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steriliza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조합에 따른 살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rilization Effect of Ballast Wat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ypes of Treatment Apparatus)

  • 강아영;김상필;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2-417
    • /
    • 2015
  • 2차 오염이 없는 물리적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의 조합별 비교를 통하여 비교적 우수한 조합을 밝혀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08년 IMO에서는 선박 평형수 문제를 제제하기 위해 배출 선박 평형수 내 미생물의 농도를 일정 농도로 규제하게 되었다. IMO 규제 농도를 맞추기 위한 멸균 방법으로는 약품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 전기분해를 통한 차아염소산 처리, UV나 오존 및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방법, membrane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어느 방법이나 부분적으로 2차오염이나 선체부식 및 살균효율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이런 단점들을 피해가면서 조류와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멸균 시킬 수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처리장치는 전단응력을 이용하여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조류와 미생물을 살균시킬 수 있는 물리적 살균처리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장치의 다양한 type별 조합으로 실험하여 살균 가능한 최저 회전속도에 따른 최고 유량 등을 규명하여 상업적 처리 장치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하였다.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을 위한 해수 살균법 (Sterilization of Seawater for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 YUN, YONGSUP;CHOI, JONGBEOM;KANG, JUN;LEE, MYEONGHOON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172
    • /
    • 2016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dopte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in 2004 to prevent the transfer of aquatic organisms via ballast water. Forty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were granted final approval.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ballast water treatment including UV treatment, indirect or direct electrolysis, ozone treatment, chemical compounds and plasma-arc method. In particular, using plasma and ozone nano-bubble treatments have been attracted in the fields. However, these treatment systems have a problem such as remained toxic substance, demand for high power source, low efficiency, ets.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strilization results obtained from membrane type electrolytic-reduction treatment system The core of an electrolysis unit is an electrochemical cell, which is filled with pure water and has two electrodes connect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At a certain voltage, which is called critical voltage, between both electrodes, the electrodes start to produce hydrogen gas at the negatively biased electrode and oxygen gas at the positively biased electrode. The amount of gases produced per unit time is directly related to the current that passes through the electrochemical cell. From the results, we could confirm the sterilization effect of bacteria such as S. aureus, E. Coli and demonstrate the mechanism of sterilization phenomena by electrolytic-reduction treatment system.

  • PDF

정전 용량을 이용한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버튼 (The contactless elevator button using the electrostatic capacity)

  • 방걸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67-72
    • /
    • 2021
  •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승강기 호출 버튼과 목적층으로의 선택을 위한 입력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버튼은 승강기를 이용하는 사람이 직접 눌러야 입력이 된다. 이러한 승객의 입력은 버튼의 오염으로 인해 전염병에 감염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접촉식 버튼이 요구되고, 이는 정전용량 방식을 적용하여 물체의 근접을 감지한다. 적외선 열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UV-LED를 부착하여 버튼의 살균 기능을 제공한다. 물체가 없을 때의 출력파형을 측정하고 물체가 근접할 때의 출력 파형을 측정하여 버튼이 선택되고 적외선온도측정 센서를 통해 체온이 측정되며, 사용자가 없을 때 UV-LED를 점등하여 살균하였다.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버튼은 전염병을 옮기는 바이러스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체온을 감지하여 CIVID 19의 양성 확진자를 선별할 수 있어 감염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용수 및 영농편의용수 공급시스템 개발 (I) - FDA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Clean Water Supplying System for Greenhouse Cultivation and Convenience Water (I) - Development of the FDA System -)

  • 이광야;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95-100
    • /
    • 2009
  •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s have been hardly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 due to their complicated compositions and high costs for farmers, while only simple filtrations have been applied to irrigation systems in order to prevent the system from clogging problems. This study therefore developed a clean water supplying system, the Filter-Disinfection-Adsorption (FDA) system, especially for greenhouse cultivation of where low quality of water is available. This system has also been produced for providing convenience water to farmers in the areas of no water supply service systems for the purpose of washing their bodies or agricultural machineries after farm work. The FDA system consists of three stages of purification processes with an integral module, including disk and teflon filtrations and Ultraviolet (UV) sterilization processes. Indoor experiments were undertaken with a trial product of the FDA system to test its performance.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cess was performed as well as the condition check of each item including UV module, filters, control panel, pump, valves, etc. The results shows good performance of each test with no critical problems. The initial and maintenance costs were also analysed with other purification systems. From the comparisons, the FDA system found to be very economical and easy to use.

광촉매 필터형상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of the Abatement of VOC with Different Photocatalytic Honeycomb Filters)

  • 류무성;김창녕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04
  • This study has been numericall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for different photocatalytic honeycomb filters. Recently, the photocatalysis is being applied to air-cleaner, air-conditioner and vacuum-cleaner with the capability of air-purification, sterilization and antibiosis. However, photocatalysis is less efficient than other methods for removing VOC except in the case of low concentration. So far most of studies have focused on an improvement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s, but this study have placed emphasis on the improvements of shape of photocatalytic honeycomb filter. UV irradiation, concentration profile and pressure drop have been investigated for different cross sections of filters and for different filter lengths. Light intensity is dropped sharply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UV-lamp, and becomes very low in the middle of the filters. Since photocatalytic reaction rate is a function of light intensity, VOC concentration gradient might be small in the middle of long filters. Thus, most of reaction have risen within only three times of dimensionless axial distance. These result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design of advanced photocatalytic honeycomb filters.

