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mul(宜物)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의물사상(宜物思想) 연구(硏究) (A Study on 'Idea of Uimul' (宜物思想) in "Hwangjenaikyung(黃帝內經)")

  • 박철;김수중;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124
    • /
    • 2008
  • The main characteristic of 'Idea of Uimul(宜物思想)' lies in specifically laying down rules on the subject of thought, and creating correlated measures and ways based on those grounds. Thus, 'Ui(宜)' emphasizes the pertinence of the measures and ways. By making a detailed analysis, the importance of 'Mul(物)', the subject of thought, the perception of it, the human reaction to it, and the specific principle of the action, can be seen. Ancient Chinese considered Heaven and Earth the largest frame of perception, and perceived all things through it. Heaven and Earth was differentiated from 'Gi'(氣), and the Gi of Heaven and the Gi of Earth interacted with one another in endless motio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considered nature and all things in it through this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It considered humans to be born from the Gi of Heaven and Earth and to associate with one anoth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Gi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the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is the fundamental frame of Idea of Uimul(宜物思想). On the other hand, the Ui(宜) in Idea of Uimul(宜物思想) indicates the pertinent measures and ways towards a subject, that is, humans acting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laws of Heaven and Earth inside the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Humans are affected by nature and adapt to it, but they also recognize the laws of nature and strive to wholly protect the human life by versatilely taking adequate measures against the numerous changes of nature.

  • PDF

조선후기 경상감사 도임행차 재현을 위한 의물 연구 : 절·월 및 일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imul for Reproduction of Gyeongsang-Gamsa Doim Proce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l, Wol, and Ilsan)

  • 이은주;김미경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133-154
    • /
    • 2020
  • 영조대 경상감사였던 조재호의 『영영일기(嶺營日記)』와 조선시대 전라감사였던 유희춘의 『미암일기초(眉巖日記草)』 등을 참고하여 조선후기 경상감사의 도임행차 준비과정과 행차에 수반되는 주요 의물을 살펴보았다. 삼망제도(三望制度)에 의해 감사 임명을 받은 자는 부임지로 떠나기 전 왕에게 감사와 하직의 인사를 드리는 사은(謝恩)과 사조(辭朝) 절차를 거쳤다. 교서(敎書)와 유서(諭書)는 왕으로부터 받았으나, 경우에 따라 승정원에서 받거나, 승정원의 서리가 부임지로 가져다 주었다. 어압이 찍힌 밀부(密符)는 유서와 함께 받았으며, 추후 반납하였다. 감사의 행차는 교인소로 가는 교인식 이전 행차와 교인식 이후 감영으로 향하는 행차, 순력행차로 구별되는데 교인식 이전 행차는 교인식 이후 도임행차에 비해 소략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관원의 행차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일산, 왕으로부터 내려받은 교서와 유서, 절·월, 밀부, 전임감사로부터 인계받는 관인과 병부를 살펴보았다. 감사에게는 통치권을 의미하는 '절(節)'과 살생권을 의미하는 '월(鉞)'이 주어졌다. 수기(手旗)로 알려져 있는 절은 투공된 육각형 입체이며, 월은 삼지창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일산은 흰색으로, 우산 살 6개에 각각 유소를 두 줄로 드리웠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 경상감사 도임 행차를 교인식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도임준비 과정과 도임과정에 등장하는 의물에 대해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감사 도임과정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지역전통문화 재현행사에 의주를 중심으로 의미나 절차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물 제작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므로 '경상감사 도임순력행차' 및 '교인식 재현'행사 등 관아 관련 전통문화 재현행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