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A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1초

UVA광원에 의한 Photochromic lens의 색비율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nsmittance and color change of various photochromic lenses by an UVA lamp)

  • 임용무;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5-1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제와 유리제의 재질에 따른 박막형(coated type)과 벌크형(bulk type) 조광렌즈의 다양한 온도($6^{\circ}C$, $12^{\circ}C$, $28^{\circ}C$)에서 UVA광원에 대한 광변색성 및 color의 전이도를 측정하였다. 박막형 조광렌즈(Tbr, TMs)는 온도에 상관없이 벌크형 렌즈보다 더 높은 포화치(saturated value)를 보였으며, 유리계 조광렌즈의 경우에는 smoke색상의 렌즈가 brwon색상보다 더 빠른 darkening속도를 보였다. 또한 transmittance와 color가 ANSI Z80.3 규정에의 부합 여부에서는 온도에 상관없이 교통 신호등 항목을 pass하였으며, 박막형 조광렌즈를 제외한 플라스틱제 렌즈와 유리제 조광렌즈는 포화치가 cosmetic용으로 구분되었고, 박막형인 Tbr과 TMs는 $6^{\circ}C$$12^{\circ}C$의 포화치는 general용이었지만, $28^{\circ}C$에서는 cosmetic용이었다. darkening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효과적이었지만, 반면에 fading은 온도가 높아지면서 효과적이었다.

  • PDF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Contact Lenses)

  • 유동식;문병연;김도형;백선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45
    • /
    • 2007
  •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 통상의 소프트렌즈 및 RGP렌즈에 대한 광투과율 스펙트럼을 ANSI Z80.20 기준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 대한 광투과율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특정 스펙트럼 파장 영역별, 즉 가시광선, UVA, UVB 및 UVC 영역별로 적분하여 계산하였다. 가시광선 영역의 평균 투과율은 3종류의 콘택트렌즈 모두 90% 이상으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허용 범위 내에 들었다.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의 경우 몇 개의 렌즈를 제외하고 UVA와 UVB 영역의 광투과율은 제시된 기준에 적합하였다. 통상의 소프트렌즈와 RGP 렌즈의 자외선 차단성은 예상했던 대로 낮았다. 이런 결과들은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에 관한 정보 활용에 있어 현장의 안경사나 실무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곰취의 항산화와 UVA에 의한 MMP-1 발현 저해효과 (Effect of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from Ligularia fischeri)

  • 나영;김진화;심관섭;이범천;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9-134
    • /
    • 2006
  • 본 연구는 곰취 추출물의 항산화, 지질과산화 억제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1 발현에 대한 영향을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곰취의 DPPH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5mg/mL에서 82.3%와 79.3%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곰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500{\mu}g/mL$에서 97.0%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사람 섬유아세포의 MMP-1 단백질 발현양은 곰취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를 처리함으로써 약 35%로 감소되었다. 곰취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MMP-1 단백질 발현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곰취는 항산화, 지질과산화 억제 및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MMP-1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Sensory Attributes of the Broiler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Curry Leaves (Murraya koenigii)

  • Nuwan, K.A. Sameera;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Jayasena, Dinesh D.;Tharangani, R.M. Himali;Song, Zhang;Yi, Young-Joo;Heo, Jung Mi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traits of broiler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dry-ground curry leaves (Murraya koenigii). A total of 750 one-day-old broiler chicks (Cobbs 500) were arranged in the experiment with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allotted to one of five treatments, with $T_1-Control$ and $T_2-T_5$ curry leaves powder levels (i.e., 0.3%, 0.6%, 0.9% and 1.2%, respectively). The initial body weights, final body weights and daily feed intake were measured over an experimental period of 32 days. At the conclusion of the experiment, the carcass weights and meat quality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bird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curry leaves powder had a higher weight gain (P<0.05; ADG), improved feed conversion ratio (P<0.05; FCR) and lower mortality (P<0.05) rates compared to the birds in the control group. Nonetheless,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feed intake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Similarly, supplementation of curry leaves powder had no effect (P>0.05) on the proportions of the carcass, leg meat and drumstick. No differences were (P>0.05) observed in cooking loss or the pH of meat from broilers fed the curry leaves supplemented diet. However, curry leaf supplementation affected (P<0.05) the meat water holding capacity. A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levels of taste and tenderness in meat from broilers fed with curry leaves powder.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curry leaves powder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with a lower incidence of mortality and improvement of some meat qualities.

A Study of Development Antibacterial Cosmetic Case using UV Wavelength

  • Yum, Seung Hoon;Jung, In Geung;Jeong, Jae Young;Hwang, You 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79-1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파장을 활용한 항균 화장품 케이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UVC는 경제성 및 편리성 면에서 우수한 항균 성능을 가진다. 실험은 이를 입증하고 적합한 투과 재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에는 자외선 파장을 이용한 항균 화장품 케이스의 항균력을 측정·비교하기 위해 UVA, UVC 기기 및 타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 대상 균주로는 그람양성균인 S. aureus를 사용하였으며, 항균력은 평판계수법을 통해 대상 균주의 집락 수를 측정·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UVA와 UVC 모두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UVC가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UVC를 직접투과 할 때 석영유리가 가장 적합하지만 검사한 재질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항균력이 감소하였다.

