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cut

검색결과 1,157건 처리시간 0.037초

좌초손상을 고려한 최종강도 실험 (Ultimate Strength tests Considering Stranding Damage)

  • 이탁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6-91
    • /
    • 2008
  • 연근해를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선저가 암초 상에 올라앉는 정지형 좌초(stranding)를 당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손상을 입은 선박의 최종강도는 저하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리즈 붕괴실험을 수행하여 선체구조의 최종강도에 대한 정지형 좌초손상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단면이 720 mm $\times$ 720 mm이고, 시험체의 길이가 900 mm인 5개의 박스 거더형 모형이 제작되었으며, 각 판 부재에는 종보강재가 부착되어 있다. 5개의 모델 중에는 1개의 비손상 모형과 암초 단면을 이상화한 마름모꼴 손상을 가진 4개의 손상 모형이 있다. 손상 모형 중 3개는 손상부의 판을 잘라 내었으며, 때는 보다 실제적인 좌초손상을 표현하기 위해 프레스 가공하였다. 최종강도 실험은 순수 굽힘 하중 하에서 수행되었으며, 작용하중과 선저판의 변위를 계측하였다. 실험 결과, 최종강도는 손상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손상이 선폭의 30%에 이르는 가장 큰 손상 모형의 최종강도는 비손상 모형에 비해 약 21%정도 감소되었다. 프레스 가공한 손상 모형의 최종강도는 손상부를 잘라 내어 제거한 모형에 비해 낮았다 이는 프레스 가공한 손상부의 판이 최종강도를 떨어뜨리는 쪽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에타놀-석유(石油) 혼합연료(混合燃料)의 농용석유(農用石油)엔진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Technical Feasibility of Ethanol-Kerosene Blends for Farm Kerosene Engines)

  • 배영환;류관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1호
    • /
    • pp.53-61
    • /
    • 1982
  • As an attempt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kerosene engine,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using several kinds of ethanol-kerosene blends under the various compression ratios. The engine used in this study was a single-cylinder, four-cycle kerosene engine having a compression ratio of 4.5.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ethanol-kerosene blends in the original engine, kerosene and blends of 5-percent, 10-percent, and 20-percent-ethanol, by volume, with kerosene were used. An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kerosene engine, a portion of the cylinder head was cut off to increase the compression ratio up to 5.0 by reducing the combustion chamber volume. Kerosene and blends of 30-percent and 40-percent-ethanol, by volume, with kerosene were used for the modified engine with an increased compression ratio. Variable speed tests at wide-open throttle were also conducted at five speed levels in the range of 1000 to 2200 rpm for each compression ratio and fuel type. Volumetric efficiency, engine torque, and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were determined, and brake thermal efficiency based on the lower heating values of kerosene and ethanol was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Test with the original engine: (1) No abnormal conditions were found when burning ethanol-kerosene blends in the original engine. (2) Volumetric efficiency increased with ethanol concentration in blends. When burning blends of 5-percent, 10-percent, and 20-percent ethanol, by volume, with kerosene, average volumetric efficiency increased 1.6 percent, 2.6 percent, and 4.1 percent respectively, than when burning kerosene. (3) Mean engine torque increased 5.2 percent for 5-percent-ethanol blend, 9.3 percent for 10-percent-ethanol blend, and 11.5 percent for 20-percent-ethanol blend than for kerosene. Increase in engine torque when using ethanol-kerosene blends was due to the improv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ethanol as well as an increase in volumetric efficiency. (4) Up to ethanol concentration of 20 percent, mean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nearly constant inspite of the difference in heating value between ethanol and kerosene. (5) Brake thermal efficiency increased 0.3 percent for 5-percent-ethanol blend, 3.8 percent for 10-percent-ethanol blend, and 6.8 percent for 20-percent-ethanol blend than for kerosene. B. Test with the modified engine with an increased compression ratio: (1) When burning kerosene, mean volumetric efficiency, engine torque, and brake thermal efficiency were somewhat lower than for the original engine. (2) Engine torque increased 15.1 percent for 30-percent-ethanol blend and 18.4 percent for 40-percent-ethanol blend than for kerosen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regardless of ethanol concentration in blends. (4) Brake thermal efficiency increased 15.0 percent for 30-percent-ethanol blend and 19. 5 percent for 40-percent-ethanol blend than for kerosene.

