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san coast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3초

우리나라 지역별 해상 기름회수능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tting of Regional Oil Recovery Capacity On Water in Korea)

  • 하민재;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06-6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해상 기름회수능력을 설정할 목적으로 7개 항목에 대한 지역별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정규화한 결과와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하여 도출한 가중치를 바탕으로 권역내 각 지역별 위험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위험도를 바탕으로 권역내 확보해야 하는 해상 기름회수능력인 $7,500k{\ell}$ 를 해당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해상 기름회수능력을 결정하여 지역별 적정 해상 기름회수능력을 제시하였다. 현행 해상 기름회수능력이 과하게 설정된 인천, 군산, 목포, 부산지역의 기름회수능력이 권역내 다른 지역으로 분산 배치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권역 중심지역의 경우 대산 $1,475k{\ell}$, 여수 $375k{\ell}$, 울산 $475k{\ell}$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사고의 원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 경제적인 측면까지 고려하여 제시된 지역별 해상기름회수능력 설정치는 현행 기준에 의한 설정치보다 균형적인 배치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 이은방;윤종휘;정상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857-864
    • /
    • 2012
  • 국내 해상 위험 위해물질(HNS)에 대한 해상물동량과 해양사고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해역 및 위험분야 별 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울산항, 여수항, 대산항 순으로 위험 유해물질에 의한 화재위험, 건강위험, 환경위험이 높게 평가되었다. 국내 HNS 사고 대응태세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서 폭발위험, 화재위험, 생리적 위험에 취약한 실정을 파악하고 전문 방제자원의 확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본의 방제자원 및 배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해상 위험 위해물질 유출사고 특성에 선순환적으로 대응하고 평가된 위험도를 저감하기 위한 방제자원의 규모와 종류를 설정하였다. 평가된 위험도를 기반으로 국내 해역에서 HNS 사고 대비 대응을 위한 남해, 서해, 동해 3곳의 거점기지와 인천을 비롯한 9곳의 일반기지를 제안하고 거점기지와 일반지지의 HNS 방제자원 모델을 설계하였다.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수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I. Phyt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12
    • /
    • 1967
  • 바다의 플랭크톤은 장소와 시기에 따라 출현종류와 수량에 많은 변동이 있고, 이것들의 종적조성, 출현수량 또는 그 분포는 바다의 생태계를 구명하고, 해역의 생산성을 계측하는데 극히 중요한 기초적지식이 될뿐아니라 어업과 바다의 양 증식 에도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PDF

Prevalence of Metagonimus Metacercariae in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from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in Korea

  • Cho, Shin-Hyeong;Kim, Tong-Soo;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61-165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urrent infecion status of Metagonimus yokogawai metacercariae in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collected from several streams in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sweetfish collected were artificially digested with pepsin-HCI solution and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in August and September, 2007. Out of 145 sweetfish collected from 10 streams in eastern coasts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88 (60.7%) were infected with Metagonimus metacercariae. The average metacercarial density was 61 per infected fish. Among 141 sweetfish collected from 10 streams in southern coasts (Gyeongsangnam-do, Ulsan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140 (99.3%) were infected with Metagonimus metacercariae, and their average density was 949 per infected fish.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M. yokogawai metacercariae are still prevalent in the sweetfish from several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localities. The prevalence and metacercarial density were much higher in the sweetfish from streams of southern coasts than in those of eastern coasts.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is small fluke infection, and consumption of raw sweetfish naturally produced in these areas should be prohibited.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마을을 대상으로 (Landscape Color Plan based on Storytelling)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10-118
    • /
    • 2012
  •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가 주관하는 "해안마을 경관형성 시범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2011년 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시행된 "주전마을 경관형성사업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업 대상지인 울산광역시 동구의 주전마을은 독특한 경관과 문화역사적 특색 등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역 특색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행위와 관리 부족으로 특유의 경관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해안마을의 특색 있는 장소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며, 경관색채계획은 마을 단위의 전체적인 조화를 만들고자 할 때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전마을에 대한 지역색 조사와 지역의 역사, 지형적 특성, 주민의식조사를 통해 주전마을의 고유한 경관색채 계획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소규모 마을 단위의 독자적인 경관색채 계획을 위해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주전마을 고유의 색채계획을 개발하고 향후 스토리텔링을 통한 경관색채계획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조위분석 (Analysis of Tidal Observations at Major Ports around Korean Coast)

