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Diagnosi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4초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in Korea: An Evidence-Based Approach

  • Lee, Jun Haeng;Kim, Jae G.;Jung, Hye-Kyung;Kim, Jung Hoon;Jeong, Woo Kyoung;Jeon, Tae Joo;Kim, Joon Mee;Kim, Young Il;Ryu, Keun Won;Kong, Seong-Ho;Kim, Hyoung-Il;Jung, Hwoon-Yong;Kim, Yong Sik;Zang, Dae Young;Cho, Jae Yong;Park, Joon Oh;Lim, Do Hoon;Jung, Eun Sun;Ahn, Hyeong Sik;Kim, Hyun J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2호
    • /
    • pp.87-104
    • /
    • 2014
  • Although gastric cancer is quite common in Korea, the treatment outcome is relatively favorable compared to those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Korean multidisciplinary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Experts from related societies developed guidelines de novo to meet Korean circumstances and requirements, including 23 recommendation statements for diagnosis (n=9) and treatment (n=14) based on relevant key questions.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rated according to the GRADE evidence evaluation framework: the evidence levels were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recommendation grades were classified as either strong or weak. The applicability of the guidelines was considered to meet patients' view and preferences in the context of Korea. The topics of the guidelines cover diagnostic modalities (endoscopy, endoscopic ultrasound, and radiologic diagnosis), treatment modalities (surgery, therapeutic endoscop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pathologic evaluation. An external review of the guidelines was conducted during the finalization phase.

갑상선 우연암종의 임상병리적 특성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s)

  • 정웅윤;정재호;장항석;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68
    • /
    • 2000
  • Objectives: With the recent advances and increasing use of imaging techniques in examination of the neck, the incidence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 thyroid carcinomas and to find optim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se lesions. Materials & Methods: From Jan. 1988 to Aug. 1998, 1,053 patients were operated on for thyroid cancer, of whom 127(12.1%) had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ncers which were identified during routine health checkups(n=40), diagnostic procedures for unrelated medical conditions(n=39) and mass screening for thyroid cancer(n=48). The preoperative diagnosis was obtained by ultrasound-guided FNAB and the extent of surgery was determined based on frozen section examinations, as well as prognostic factors and gross findings at the time of surgery. Results: There were 6 men and 121 women with a mean age of 45.9 years. Histopathological diagnosis included papillary carcinomas(n=1l9), follicular carcinomas(n=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n=l) and medullary carcinoma(n=1). Thirty patients(23.6%) had multifocallesions. The mean diameter of the tumors was 1.1 cm(0.2-3.4 cm). Capsular invasions were found in 53 patients(41.7%) and nodal metastases in 41(32.3%). The surgical procedures used were: 90 less-than total thyroidectomies and 37 total thyroidectomies with central neck node dissection. Lateral neck dissection was added in 5 patients. According to TNM staging, 79 patients(63.2%) were at stage I, 15(12.0%) at stage II, 31(24.8%) at stage III and 0(0.0%) at stage IV. By AMES scoring system, 102 patients(81.6%) were in the low-risk group and 23(18.4%) in the high-risk group. And by MACIS scoring system, 103(86.6%) of 119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were less than 6. Conclusions: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s are similar to ordinary thyroid carcinomas. The treatment of choice should be individualized based on the particular clinical situation encountered, as in ordinary thyroid carcinomas.

  • PDF

소아의 구강저에 발생한 타석증 (SIALOLITHIASIS ON THE MOUTH FLOOR IN A CHILD)

  • 이효설;최병재;최형준;김성오;손흥규;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4-118
    • /
    • 2009
  • 타석증은 대, 소타액선의 도관내에 석회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이다. 타액의 점도가 높고 도관이 길고 구부러진 악하선에서 가장 호발한다. 어떤 나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중년에서 호발하며 어린이에서는 드물다. 타석증의 임상 증상은 다양하지만, 부종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이 동통이다.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파노라믹 방사선 사진, 하악 교합면 방사선 사진, 타액선 조영술, 구강 내 및 구강 외 초음파, CT, MRI, 타액선 내시경)가 타석증의 진단 및 타석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치료는 도관의 절개에 의한 타석의 제거나 타액선의 절개를 포함하는 수술적 치료가 많다. 그러나, 일부는 쇄석술과 $CO_2$ 레이저, 내시경 등의 비침습적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5세 여환이 구강저의 노란색 물질을 주소로 개인 병원에서 의뢰되었다. 4개월 전 처음 발견했을 때보다 3배 더 커졌으며 때때로 동통이 있었다고 하였다. 임상 검사 상, 노란색의 단단한 물질이 악하선 도관의 입구에서 관찰되었다. 와튼스 도관의 전방부에 발생한 악하선 타석증으로 진단내렸다. 국소마취하에 타석을 적출하였다.