  • PDF

감염목 벌채 톱밥에 포함된 소나무재선충의 뿌리 감염 불가능성 (Improbability of Root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in Sawdust Discharged from Chain Saw Lumbering of Infected Trees)

  • 이승규;박주용;이총규;황진현;문일성;전향미;허혜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이 연구는 기계톱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를 통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멸균수와 세 가지 토양습도(15%, 22.5%, 30%, v/v)로 조절된 포트 토양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생존가능기간, 뿌리의 상처 유무를 정밀하게 조절한 곰솔 묘목에 대한 접종실험,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에 최적인 토양 습도 및 온도 조건에서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톱밥을 이용한 야외실연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토양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생존가능기간은 약 3일 정도이었으며, 충분한 토양습도 조건에서도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경우에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고,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벌채톱밥을 이용한 실연시험에서도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방제현장에서 기계톱에 의한 감염목 벌채 시 배출되는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다른 나무로의 이동하여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진동대 시험에 의한 편평한 암석 절리면의 동적 마찰거동 특성 (Dynamic Frictional Behavior of Saw-cut Rock Joints Through Shaking Table Test)

  • 박병기;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1호
    • /
    • pp.58-72
    • /
    • 2006
  • 암반구조물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암반이 자유면에 노출되는 확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지진이나 발파, 고속철도의 운행에 의한 진동 등으로 야기되는 동적 하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동적 하중조건 하에서 암반 불연속면의 거동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면에 노출된 블록의 동적 거동을 모사할 수 있도록 경사면 진동대 시험장비를 제작하였고, 다양한 동적 하중 조건하에서 편평한 화강암 절리면의 마찰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경사시험을 통해서 구한 한계 경사각과 진동하중 하에서의 임계가속도로부터 역산한 정적 마찰각을 비교한 결과 동하중 하에서 정적마찰각이 $4.5\~8.2^{\circ}$ 정도 낮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론적인 암석 블록의 마찰 거동을 표현하는 블록 거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진동하중에 의해 미끄러지는 암석 블록의 가속도 및 변위 계측결과를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암석 절리면의 동적 마찰각을 산정하였는데 동적 마찰각 역시 한계 경사각에 비해 $2.0\~7.5^{\circ}$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동하중 하에서 측정된 정적 마찰각과 동적 마찰각은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나 진폭 등의 하중 특성과 기하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개별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동대 시험을 모사하였는데, 계측결과 및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진동대 시험에 의한 동적, 정적 마찰각은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기본 마찰각보다 현저히 작게 산정되었다.

논 중간 낙수기에 미꾸라지 피난처로서 둠벙의 기능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Small-scale Pond at Paddy Field as a Shelter for Mudfish during Midsummer Drainage Period)

  • 김재옥;신현상;유지현;이승헌;장규상;김범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7-4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 중간 낙수 기간 동안 미꾸라지의 이동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 결과, 미꾸라지는 중간 낙수 초기에는 배수로 쪽으로 수로가 형성되어 둠벙보다는 배수로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체 표지한 미꾸라지 중 약 3.0%가 배수초기에 배수로를 통해 농업용 배수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낙수가 완료되어 논에 물이 없는 시기에는 전체 표지 미꾸라지 중 5.0%의 미꾸라지가 둠벙으로 이동하여, 중간 낙수기간 동안 둠벙을 피난처로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동안 표식한 미꾸라지 중 논 바닥을 파고들어 가는 것은 채집되지 않았다. 둠벙이 있는 논에서는 바닥을 파고 들어가기보다는 둠벙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한 것인지 아니면 표식에 의한 스트레스로 바닥을 파고들어갈 힘이 부족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둠벙과 논에서 채집한 미꾸라지의 소화관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둠벙에서는 동물성 먹이가 86.1%, 식물성 먹이가 13.9%를 차지하여 동물성 먹이가 매우 우세하였다. 둠벙에서 채집된 미꾸라지 중 90% 이상이 먹이를 섭식하고 있었으며 10% 정도가 공복상태를 보이고 있어 표식 후 방류한 미꾸라지가 둠벙에서 정상적인 섭식 활동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논에서 채집된 미꾸라지는 모든 개체가 공복 상태를 보이고 있어 섭식활동에 장애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폐색전증 환자에서의 임상적 악화를 예측하는 전산화 단층촬영상 소견 (Chest CT Parameters to Predict the Major Adverse Events in Acute Submassive Pulmonary Embolism)

