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Herbal acupuncture solution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ffects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one cells (유근피 약침액이 인체의 골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 Lee, Eon-do;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1 no.4
    • /
    • pp.237-249
    • /
    • 2004
  • 유근피는 혈액청정작용과 혈액순환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서 골 손상의 처방전으로 자주 사용된다. 현재까지 유근피가 골재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약리학적으로 불확실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유근피를 약침액으로 제조하여 유근피 약침액이 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연구하였다. 방법으로 인체의 골아전구세포osteoprecursor cells (OPC-1)를 각각의 다른 유근피 농도를 함유한 매체내에서 부화시키고 그에 따른 세포증식을 연구하였으며, 유근피 약침액의 농도가 $100{\mu}g/ml$ 미만이었을 때 OPC-1의 증식량은 증가되었다. 그러나 농도가 $180{\mu}g/ml$을 초과하였을 때는 약물의 독성에 의해서 OPC-1의 증식량이 확연히 억제되었다. 대부분의 처치에서 세포들이 cyclooxygenase-2 (Cox 2) 단백질에 대해서 매우 명백한 발현을 보여줬다. 배양과정 중에 유근피 약침액 농도 최소치인 $1.0{\mu}g/ml$에서 최대치인 $500{\mu}g/ml$까지 경미하게 강화된 띠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약침액은 골세포의 증식활동, alkaline phosphatse(ALP) 활동 및 total protein 분비의 증가와 골세포내에서의 농도의존적 약침액 투여량에 따른 OPC-1의 독특한 type I collagen 합성에 직접적인 억제작용을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추후 이와 유사한 실험을 통한 보다 발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Effect of Ulmus Davidiana Planch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Inhibition of Experimental Bone Resorption in Mouse Calvarial Bone Cells (유근피 약침액이 생쥐의 두개골 파골세포에서 골재흡수의 저해에 미치는 영향)

  • Kang, Mi-Suk;Back, Song-Ook;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119-127
    • /
    • 2008
  • 목적 : 골관절염치료에 빈용되는 유근피 약침액의 처치가 생쥐의 파골세포에 있어서 골재흡수의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생쥐에게 유근피 약침액을 두개골 세포에 전, 후 처치하여 골재흡수에 대한 유근피 약침액의 억제 활성능을 검토하였다. 결론 : 염증성 cytokine 중 $IL-1{\beta}$ 유도인자인 PGE와 LPS처리로 $IL-1{\beta}$생성이 증가되었으나, 유근피 약침액 처치군은 이를 억제하였다. 유근피 약침액 전처리군에서도 $IL-1{\beta}$ 생성이 억제되었다. 유근피 약침액 처치군은 PGE2유발 $IL-1{\beta}$ 전사를 억제하였으며, PGE2 유발 $IL-1{\beta}$ 유도는 cAMP antagonist인 Rp-cAMP와 protein kinase A(PKA)저해제에 의해서도 억제되어 $IL-1{\beta}$ 발현에 cAMP, PKA 신호전달경로가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근피 약침액은 강한 항 관절염효과와 골재흡수 저해 활성이 있으며, 관절염 치료, 예방에 유의함을 밝힌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hibitor activity of Ulmus davidiana Planch(UD)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Cathepsin having bone resorption activity (유근피 약침액이 골재흡수 중 Cathepsin에 대한 억제 작용)

  • Kim, Geun-sam;Jo, Hyun-seog;Hwang, Min-seob;Kim, Kap-sung;Lee, Seung-deo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2 no.3
    • /
    • pp.1-12
    • /
    • 2005
  • It was clarified that ethanol extract herb-acupuncture solution (EE-UD) and hydrotherapy herb-acupuncture solution (WE-UD) in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are the excellent inhibitors of cathepsin K and L. WE-UD inhibited cathepsin K when IC50 value was 5.32 ${\square}g$/ml, and suppressed cathepsin L when IC50 value was 6.34 ${\square}g$/ml. However, EE-UD indicated the activity of inhibiting cathepsin K and L in the level of 1.45 ${\square}g$/ml and 2.43 ${\square}g$/ml, thus it showed more significance than WE-UD. It could be observed that EE-VD is an excellent inhibitor to cathepsin K with Ki value of 0.8 ${\square}g$/ml. This activity is increased by 10-fold even in the analytical experiment when having operations like glutathione in pH 7.0. Also, this supports the mixture of GSH thiolate anion, thus it was thought that this increase in effectiveness is probably attributable to the enhanced chemical function in the combinations of herb-acupuncture solution towards a place of activity in enzyme. WE-UD showed the time-dependent inhibiting property, thus it allowed to know the disunion and the compounding speed in constant cathepsin K during the process of experiment. Finally, EE-UD was proved to suppress the absorbent bone ash in the experiment related to osteoclast in rats for test, and to the bone in rodent. It was proved that WE-UD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tease in cathepsin K and L, and in collagen of bon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rogress of bone damage, which was induced due to cathepsin K. Also, it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it is effective to the reabsorption activity of bone in the bone marrow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