test (TPDT) on forearm (F), thenar (T), hypothenar (TH), thumb tip (TH-T), index finger tip (IN-T), stereognosis test (S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and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on balance (CTSIB)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Results: In the CG, conventional PT and OT resulted in statistically improved TPDT (F), ST, PASS, and TUG. In the EG, SST resulted in statistically improved TPDT (F, T, HT, TH-T, IN-T), ST, PASS, and TUG. TPDT-T, ST, and CTSIB with length of displacement with eye open (LDEO)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In both groups TPDT ST, PASS and TUG, and SST had effects on the UL and TPDT, ST and static postural control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with the PG. Therefore, we could assume that TPD and ST are very important in performing human activities including postural control and locomotion.

Effect of Combined Therapy of Robot and Low-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Hemispati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 Kim, Sang Beom;Lee, Kyeong Woo;Lee, Jong Hwa;Lee, Sook Joung;Park, Jin Gee;Lee, Joung Bok
    •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 /
    • 제42권6호
    • /
    • pp.788-797
    • /
    • 2018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pper limb rehabilitation combining robot with low-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Methods Patients who had hemispatial neglect after right hemisphere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rTMS only group, robot only group, and combined group. All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neglect therapy and additional treatment for each group. rTMS group received rTMS therapy. Robot group received robot therapy, while combined group received both therapies. The effect of therapy was assessed with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VPT-3), line bisection test, star cancellation test, Catherine Bergego Scale (CBS),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These measuremen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For each group, 10 patients were recrui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or initial values among the three groups. Two weeks after the therapy,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VPT-3, line bisection test, star cancellation test, CBS, MMSE, and K-MBI. However, changes in measure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Conclusion Treatment effect of the combined therapy of robotic therapy and low-frequency rTMS therapy for hemispatial neglec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each single treatment.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prove the superiority of any of the three treatments. Further study with large number of patients is needed to evaluate the superiority of these treatments.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Therapy on Neglect of Stroke Patients)

  • 전소현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5
    • /
    • 2018
  • 목적 진동자극기는 타 치료도구에 비하여 임상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팔 활성화훈련을 수동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음과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진동감각에 관련한 연구는 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측 상지의 손에 제공된 진동감각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증상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9일부터 동년 11월 7일가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평일 하루에 한 번 총 18회로 (기초선 과정 4회, 중재 과정 6회, 기초선 회귀 과정 3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MMES-K를 사용하였으며 편측무시 검사도구로는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초선과 중재기의 회기 별 측정값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평가결과 모두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에 놓친 오류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훈련 후에도이 감소는 유지되었다. 선 나누기 검사에서 평균 $4.5{\pm}1$개 누락에서 평균 $2{\pm}1.2$개 누락 그리고 평균 $0.6{\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알버트 검사 결과, 평균 $22.5{\pm}1.9$개 누락에서 평균 $8{\pm}7.3$개 누락 그리고 평균 $0.3{\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별 지우기 검사에서는 평균 $26{\pm}4.6$개 누락에서 평균 $21.8{\pm}1.7$개 누락 그리고 평균 $20{\pm}0$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편측무시 증상 개선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중재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