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검색결과 26,635건 처리시간 0.046초

방사선 이해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Radiation Understanding Education)

  • 양진희;박윤;김현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65-369
    • /
    • 2014
  • 본 연구는 방사선 이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방사선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올바른 이해와 방사선 노출로 인한 유아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8월 C시와 G시의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 낮았으며,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을수록 방사선의 일반적인 유해성과 피폭유해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 정도는 낮았으나,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교사교육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초등학생들은 '='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 문항유형별 실태조사 -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 - Performance on Various Item Types -)

  • 김정원;최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79-101
    • /
    • 2016
  • 등호에 대한 이해는 대수적 사고 발달에 핵심이 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2~6학년 학생 695명의 등호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답 반응이 오답 반응에 비하여 높게 드러났으나, 정답 반응 가운데 등호의 관계적 관점이 아닌 계산에 치중하는 등호의 연산적 관점 또한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표준 문맥 이외의 등식 문맥에서 등식 구조를 판단하거나 등식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등호 개념에 관한 불안전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의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패션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경기권 2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Understanding their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 Focus on the Community College Students in Gyeongido -)

  • 홍성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39-5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influence on the effect of understanding their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of the communit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and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resources o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of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tudy, 349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for the questionnaires for the understanding major,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s survey.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indecision factor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were extracted 5 valuables that were 'insufficiencies vocational information', 'an undeceivable character', 'the lack of self well-defined', 'the lack of needs for job' and 'external barrier for the career'. Second, the subordinate valuables of understanding major which is 'social cognition for the major', 'satisfaction on the major course', and 'satisfaction on the major skill', had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f-efficacy. Third, understanding of major and the subordinate valuables of career self-efficacy which is 'making goal for the career', 'career information', 'career plan for the future', 'alternative searching', and 'overcoming difficulties' had negati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Forth, understanding major and career self-efficacy had medicated in career indecision.

초등학생들의 산-염기, 산성비, 토양산성화에 대한 이해 (An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 김성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764-178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n the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280 6th grader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A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of (a) acid-base basic knowledge, (b) acid rain and (c) soil acidification. (d) In addition, students were asked to commen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acid rain experiment in the science textbo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garding acid-base basic knowledge. They know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acid-based solutions well but they don't know the acid-base neutralization, examples us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 in real life. Second, the results regarding acid rain, students know the definition and damage of acid rain but they don't know the causing substances, emission source and way of solution of acid rain for lack of knowledge. Third, the results regarding soil acidification was the well-known part for the students because they had continued learning about the soil from the lesson of acid rain. Also, we looked into the difference in gender and region about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data about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female was higher than male's. Also we expected that urban students were higher than rural students on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but the understanding of urban students were similar to rural students. Fourth, we got positive answers and negative answers to the introduction of acid rain experiment. Most of the positive opinion were I want to know a lot acid rain experiment", followed 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the damage and It seems to having fun and new order. Most of the negative opinion were Acid rain experiment may be difficult and complicated followed by Just a theory in the book is enough, Acid rain experiment were boring and not fun, Acid rain experiment is dangerous, There are many to study in this order.

철강산업분야 영마이스터 인력 양성 위한 '철강의 이해' 교과서 내용 선정 연구 (A study on a textbook, 'Understanding on Steel' to teach young meister of steel industry)

  • 우연재;김기수;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2-12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철강산업분야 영마이스터(young meister) 인력 양성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목의 단원 내용을 선정하고, '철강의 이해' 교과서 편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철강산업분야 '철강의 이해' 교과목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 집필을 위한 면담지를 작성하였다. 둘째, 면담 조사를 통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교과목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교과목 내용은 교재개발 연구진 및 집필진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대단원의 학습 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중단원 및 소단원의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강산업분야 '철강의 이해' 교과목 프로파일에 제시된 대단원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단원 내용 구성에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중단원 및 소단원을 선정하였다.

