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imate Tendon Stres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4초

외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극한상태에서의 강선응력예측식 제안 (Prediction of Prestressing Steel Stress at Ultimate State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with External Unbonded Tendons)

  • 오병환;유성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3-24
    • /
    • 1999
  • The external, unbonded prestressed concrete(PSC) members exhibit very different structural behavior from that of internal bonded PSC members because of eccentricity change and slip occurrence during loading proc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the ultimate failure stresses of prestressing (PS) steels for those external unbonded PSC members. To this end, a comprehensive analysis has been made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developed recently for external unbonded PSC members by authors. A series of major influencing variables have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pan-depth ratio, neutral axis depth-effective depth ratio, load geometry, amount of ordinary steel, and prestressing steel ration have great influence for the ultimate failue stress of PS steel is preposed and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 as well as existing formulas for internal unbonded members. The Comparison indicates that the proposed equation agrees relatively well with experimental data and that existing formulas including ACI and AASHTO equations show some discrepancies from experimental ones. The present study allows more realistic analysis and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with external unbonded tendons.

포스트텐션 경량콘크리트 보의 비부착 긴장재 응력에 대한 보강지수의 영향 (Effect of the Reinforcement Index on the Unbonded Tendon Stress of Post-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 문주현;양근혁;변항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89-90
    • /
    • 2010
  • 포스트텐션 경량콘크리트 보의 극한 휨 거동 시 보강지수가 비부착 긴장재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보 시험체가 실험되었다. 주요 변수는 보강지수 0.06, 0.15, 0.30 이었다. 실험결과 포스트텐션 경량콘크리트 보의 최대 휨 내력 시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은 ACI 318-08의 경험식에 의해 안전측에서 평가될 수 있었다.

  • PDF

외적 비부착강선을 가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극한휨거동 해석 (Study on the Ultimate Flexural Behavior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with External Unbonded Tendons)

  • 오병환;유성원;신정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662-667
    • /
    • 1998
  • Recently, the using PSC with external unbonded tendons is increased. However, the behavior of external unbonded tendons is different with that of bonded internal tendon at ultimate state by compatibility condition, the slip with friction at deviator and the change of tendon eccentricity e.t.c., So, the analytical research considered the effect of these inherent characters was performed and the tendency of external unbonded tendons was estimated by numerical examples. By the analytical results, load-deflection relationship and stress increment of external unbonded tendons were similar to those of internal bonded tendon at initial elastic behavior state. Those characters were, however, smaller than those character of internal bonded tendons. For external unbonded tendons, if the 1 deviator which is positioned at maximum moment point and more 2 deviators which are position between maximum moment point and support are existed, the flexural behavior is similar to internal bonded tendons.

  • PDF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교량 부재의 정착부 균열하중 및 극한하중의 예측 (Prediction of Cracking and Ultimate Loads of Prestressed Concrete Anchorage Zones in Box-Girder Bridges)

  • 임동환;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171-182
    • /
    • 1994
  •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다 교량의 정착부에 프리스트레스 힘이 도입되면, 과다한 국부집중 하중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 이러한 교량의 건설시 텐던을 따라가며 심각한 균열이 발생한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정착부에 발생하는 국부집중응력의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프리스트레스 정착부의 파괴거동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는 텐던의 경사각, 텐던의 편심 및 콘크리트의 연단두께 등이 정착부 파괴에 미치는 효과등을 규명하고, 이들 변수를 포함하는 정착부 균열하중 및 극한하중 예측식을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착부 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면의 형상, 텐던의 배치상태등을 변수로 하는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 및 배근방식에 따른 초기균열하중 및 극한하중 예측식이 제안되었다.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를 갖는 PSC 부재의 변위와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 응력의 상관관계 및 변수별 효과 (Relation of Defle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to Unbonded Tendon Stress and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 문정호;임재형;이창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71-179
    • /
    • 2002
  • 본 연구는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를 갖는 PSC 부재의 휨거동과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극한응력과의 관계분석을 위한 해석연구로서, Moon/Lim의 제안식을 검증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에 포함된다.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응력변화량이 부재의 변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기존 실험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변형률 적합 조건을 이용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식이 변형률 적합 조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부재변위를 해석적으로 구하고 실험결과와 먼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변형률 적합조건을 사용하는 해석방법과 제안식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흐리고 검증된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를 갖는 PSC 부재의 휨거동과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극한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재변위를 대상으로 한 변수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기존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끝으로 제안식에 사용한 변수들도 적절하게 선정되었음도 검증하였다.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설계식의 타당성검증 (Verification of Proposed Design Equation for Stress Evaluation of Unbonded Tendons)

  • 임재형;문정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7-137
    • /
    • 1999
  • 본 연구와 관련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자들이 제안한 설계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정된 변수별로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자들이 제안한 설계식과 기존의 설계식들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자들의 설계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사용된 기존의 설계식은 현행의 ACI 규준식, AASHTO LRFO 규준시, 변형도 적합조건에 의한 해석식, Harajli/Kanj의 설계식, Chakrabarti의 설계식 등이다. 비교${\cdot}$분석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자득이 제안한 설계식이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하는데 보다 적절한 방법임을 증명하였다.