잎새버섯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체의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저해 효과 (Effect on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by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 from Mycelial Culture of Grifola frondosa)

  • 심관섭;배준태;이동환;김진화;이범천;최태부;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1-167
    • /
    • 2005
  •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HB0071)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체인 GF-glucan이 사람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UVA)조사 시 증가되는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으로부터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GF-glucan을 처리한 농도에 따라 MMP-1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RT-PCR를 이용해 세포내 MMP-1 mRNA 발현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대 GF-glucan $0.5\%$를 처리했을 때 $54.4\%$의 MMP-1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잎새버섯 HB0071로부터 생산된 GF-glucan은 피부노화와 관련된 extracellular matrix (ECM) 조직에 손상을 주는 MMP-1의 활성을 억제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의 광노화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Quality traits of pork from cross-bred local pigs reared under free-range and semi-intensive systems

  • Ranasinghe, Navoda;Ranasinghe, Madushika Keshani;Tharangani, Himali;Nawarathne, Shan Randima;Heo, Jung Min;Jayasena, Dinesh Darshaka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55-46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meat quality traits,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and sensory attributes of pork produced under free-range and semi-intensive pig rearing systems. Longissimus dorsi muscles from pork carcasses were taken just after the slaughtering of finishing pigs reared under semi-intensive and free-range systems to test the meat quality parameters (pH,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proximate composition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and fatty acid profile. Furthermore, the organoleptic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30 untrained panelis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ystem of rearing did not affect (p > 0.05) the proximate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color, pH and cooking loss of pork along with the fatty acid composition except for vaccenic acid (p < 0.05). The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 was affected (p < 0.05) by the rearing system while no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unsaturated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ratio and omega-six to omega-three fatty acids ratios (p > 0.05). No difference was observed (p > 0.05) concerning the sensory attributes although pork obtained from the free-range system had the highest scores. In conclusion, the system of rear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at quality parameters, composition and sensory attributes of pork obtained from cross-bred pigs.

Evaluation of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at retail chicken meat outlets in Kandy, Sri Lanka

  • Alwis, Upeksha S.;Mudannayake, Deshani C.;Jayasena, Dinesh D.;Ubeyarathna, Kamalika J.H.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1호
    • /
    • pp.35-40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at retail chicken meat outlets in Kandy, Sri Lanka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Salmonella contamination at retail chicken meat outlets. Fifteen retail chicken meat outlets in Kandy area were randomly selected. Pre-tes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or identifying risk factors of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at retail outlets and swab samples from meat contact surfaces/utensils were obtained. Out of 57 swab samples collected from meat contact surfaces/utensils, the overall prevalence of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was 21%. Weighing scale (33%), meat containing trays/buckets (27%) and cutting board (25%)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almonella prevalence whereas knife and showcase showed relatively low percentages, 14% and 9%, respectively. Retail chicken outlets with slaughtering faciliti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than those without slaughtering facilities. This higher rate of Salmonella cross contamination at retail chicken meat outlets could be attributed to lack of proper cold chains and minimal facilities, and poor level of hygiene in those outlets.

권백 추출물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항산화와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저해효과 (Effect of the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 심관섭;김진화;박성민;이범천;윤여표;표형배
    • 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5-170
    • /
    • 2004
  •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by the UV irradiated skin fibroblast and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ECM) by these enzymes is known 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photoaging.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ST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expression of UVA-induce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STE was found to show scavenging activities of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 the $IC_{50}$/ values of 65.1 $\mu\textrm{g}$/$m\ell$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and 40.9 $\mu\textrm{g}$/$m\ell$ against superoxide radicals in the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respectively. UVA induced MMP expression was reduced 75.5% by treatment with STE, and MMP-1 mRNA expression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STE was able to significantly inhibition of MMP expression in protein and mRNA level. A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TE may act as an anti-aging agent by antioxidation and reducing UVA-induced MMP-1 production.

VHG 기반 메타컴퓨팅 미들웨어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가전기기(UVA) 개발 (User-Centric Virtual Appliance(UVA) Development in VHG based Metacomputing Middleware Environment)

  • 박성환;한동윤;손영성;김경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518-523
    • /
    • 2006
  • 최근에 홈네트워크 분야에서 각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UPnP, HAVi, Jini등과 같은 다양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들을 통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하려고 하는 연구들은 시스템을 구축에 대한 비용이 부담된다는 것과 시스템 구축 후에 새로운 홈네트워크 미들웨어가 추가될 때 이미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과의 호환이 너무 어렵다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XML을 이용한 VHG 기반 메타컴퓨팅 미들웨어[7]를 설계했었다. 이를 XBI-Middleware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미들웨어를 바탕으로 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UVAML (User-centric Virtual Applianc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나리오 작성을 하게 한다. 이로 인해 가정 내 존재하는 가전기기들 사이의 연관성 있는 동작을 가능케 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가전기기를 개발한다. 이를 UVA (User-centric Virtual Appliance)라고 한다. 이와 더불어 시나리오 상에 포함된 가전기기가 특정 이유로 홈네트워크에서 이탈할 경우에 나타나는 잘못된 시나리오 동작과 불필요한 시나리오 정보 저장으로 인한 스토리지 낭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 가전기기가 다시 홈네트워크로 들어오게 되었을 경우 다시 그 시나리오의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나리오 복구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