  • PDF

소아 Kikuchi 병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ikuchi disease in children)

  • 정성훈;박성신;이규하;송준혁;한미영;최용묵;차성호;박용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2호
    • /
    • pp.129-135
    • /
    • 2007
  • 목 적 : Kikuchi 병은 고열을 동반한 양성 림프절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이다. 주로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며 소아에 있어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병인으로는 바이러스와 연관성, 자가 면역기전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괴사성 림프절염 5례를 경험하였기에 소아에 있어 Kikuchi 병의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소아과에 Kikuchi 병으로 진단 받은 환아 5명을 의무기록을 통해 발생 연령, 성별비, 계절별 발생빈도, 임상증상, 과거력, 검사 소견, 림프절의 발생 부위 및 크기, 방사선학적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남아가 2명, 여아가 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9년 9개월(8년 2개월-12년 6개월)이었다. 주된 증상은 지속되는 발열과 림프선 비대로 병원을 방문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생제 치료를 받았으며, 2명의 환자에게서 발진이 발생하였다. 1례에서 초음파 검사상 Kikuchi 병이 의심되는 괴사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3례에서 추가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하였다. 입원 후 절제 생검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은 10.2일(7-15일)이었다. 5례 모두 림프절 절제 생검 후 조직 검사상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확진하였다. 결 론 : Kikuchi 병은 진단 전에 불필요한 검사와 항생제 치료를 하며 이로 인해 입원 기간도 길어진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 있어 Kikuchi 병의 임상 양상을 고찰하였다.

  • PDF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견관절 상완 이두건 장두의 아탈구 (Subluxation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und)

  • 박상은;정재중;이연수;김영율;김명진;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목적: 이학적 검사나 단순 방사선, 정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로 진단된 2명의 남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연부조직 상완 이두건 장두 고정술을 시행하고 증상 및 기능적 회복 정도를 평가 하였다. 결과: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아탈구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증상 및 기능적 평가에서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진단이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CT 유도하 국소적 폐질환의 경피적 흡입생검의 장점과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 and Merit of Computed Tomography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of Focal Lung Lesion)

  • 장유송;조길호;변우목;황미수;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27-134
    • /
    • 1993
  • PTNB는 최근 CT 기술의 발전과 20 gauge 또는 22 gauge의 세침의 개발로 합병증을 줄이는 한편, 성공율이 높아 점차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44례의 PTNB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분포는 50대 남자가 17례로 가장 많았고 종괴의 크기와 위치는 4cm 전후가 36례(84%)로 가장 많았다. 종괴의 국소적 위치는 변연부에 위치한것이 33례(75%)의 주로 폐의 변연부에 위치하였다. 조직 채취는 42례(95%)에서 가능했으며, PTNB의 민감도는 61%(27/44)였고 악성종괴와 양성종괴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79%(19/24), 44%(8/18)였다.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이유는 단 1회 시술로 결과를 얻었고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반복 PTNB는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합병중인 기흉이나 각혈은 각각 1례에서 얻었고 모두 특별한 치료없이 호전되었다. 이상에서 PTNB는 다른 검사 방법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며 기관지경을 통한 생검이 불가능하거나 생검후에도 병리소견을 못얻을 경우 PTNB를 통해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을 구분하므로서 환자의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국소적 폐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PTNB의 유용성은 더욱 증가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

전립선비대증 초음파 영상에서 GLCM을 이용한 컴퓨터보조진단의 영상분석 (Image Analysis of Computer Aided Diagnosis using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in the Ultrasonography for Benign Prostate Hyperplasia)

