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nic Polishing Syste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초음파 폴리싱 시스템의 개발 및 특성 (The Polishing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Ultrasonic Polishing System)

  • 문홍현;박병규;김성청;이찬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4-1020
    • /
    • 2003
  • We have developed the ultrasonic polishing system to get super finishing that consist of machine part that can rotate and travel the main shaft with power 1.5kW, ultrasonic generator with frequency 20kHz. By using this system we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polishing and deduced the major facters which affect the surface roughness by the experimental plans for three different materials such as ceramic, glass, and wafer, and so could be obtained following results. We could be obtained the excellent surface for hard-to-difficult cutting materials. The rotating speed could be found to be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surface roughness. In the case of ceramic and wafer, we were able to obtain good surface roughness when the feed rate and ultrasonic output is higher. In the case of glass, the surface roughness becames worse when ultrasonic output is higher because of increasing of load affacting on the particles in slurry.

  • PDF

혼 해석을 통한 초음파 폴리싱 시스템의 개발 및 연마특성 (The Polishing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Ultrasonic Polishing System through Horn Analysis)

  • 박병규;김성청;문홍현;이찬호;강연식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3-60
    • /
    • 2004
  • We hav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n experimental ultrasonic polishing machine with frequency of 20kHz at the power of vibration 1.7㎾ for effective ultrasonic polishing in processing of high hardness material. Design of the horn is performed by the FEM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mpirically deduc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to clarify the major elements which affect the surface roughness during the ultrasonic process by following the experimental plans. The ultrasonic polish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in parts of structure part, ultrasonic generator, vibrator. We were able to process the high hardness material without difficulty as a result of ultrasonic polishing by utilizing the groove added step-type horn. Through analyzing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plans, the rotating speed of the horn was determined to be the major factor in influencing the surface roughness. In the case of ceramic, wafer, we were able to obtain good surface roughness when the feed rate and the ultrasonic output were higher. Because the load on slurry particle increases when the ultrasonic output is higher, the processed surface becomes worse in the case of optical glass.

주파수 변동에 따른 초음파방오장비의 파울링제거효과 (Antifouling Effect of an Ultrasonic System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 배진우;박관식;류명록;박권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9-616
    • /
    • 2019
  • 선박에 파울링이 발생되면 운항 중 선박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 소모량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파울링의 제거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선박의 유지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주석과 같은 독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를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해수와의 마찰이나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운항 중에는 연마기능이 촉진되어 방오성능이 증대되나, 정박 중과 같이 실제로 파울링이 심화되는 경우에는 해수의 흐름이 없어 연마기능이 저하되어 방오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체의 진동 및 해수의 흐름이 없어서 연마 기능이 저하되는 정박 중에도 진동을 부여하여 연마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제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음파 방오장비의 성능의 신뢰성을 위해 파형발생기의 반복성을 확인하였고 장치의 파울링 제거효율의 정성적인 경향은 시편을 통해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주파수와 진폭의 반복성의 변동계수 값은 평균 0.2 %, 4.0 %를 나타냈고 시편의 파울링 발생량은 No.5 시편에서 73.3 g으로 가장 많았고 파울링 제거효율은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시편과 비교하여 평균 93.2 %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physical decontamination methods on zirconia implant surfaces: a systematic review

  • Tan, Nathan Chiang Ping;Khan, Ahsen;Antunes, Elsa;Miller, Catherine M;Sharma, Dileep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5호
    • /
    • pp.298-315
    • /
    • 2021
  • Purpose: Peri-implantitis therapy and implant maintenance are fundamental practices to enhance the longevity of zirconia implants. However, the use of physical decontamination methods, including hand instruments, polishing devices, ultrasonic scalers, and laser systems, might damage the implant surfaces.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decontamination methods on zirconia implant surface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was conducted using 5 electronic databases: Ovid MEDLINE,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and Cochrane. Hand searching of the OpenGrey database, reference lists, and 6 selected dental journals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satisfying the eligibility criteria. Results: Overall, 1049 unique studies were identified, of which 11 studies were deemed suitable for final review. Air-abrasive devices with glycine powder, prophylaxis cups, and ultrasonic scalers with non-metal tips were found to cause minimal to no damage to implantgrade zirconia surfaces. However, hand instruments and ultrasonic scalers with metal tips have the potential to cause major damage to zirconia surfaces. In terms of laser systems, diode lasers appear to be the most promising, as no surface alterations were reported following their use. Conclusion: Air-abrasive devices and prophylaxis cups are safe for zirconia implant decontamination due to preservation of the implant surface integrity. In contrast, hand instruments and ultrasonic scalers with metal tips should be used with caution.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laser systems could not be fully established due to significant heterogeneity among included studies, but diode lasers may be the best-suited system. Further research-specifically, randomised controlled trials-would further confirm the effects of physical decontamination methods in a clinical setting.

연마 방법과 칫솔질이 아크릴릭 레진의 표면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shing technique and brushing on the surface roughness of acrylic resin)

  • 이주리;정철호;최정한;황재웅;이동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7-293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연마 술식에 따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의 표면 거칠기의 차이를 비교하고, 광중합 광택제가 PMMA의 표면 거칠기에 주는 영향과 이후 칫솔질에 의한 거칠기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60개의 $10{\times}10{\times}5\;mm$ 크기의PMMA 시편을 만들었다. 중합 방법 (압력 하 중합과 대기압 하 중합)과 표면 연마 방법 (기계적 연마와 화학적 연마)에 따라 대조군을 포함하여 각 10개씩 총 6군으로 나누었다. 기계적 연마는 카바이드 덴처버로 표면 마무리 한 후, 러버 포인트와 퍼미스를 이용하여 하였으며, 화학적 연마는 표면 마무리 후 광중합 광택제 ($Plaquit^{(R)}$; Dreve-Dentamid GMBH)를 도포하여 실시 하였다. 연마가 완료된 후 비 접촉식 3차원적 표면 형상 분석장치인 Accura $2000^{(R)}$으로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3차원적 영상을 얻었다. 그 후 칫솔질에 의한 마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 전동 칫솔을 이용하여 각 시편당 칫솔질을 행하고 다시 Accura $2000^{(R)}$에 의한 표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거칠기의 정도는 Ra 값으로 표시하였다. 연마 후와 칫솔질 후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은 Mann-Whitney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화학적 연마군은 기계적 연마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작은 평균 표면 거칠기 값을 보였으며 (P = .0045), 일반 대기압 하에서 중합시킨 군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P = .0138). 초음파 전동 칫솔에 의한 모의 칫솔질 후 표면 거칠기는 기계적 연마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칫솔질 후의 표면 거칠기는 각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록 칫솔질에 의한 마모의 영향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화학적 연마가 기계적 연마에 비해 우수한 표면 거칠기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