외부 프리스트레싱으로 보강된 R.C 보에서 강재량 및 텐던깊이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 (Ultimate Stress of Prestressing Steel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and Tendon Depth in R.C Beams Strengthened by External Prestressing)

  • 박상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85-593
    • /
    • 2003
  • 본 연구는 외부 프리스트레싱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관한 문헌연구와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 예측식의 개발, 극한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실험 등이다. 새로운 통합 예측식 개발을 위하여 비부착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에 대한 ACI 시방식을 확장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에 대한 새로운 합리적 예측식을 제안하고 있는데,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중립축의 깊이 비의 함수로서 표현하여 내부 철근의 영향을 고려하고 있다. 실험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실험변수를 가지고 외부 프리스트레싱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연구에서 채택한 영향인자들은 배부철근비,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비, 지간과 PS강재높이 비 등이다. 실험결과는 분석되어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극한응력에 대한 제안된 예측식의 합리성과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프리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비 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 평가에 관한 연구(II) (Evaluation of Ultimate Stress of Unbonded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II) -Proposed Design Equation using Strain Compatibility)

  • 임재형;문정호;음성우;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05-114
    • /
    • 1997
  • 본 연구는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부재에 대한 일련의 연구중 두 번째에 해당한다. 첫 번째 연구(1)에서는 기존연구의 제안식과 현행의 ACI 규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기존의 총 167개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성힌지 길이 개념과 변형도 적합조건에 의해서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이론적인 분석에 의한 변수설정과 기존 실험결과를 이용한 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설계식을 기존의 식들과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제안된 설계식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1)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시 유효프리스트레스, 일반철근의 양, 작용하중의 형태 등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설계식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식은 현행 ACI 규준식과는 다르게 fc'/ p항의 제곱근과 비례하는 함수관계에 있다. (3)스팬-춤비가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소성힌지 길이의 개념에 의해서 역학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할 수 ldT다.

강선량 및 긴장력에 따른 외부 강선을 가진 PSC 보의 휨거동 실험 (Experiment of Flexural Behavior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External Tendons according to Tendon Area and Tendon Force)

  • 유성원;양인환;서정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13-521
    • /
    • 2009
  • 최근 들어 외부 강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극한거동 해석시 단면 적합조건을 이용하는 내부 부착 강선과는 다르게 외적 비부착 강선은 부재의 전체거동에 의해서 응력 증 가량이 결정된다. 또한 편향부에서의 미끌림 효과와 강선의 편심 변화 효과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 부 강선을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보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선량, 긴장력 등을 변수로 하여 정적 휨실험을 수행하여 외부 강선 부재의 휨거동 특성을 얻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균열발생 이전의 외부 강선 PSC 부재는 부착 강선 PSC부재와 거동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균열이 발생한 이후의 거동에서는 철근의 항복하중, 극한하중, 강선 응력 등이 외부 강선 부재에서의 값이 부착 강선 부재에 비해서 작게 나타나고 있다. 하중-강 선 변형률 관계에서 보면, 외부 강선 부재들의 경우, 하중 증가에 따른 외부 강선 변형률의 증가량은 초기 긴장력의 크 기 순서와 거의 반대의 순서로 외부 강선의 변형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만 초기 긴장력이 크다할지라도 강 선의 유효응력이 작은 경우의 강선 변형률은 강선의 유효응력이 큰 부재들보다는 다소 작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외부 강선 부재의 콘크리트에 발생된 압축 변형률의 크기는 외부 강선의 유효응력 크기 순서와 일치하는 것으 로 나타나,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은 외부 강선의 유효응력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결과와 기존의 설계식과 비교 해본 결과, ACI-318에 의한 결과는 긴장력 혹은 유효응력이 차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그 결과가 실험 결과보다 상당히 작게 나타나, 지나치게 보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AASHTO 1994는 ACI-318과는 다르게 강선량, 초 기 힘 및 유효응력 등의 변화에 적절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부 비부착 강선의 실험 결과를 이용 하여 작성된 이유로 외부 강선 실험 결과보다 지나치게 큰 결과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외 부 강선의 극한응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정이 필요하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비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 평가에 관한 연구(I)-기존연구 및 ACI 규준식의 고찰- (Ebaluation of Ultimate Stress of Unbonded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Members(I)-Considereateon of ACI code and the State-of -the Art-)

  • 임재형;문정호;음성우;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67-176
    • /
    • 1997
  • 본 연구는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긴장재의 극한응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일련의 연구중 그 첫번째 단계로 기존 설계식들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40여년간 실시되었던 총 167개의 실험결과들에 대한 D/B를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제안식 및 설계식들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설계식으로는 현행 ACI규준식을 선정하였으며, 제안식으로는 Naaman, Harajli, 그리고 Chakrabarti의 식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비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은 현행의 ACI규준에서와 같이 임계단면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계산하는 것보다 부재 전체의 해석을 통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행 ACI규준식에서는 포함하고 있지 않는 주요변수인 일반철근의 양 및 작용하중의 형태 농도 긴장재의 극한응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현행의 ACI규준식은 스팬-춤비의 효과가 실제보다 과대평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행 ACI규준식은 이런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변수들에 대한 보다 합리적이며 종합적인 분석을 통한 설계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