  • 정상구;김원영;이충욱;서동우;이윤선;이재호;오범진;김원;임경수;홍상범;임채만;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3호
    • /
    • pp.184-190
    • /
    • 201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chest computed tomographic (CT) parameters in acute submassive pulmonary embolism (PE). Methods: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9, 268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submassive PE that was confirmed by chest CT with pulmonary angiography in emergency room were studied. One experienced radiologist measured CT parameters and judged the presence of right ventricular dysfunction. CT parameter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ability to predict a major adverse event (MAE). Results: There were 220 patients included and 61 (27.7%) had MAE. Left ventricular and right ventricular maximum minor axis ($36.4{\pm}8.0$ vs. $41.7{\pm}7.4$, p<0.01; $45.7{\pm}9.4$ vs. $41.5{\pm}7.6$, p<0.01), superior vena cava diameter ($19.2{\pm}3.4$ vs. $18.0{\pm}3.4$, p=0.02), azygos vein diameter ($10.0{\pm}2.2$ vs. $9.2{\pm}2.3$, p=0.02), septal displacement (19 vs. 18,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E group than in no MAE group. Patients with MAE had high right ventricular/left ventricular dimension ratio (RV/LV ratio)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MAE ($1.34{\pm}0.48$ vs. $1.03{\pm}0.28$, p<0.01). The most useful cut-off value of RV/LV ratio for MAE was 1.3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was 0.71 (0.62~0.79). Conclusion: RV/LV ratio on chest C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bmassive PE related shock, intubation, in-hospital mortality, thrombolysis, thrombectomy within 30 days.

고리 금속판을 이용한 망치 손가락의 수술적 치료법 (Surgical treatment of Mallet finger deformity with Hook plate)

  • 최석민;정성균;신호성;박은수;김용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318-321
    • /
    • 2009
  • Purpose: The bony mallet finger injury is generally managed by conservative treatments, but operative treatments are needed especially when the fractures involve above 30% of articular surface or distal phalanx is accompanied by subluxation in the volar side. This is the reason they often result in chronic instability, articular subluxation and unsatisfactory cosmetic. In this report, We describe new method using the hook plate as an operative treatment of Mallet finger deformity. Methods: Among 13 patients with Mallet finger deformity who came from February 2006 to February 2008, six patient were included in surgical indication. Under local anesthesia, H or Y type incision was made at the DIP joint area. After the DIP joint extension, the hook plate was put on the fracture line, and one self tapping screw was used for fixation. 2 hole plate which was one of the holes in 1.5 mm diameter was cut in almost half and bended through approximately $100^{\circ}$. Results: In all six cases which applied the hook plate, complications such as loss of reduction or nail deformity were not seen. In only one patient, hook pate was removed due to inflammatory reaction after surgery. At 2 weeks after operation, active motion of DIP joint was performed. The result was satisfactory not only cosmetically but also functionally. At 6 weeks after operation, the range of motion of DIP joint was average $64^{\circ}$.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operative treatment for mallet finger deformity using the hook plate is to provide anatomical reduction with rigid fixation and to prevent contracture at the DIP joint. While other operations take 6 weeks, the operation using the hook plate begins an active motion at 2 weeks after operation. Complication rate was low and the method is rather simple. Thus, the operation using the hook plate is recommended as a good alternative method of the mallet finger deformity treatment.