  • 조진영;김창수;강세식;고성진;예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84-191
    • /
    • 2015
  • 전립선 초음파영상은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을 진단하고 전립선암의 생검과 전립선비대에서 전립선 크기 확인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전립선비대증은 노인 남성의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전립선은 주변구역, 중심구역, 이행구역과 전방 섬유근 간질부분 4개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전립선비대증은 조직학적으로 전립선 이행구역에서 결절성 증식을 동반한 요도주위의 진행성 과증식이 특징으로 이 결절로 인한 요도 폐쇄를 야기함에 따라 하부요로 증상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전립선 이행구역 영상과 전립선비대 이행구역 영상에 대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GLCM을 적용하여 정상영상 60증례와 전립선비대증영상 60증례을 분석영역($50{\times}50$ 픽셀)으로 설정하고, 각 영상에서 Autocorrelation, Contrast, Cluster Prominence, Entropy, Max Probability, Sum average 6가지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Autocorrelation, Cluster Prominence, Entropy, Sum Average 4개의 파라미터에서는 병변의 질감 검출 효율이 92-98%로 높게 나왔다. 이에 전립선 이행구역의 결절성 증식 변화를 정량적인 영상분석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전립선비대증 진단에 있어 2차적인 수단으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전립선 초음파 영상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산전 진단을 위한 임신 중기 양수 천자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 김숙령;최은정;김태윤;권경훈;송남희;오선경;지희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5권2호
    • /
    • pp.125-130
    • /
    • 2008
  • 목 적: 양수 천자를 이용한 세포 유전학적 결과와 산전 유전 진단의 적응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간 미즈메디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 중 산전 유전 진단의 적응증에 해당되어 양수 천자를 시행한 2,523예에 대하여 세포 유전학적 검사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결 과: 양수 천자를 시행한 2,523예의 적응증은 고령의 산모가 1159예(4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양성 산모혈청 표지자가 755예(29.9%)로 많았다. 염색체 핵형 분석 결과로는 정상 핵형이 2,413예(95.6%)였으며, 염색체 이상을 보인 경우가 110예(4.4%)였다. 염색체 이상을 보인 110예에서는 수적 이상이 38예(34.5%), 구조적 이상이 65예(59.1%), 모자이시즘이 7예(6.4%)로 나타났다. 위의 110예의 염색체 이상을 적응증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는 고령의 산모로 의뢰된 경우가 40예(36.4%)로 가장 많았으며, 양성 산모 혈청 표지자가 36예(32.7%)로 많았다. 결 론: 양수 천자는 산전 진단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에 고령 산모, 산모 혈청 표지자 검사 그리고 초음파 소견과 같은 적응증은 태아의 염색체 이상 등을 예측하기 위한 산전 세포 유전학적 진단에 효과적인 요인이 된다. 이에 지난 8년간의 미즈메디에서 시행한 산전 세포 유전학 분석 결과는 산전 진찰 및 유전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Prenatal Diagnosis of Chromosome 22q11.2 Deletions: Experiences in a Single Institution

  • Chae, Yong Hwa;Kwak, Dong Wook;Kim, Moon Young;Park, So Yeon;Lee, Bom Yi;Lee, Yeon Woo;Lee, Young Ho;Song, Mi Jin;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2호
    • /
    • pp.99-10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of 22q11.2 deletions in fetuses with cardiac defects on fetal ultrasound or familial backgrounds of 22q11.2 dele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and ultrasonographic records of 170 fetuses that underwent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is for chromosome 22q11.2 deletions between February 2001 and April 2013. Results: Among 145 fetuses with cardiac defects, six (4.1%) had 22q11.2 deletions. Deletions of 22q11.2 were detected in 6 (5%) of the 120 fetuses with conotruncal defects: 5 (8.9%) of 56 with tetralogy of Fallot (TOF) and 1 (5.9%) of 17 with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DORV). No deletions were found in cases of pulmonary atresia, truncus arteriosus, right aortic arch, or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No 22q11.2 deletions were found in non-conotruncal cardiac malformations. Among 25 fetuses with familial backgrounds of 22q11.2 deletions, one (4%) had a maternally inherited 22q11.2 deletion with no cardiac findings. Conclusion: Knowledge of the frequency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of 22q11.2 deletions might be helpful for prenatal genetic counseling. It is advisable to perform FISH analysis for 22q11.2 deletions in pregnancies exhibiting conotruncal cardiac defects such as TOF or DORV.

Clinical Experiences of Molecular Genetic Evaluation of Achondroplasia in Prenatal and Neonatal Cases

  • Kwak, Dong Wook;Kim, Hyun Jin;Park, So Yeon;Ahn, Hyun Suk;Chae, Yong Hwa;Kim, Moon Young;Lee, Young Ho;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1호
    • /
    • pp.38-4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chondroplasia (ACH) diagnosed in fetuses or neonates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molecular genetic testing to confirm ACH.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and ultrasonographic records of 16 pregnant women, who had molecular genetic testing for ACH performed on their fetus or neonate at the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February 1999 and April 2013,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Detection of G1138A and G1138C mutations of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3 (FGFR3) gene was accomplish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Results: Of the eight fetuses and two neonate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ACH during pregnancy, four fetuses and one neonate was confirmed to have ACH and they all carried the heterozygous G1138A mutation. Out of 6 cases which had a history of ACH in prior pregnancies, three had genetic information for the previous fetuses while the other three did not. All six fetuses had no mutations at G380R. However, the one fetus of pregnant woman with non-confirmed ACH showed shortened long bone on ultrasound thereafter and the fetus was identified as having oto-spondylo-megaepiphyseal dysplasia after birth. Conclusion: Korean patients with achondroplasia have the heterozygous G1138A mutation that is most commonly defined in other countries. Molecular genetic evaluations of ACH are helpful not only for establishing diagnosis but for appropriate counseling with subsequent pregna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