  • 최병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33
    • /
    • 1984
  • 우리나라 연안의 12개 주요항만-인천, 군산, 목포, 대흑산도, 제주, 여수, 진해, 부산, 포항, 울산, 묵호, 속초항의 이용가능한 1979년까지의 장기조위관측 자료가 정비되어 철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교통부 수로국이 제공한 주요항만의 매시간별 검조자료는 일연의 조위자료 편집체계를 이용하여 매시간별 관측시계열, 조위시계열 및 비조위시계열로 구성되어 해면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근거를 수립하였다. 첫 단계로 각 항만의 조위분석이 연별로 확장조화분석법에 의해 수행되어 판별가능한 분조들의 조화상수들이 제시되었으며 또한 각 항만의 해면연계, 해면빈도분포, 해면노정곡선이 착시되었으며 초기결과가 토의되었다. 본 연구는 교통부 수로국의 해면변화조사사업 및 건설부 국입지리원의 일등수준강 조정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되었는데 해면변화 및 조석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송악의 잠재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Hedera rhombea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선욱;구경아;서창완;공우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5-334
    • /
    • 2016
  • We projected the distribution of Hedera rhombea, an evergreen broad-leaved climbing plant,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s and predicted its future distributions under global warming. Inaddition, weexplained model uncertainty by employing 9 single 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s to model the distribution of Hedera rhombea. 9 single SDMs were constructed with 736 presence/absence data and 3 temperature and 3 precipitation data. Uncertainty of each SDM was assessed with TSS (Ture Skill Statistics) and AUC (the Area under the curve) value of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es. To reduce model uncertainty, we combined 9 single SDMs weighted by TSS and resulted in an ensemble forecast, a TSS weighted ensemble. We predicted future distributions of Hedera rhombea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for the period of 2050 (2040~2060), which were estimated with HadGEM2-AO. RF (Random Forest), GBM (Generalized Boosted Model) and TSS weighted ensemble model showed higher prediction accuracies (AUC > 0.95, TSS > 0.80) than other SDMs. Based on the projections of TSS weighted ensemble, potential habitats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s showed a discrepancy with actual habitats, especially in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 The observed northern boundary of Hedera rhombea is Ulsan in the eastern Korean Peninsula, but the projected limit was eastern coast of Gangwon province. Geomorphological conditions and the dispersal limitations mediated by birds, the lack of bird habitats at eastern coast of Gangwon Province, account for such discrepancy. In general, potential habitats of Hedera rhombea expanded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but the extent of expansions depend on RCP scenarios. Potential Habitat of Hedera rhombea expanded into Jeolla-inland area under RCP 4.5, and into Chungnam and Wonsan under RCP 8.5. Our results would b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distribution of Hedera rhombea.

CMAQ 모델의 화학메커니즘(SAPRC99, CB05) 적용에 따른 수도권 오존농도 모의결과 비교 (Comparison of CMAQ Ozone Simulations with Two Chemical Mechanisms (SAPRC99 and CB05)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강윤희;오인보;정주희;방진희;김유근;김순태;김은혜;홍지형;이대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5-97
    • /
    • 2016
  • A comparison of ozone simul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using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 with SAPRC99 and CB05 chemical mechanisms (i.e. EXP-SP99 and EXP-CB05) has been conducted during four seasons of 2012.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verage ozone concentrations between the EXP-SP99 and EXP-CB05 were found to be large in summer, but very small in the other seasons. This can be attributed that the SAPRC99 tends to produce more ozone than the CB05 in urban area like the SMR with low VOC/NOx ratio under high ozone conditions. Through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wo mechanisms for the summer,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zone concentrations from the EXP-SP99 were about 3 ppb higher than those from the EXP-CB05 and agreed well with the observations. Horizontal differences in ozone concentrations between SAPRC99 and CB05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uthern part of the SMR and over the sea near the coast in summer.

Factor Analysis of the Seawater Quality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Lee Yong-Hwan;Jung Kyoo-Jin;Kim Hak-Ko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0-148
    • /
    • 2003
  •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statio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similar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The data for fact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15 stations from Dukryang Bay to Ulsan Bay on the southern cost of Korea. The study was based on the data from 1991 to 2000. The 8 water quality items analyzed were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and SS (suspended solid). Analysis of 6 water quality items including DO with the excep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that 15 stations were grouped into two zones, i.e.,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 by the axis of Samcheonpo-Jinju Bay-south of Geoje, 3 seawater zones in all. The adjacent stations to the southward or northward but not those to the eastward or westward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On the analysis of all of the 8 water quality items, the stations of Dukryang Bay and Goheung; and those of Onsan and Ulsan Bay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Yeosu and Namhae stations were sectioned into 1 group on the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DIP, Samcheonpo and south of Geoje stations another group on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water temperature, and Masan and Busan stations in the other group on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DO. The stations from Dukryang Bay through Goheung to east of Geoje were grouped together on the COD item, and this showed somewhat different tendency in other seawater quality items.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저감을 위한 국가 관리 대책 연구: 해양경찰 업무를 중심으로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for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Vessels Focusing on KCG Services)

  • 이승환;강병용;정봉훈;구자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3-174
    • /
    • 2020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일상화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하면서 육상뿐만 아니라 해상 선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박 배출량 현황을 바탕으로 해양경찰 업무 중심의 선박 대기오염물질 점검 실태를 진단하고 배출 저감을 위한 국가 관리 대책을 제안한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NIER, 2018)에 따르면 선박에서 배출된 총량(CO, NOx, SOx, TSP, PM10, PM2.5, VOCs, NH3, BC)은 국내 전체 발생량의 6.4 %로 나타났고, 이 중 NOx는 13.1 %, SOx는 10.9 %, 미세먼지(PM10/PM2.5)는 9.6 %를 차지하고 있다. 선박 발생량 중에서는 국내외 입출항 화물선이 50.6 %로 가장 많은 배출을 보였고, 어선의 배출 비율도 42.6 %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 해양경찰 관할 5개 권역을 기준으로는 부산항, 울산항을 포함한 남해권 44.1 %와 광양항, 여수항을 포함한 서해권 24.8 % 순으로 배출이 많았다. 해양경찰은 대기오염물질 관리를 위해 승선 점검을 통한 선박 배출 상황을 관리하고 있지만, 각종 배출 장치의 가동이나 연료유 기준 등의 실측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선박의 바쁜 운항스케줄에 따른 제약으로 대부분 서류상의 점검으로 진행됨으로써 관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박 대기오염물질 관리를 위해서는 대기오염물질 발생을 실측 점검으로 바꾸도록 규제를 강화하고 해경 함정 등을 활용한 해역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질적 현장 데이터에 기초한 관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한편, 장단기적으로 환경친화적 선박 도입을 위한 기술 개발과 법·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