  • PDF

중학생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해 및 학습 전략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Strategies)

  • 차정호;윤정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3-570
    • /
    • 2005
  • 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해 및 학습 젼략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인천 지역의 중학교 1학년 162명을 대상으로 과학 지식의 본성 검사와 학습 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밀도에 대한 컴퓨터 보조 수업 후 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개념 이해와 심층적 및 피상적 학습 전략은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학생들의 복합적인 학습 전략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층적 전략 점수는 높고, 피상적 전략 점수는 낮은 집단(군집 1)', '심층적 전략 점수는 낮고, 피상적 전략 점수는 높은 집단(군집 2)', '심층적, 피상적 전략 점수가 모두 높은 집단(군집 3)'으로 구분 되었다. 일원 변량 분석 결과, 과학 지식의 본성 검사와 개념 검사 모두에서 군집 3의 점수가 다른 군집들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개념 검사에서는 군집1이 군집2에 비해 보다 높은 성적을 보였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로그함수에 대한 이해도 및 오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Errors of the Logarithmic Fun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경숙;김승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12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igh school second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basic nature of logarithm, the major type of error they made about logarithmic function and the cause of such an error, and to seek ways to instruct it better. For that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Investigate how much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comprehend the nature of logarithm. 2. Analyze what type of error they make about logarithmic function. 3. Analyze the cause of their error according to the selected error models and how it could be taught more effici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natural science student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sic nature of logarithm than the academic students. What produced the widest gap between the two groups' understanding was applying the nature of logarithm to the given problems, and what caused the smallest gap was the definition of logarithm and the condition of base. Second, the academic students had a poorer understanding of the basic nature of logarithmic function graph and of applying the nature of logarithm to the given problems. Third, the natural science students didn't comprehend well the basic nature of logarithmic function graph, the nature of characteristics and mantissa. Fourth, for all the students from academic and natural science courses, the most common errors were caused by the poor understanding of theorem or nature of the [E4] model. Fifth, the academic students made more frequent errors due to the unfamiliar signs of the [El] model, the imperfect understanding of theorem or nature of the [E4] model, and the technical part of the [E6] model. Sixth, the natural science students made more frequent errors because of the improper problem interpretation of the [E2] model and the logically improper inference of the [E3] model.

  • PDF

호의 측도로 도(Degree)와 라디안 이해하기 (Understanding of Degree and Radian by Measuring Arcs)

  • 최은아;강향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47-4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degree)와 라디안을 호의 측도로 해석하는 것이 라디안과 각의 측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호의 길이를 이용한 각의 측도에 대한 내용지식을 26명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두 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들과 두 중학생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도(degree)의 개념을 호의 측도로 해석한 경험이 라디안의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호의 측도로 각의 측도를 파악하는 과정이 '선형 측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각에 관한 다양한 문제에서 원의 맥락과 호의 등분 전략이 효과적인 문제해결전략으로 작용하였으며, 각과 호의 측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직접적인 조작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각의 측정 개념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주도(濟州道) 향토음식(鄕土飮食)에 관(關)한 대학생(大學生)의 인지도(認知度) 및 기호도(嗜好度)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Native Foods in Cheju-Do, Korea)

  • 양인선;황춘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7-330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native foods in the future continuosly, and (2)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llowing college student's to correctly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by investigating those college students' prefer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native foods in Cheju-do.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use of questionaires for 344 residing in Cheju-do from 20th to 29th May, 1989.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performed by use of SAS program, whi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examined by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was showed that college man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hose native foods than college women. 2. The result relating to age indicated that the more the age,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3. The result by residing areas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in the rural area showe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than students in the urban area. 4.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ose subjects' mothers, it was shown that those college students of mothers having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native foods. 5. Those college students having good understanding of native foods accounted for 63.4 percent, while students requiring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ose native foods for 91.0 percent. As a consequence, it is apparent that most subjects tended to show the positive responses to those native foods.

  • PDF

대학 신입생들의 명제에 대한 이해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tatements)

  • 김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2호
    • /
    • pp.261-280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명제단원의 내용 체계가 수학적 논리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기초 준비로는 너무 약화되어 있어, 그러한 명제 교육을 받고 대학에 진학한 신입생들이 명제와 관련된 개념 이해에서 많은 어려움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명제교육을 받고 지방 중위권 대학에 입학한 이공계 신입생들의 명제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 기초 수학 학습에서 요구되는 기본 명제 개념들로 이루어진 문제를 적용하고, 그 문제 해결과정에서 보이는 신입생들의 오류와 특징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명제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실태를 보고함으로써, 대학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논리 기초 개념들에 대한 지도를 어느 수준까지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