자외선 광원을 이용한 살균 모듈 개발 (Hydroponic Cultivation Using an Ultraviolet LED)

  • 염성관;정희원;신광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9-570
    • /
    • 2021
  • 수경 재배는 고품질의 녹색 식물 생산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경 재배에서 식재 운영 체제를 구축하면 순환하는 배양액 전체에 유해한 박테리아가 번식하는 등 만성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배양액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살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 된 모듈은 270 ~ 285nm 파장을 방출하는 UV-C LED를 사용하여 센서 및 컨트롤러와 함께 설계되었다. 모듈은 대장균, Clavibacter michiganensis, Pseudomonas cichorii 및 Fusarium oxysporum을 제거하는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다른 배양액 유속에 대해 300, 500 및 700mW를 방출하도록 설정되었다.

  • PDF

고분자재료에 대한 항균성 물질과 적용 (Antimicrobial Agents and Applications on Polymeric Materials)

  • 이재웅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56
    • /
    • 2008
  • A wide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aldehydes, cationic agents, alcohols, peroxygens, phenols and chlorinated phenols, metal ions are being employed as biocides. Among three levels for biocidal functions (sanitization,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disinfection is an enough level for antimicrobial textiles. In terms of antimicrobial agents for textile applications, quaternary ammonium salts (QAS), chitosan, metal and metal salts, N-halamine based materials are developed with numerous research and the positive ions of those materials may result in disinfection of microorganisms. Photocatalysts, especially titanium dioxide (titania) produces the hydroxyl radical (${\cdot}\;OH$) which causes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after UV radiation, have been used for antimicrobial applications.

A Study of the Technical Treatment within an Environmental Appetency for the Ballast Water

  • Nam, Chung-D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313-1323
    • /
    • 2004
  • In accordance with adoption of new convention for the control of ship's ballast water at the diplomatic conference held in London Feb, 2004, every country has to regulate the ballast water and deposit matters. When this Resolution comes into effect in 2009, all vessels engaged in international voyage must have ballast water control program, ballast water records, equipments which are suitable to the standard of exchange and performance for the ballast water. This study estimates objectively their performances, merits and demerits of the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ique and exchanging techniques for safe operation of ships. It is desirable to design an equipment to control the ballast water using the brush-type vacuum suction nonstop reverse cleaning system to overcome the clogging phenomenon and the direct disc filtering to maximize filtering area for the optimum process considering biological availabilities. It will be expected to protect against marine pollution and to maintain clean sea if it is secured to develop new ballast water treatment techniques. And it will also be expected to cope with the Resolution and each regulation of the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ballast water.

자외선 살균 램프용 고역률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연구 (High Power Factor Electronic Ballast for Ultraviolet Germicidal Lamp)

  • 강범석;김희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02-1205
    • /
    • 2000
  • Germicidal lamps efficiently emit a large amount of ultraviolet rays 253.7nm which have excellent germicidal effect. The lamps are primarily useful for sterilization of air, the surface of various materials and water or liquid. In this paper, analysis of the charge pump power factor correction inverter for driving a 65W UV lamp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mp are discussed.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circuit. in which the lamp is included as a load, is analyze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inverter circuit are also presented.

  • PDF

이산화염소 자체 방출 스마트 샤쉐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lO2 Self-Releasing Smart Sachet)

  • 이준석;신호준;사데기 캄비즈;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PEBAX/PEG-CA 복합필름을 제조하여 내부에 아염소산나트륨 분말을 포함한 스마트 샤쉐를 제작하였다. 또한, TGA, DSC, FT-IR, UV-vis를 통해 샤쉐의 화학적 구조 및 열적 특성과 더불어 샤쉐 적용성 평가를 위해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PEBAX/PEG-CA 복합필름은 친수성 및 혼화성을 바탕으로 매트릭스 내에서 강한 화학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연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복합필름의 열 안정성이 저하되었지만, 저온 및 상온의 유통환경과 필름 제작 온도 범위(<℃)에서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샤쉐의 제작 및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핵심인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량 측정에서는 스마트 샤쉐가 측정 기간인 14일 동안 내부 아염소산나트륨의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했으며, 산층의 구연산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방출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스마트 샤쉐 내부의 아염소산나트륨 함량 및 산층의 구연산 함량 조절 또는 포장크기의 변경 등을 통해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설비 및 고가의 장비 없이도 살균 효과를 연장시키는 이점이 있다. 위 실험 결과에 따라 제품 특성 및 포장 용적에 따라 스마트 샤쉐의 응용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확실한 소비자 안정성 확보와 스마트 샤쉐의 적용 확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균성 및 저장성 측면에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