GalUR 유전자를 이용한 비타민 C 증대 상추 (Lactuca sativa L.) 형질전환체 개발 (Transgenic lettuce (Lactuca sativa L.) with increased vitamin C levels using GalUR gene)

  • 임미영;조이남;채원기;박영수;민병환;한지학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15-120
    • /
    • 2008
  • 사람은 채소를 통해 필수영양소인 L-Ascorbic acid (vitamin C)를 공급받는다. 본 실험의 목적은 비타민 C 생합성 유전자인 GalUR 유전자를 상추 (Lactuca sativa L.)에 형질전환 하고자 실시하였다. (주)농우바이오의 화홍적축면 상추의 자엽 절편체를 선발배지 (MS + 30 g/L Sucrose + 0.5 mg/L BAP + 0.1 mg/L NAA + 100 mg/L Kanamycin + 200 mg/L Lilacillin, pH 5.2.)에 치상하여 3주 경과후 자엽 절편체의 절단면에서 callus와 신초가 형성되었다. 그 결과 GalUR 유전자로 상추형질전환을 성공하였고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상추 형질전환체 line에서 높은 함량의 비타민 C 특히, GalUR 유전자가 삽입된 $T_1$ 중 일부는 비형질전환체에 비해 $3{\sim}4$배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GLOase 유전자 형질전환 상추 $T_1$ 세대에서 고함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한 결과와 일치한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비타민 C 고함량 $T_2$ line을 선발하였다.

파이로시퀀싱을 이용한 비료 장기 연용지의 벼 뿌리 내생세균의 군집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oots of Rice Grown under Long-term Fertilization Practice using Pyrosequencing Method)

  • 김병용;안재형;송재경;김명숙;원항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00-1107
    • /
    • 2012
  • 화학비료의 장기 시용이 벼 내생 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국립농업과학원의 장기 비료 연용 포장에서 재배한 벼 뿌리의 내생균의 군집을 파이로시퀀싱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3요소구 (APK)와 무비구 (NF) 시료에서 직접 DNA를 추출하여 세균에 특이적인 barcode PCR을 수행한 후 454 파이로시퀀싱을 하였다. 두 시료 (3요소구, 무비구)에서 1,900개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각각 177개와 72개의 OTU로 분류하였다. 두 시료는 22개의 OTU를 공유하였으며, 이들 OTU는 두 시료에서 모두 우점하였다. 특히 Pseudomonas속에 속하는 OTU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문 (phylum) 수준에서 우점하는 내생균은 두 시료 모두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등 이었다. 처리구별로 계산한 다양성 지수는 3요소구 시료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간 비료 시용은 식물체내 존재하는 내생균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며, 벼 뿌리의 내생 세균의 군집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Intermittent Sciatic Nerve Stimulation on the Soleus and Medial Gastrocnemius Muscle Atrophy in Hindlimb Suspended Rats

  • Park, Byung-Rim;Cho, Jung-Shick;Kim, Min-Sun;Chun, Sang-W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6권2호
    • /
    • pp.159-166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ffects of intermittent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ciatic nerve on the atrophic response of antigravity muscles, such as the soleus (slow m.) and medial gastrocnemius (fast m.) muscles. Rats (Sprague-Dawley, 245-255g) were subjected to a hindlimb suspension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 one was with hindlimb suspension (MS) and another with hindlimb suspension plus intermittent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ciatic nerve (HS ES). Control group (CONT) was kept free without strain of the hindlimb. After 7 days of hindlimb suspension, the soleus and medial gastrocnemius muscles were cut at their insertion sites, and were then connected to the force transducer to observe their mechanical properties. Optimal pulse width and frequency of electrical stimulation were 0.2ms, 20Hz for the soleus muscle and 0.3ms, 40Hz for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under supramaximal stimulation. Body weight and circumference of the hindlim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S and HS-ES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HS-ES group, however, the weight of the soleus muscle was not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 weight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HS group, mechanical properties of muscle contraction including contraction time, half relaxation time, twitch tension, tetanic tension, and fatigue index of both musc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witch tension and tetanic tension of medial gastrocnemius muscle. The degree of atrophy of the soleus muscle in HS group was more prominent than that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Twitch tension and fatigue index of the soleus muscle and fatigue index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in HS-ES group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il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leus muscle examined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in HS-ES group compared with HS group, only contraction time and fatigue index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S-ES group. These data indicate that intermittent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useful in prevention of muscle atro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