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index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1초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첨가제로 사용한 4-iodoaniline을 포함한 하이드로젤 착색 콘택트렌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Hydrogel Tinted Contact Lens Containing 4-iodoaniline using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as Additive)

  • 조선아;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5-322
    • /
    • 2014
  • 목적: 4-iodoaniline을 포함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기본 재료에 티타늄 실리콘 산화물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친수성 착색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의 자외선 차단 안의료용 렌즈 소재로의 활용도 및 4-iodoaniline만을 기본 콘택트렌즈 재료에 공중합하여 두 실험군의 물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하이드로젤 렌즈 제조를 위해, HEMA, MA, MMA, 4-iodoaniline, 교차결합제인 EGDMA 및 개시제인 AIBN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또한,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는 첨가제로 사용되었다. 중합 후 제조된 콘택트렌즈 재료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및 분광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하이드로젤 렌즈 고분자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5.01~ 38.68%, 굴절률 1.4350~1.4418, 접촉각 $34.15{\sim}57.25^{\circ}$ 그리고 UV-B 투과율의 경우 1.0~10.0%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험군에서는 함수율 34.0~36.8%, 굴절률 1.4378~1.4420, 접촉각 $40.15{\sim}60.16^{\circ}$ 그리고 UV-B 투과율의 경우 1.8~25.0%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론: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첨가한 조합에서 자외선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V 조사와 Alkoxy 가수분해 법을 이용한 구형 실리콘 마이크로 고분자 비드의 합성 (Synthesis of Microspheric Silicone Polymer Beads by UV Irradiation and Alkoxy Hydrolysis)

  • 박승욱;김정주;황의환;황택성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77-3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V 조사와 alkoxy 가수분해 법을 이용하여 구형 마이크로 실리콘 고분자 비드를 합성하였다. 구형 실리콘 고분자 비드의 입자들의 coefficient of variation(CV)은 UV 조사량의 세기와 조사시간,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합성된 비드의 평균 입경, 굴절률, pH는 각각 $4.1{\mu}m$, 1.43, 7.5이었으며 진비중, 겉보기 비중은 1.30, 0.40이었으며, 수분함량은 2%이하였다. Hexamethyldisilazane(HMDS) 농도가 0.1 wt%일 때 입자크기와 CV는 가장 작았고, 진원도는 $0.95{\sim}0.98{\mu}m$이었다. UV 조사량과 조사시간이 450 W, 90 min일 때 CV는 4.92%이었다. Methyltrimethoxysilane(MTMS)의 농도가 20 wt%일 때 수율은 총 충전량 대비 11.3%까지 증가하였으며 입자의 평균직경은 교반속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졌다.

광반응에 의한 고분자 필름의 굴절률 변화 (Refractive Index Changes of Polymer Film by Photochemical Reactions)

  • 조정환;신미영;이종하;김성수;송기국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45-550
    • /
    • 2004
  • 광조사에 의하여 발색단 분해를 유도함으로써 고분자의 굴절률을 변화시켜 공중합체 박막의 굴절률을 조절하고, FTIR과 UV/Vis 분광 실험으로 굴절률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광표백에 따라 공중합체 박막의 굴절률이 작아지는 것은 광반응에 의하여 발색단 내 C=C 이중결합이 끊어져 고분자의 편극률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입사되는 빛의 전기장 방향에 의존하는 선택적인 광반응에 의하여 필름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존재하는 발색단이 먼저 분해가 되면서 고분자 필름 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 수직한 방향에서 보다 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고분자 박막 내의 굴절률 차이를 편광 ATR-FTIR 실험에서 얻어지는 고분자 특성 피크의 변화를 조사하여 증명하였다.

하천 분광특성을 이용한 수질항목 모니터링 연구 - 울산 지역 (Monitoring of Water Quality Parameters using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River Water - Ulsan Area)

  • 허진;김미경;신재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63-871
    • /
    • 2007
  •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river water from four major watersheds in the Ulsan area were measured to examine their potential for estimating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total 176 riv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4 sites of small streams within the watersheds during the year 2006.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cluded protein-like fluorescence (FLF) intensity, fulvic-like fluorescence (FLF) intensity, terrestrial humic-like fluorescence (TLF) intensity, UV absorbance at 254 nm, and UV absorbance difference at 220 nm and 254 nm. Protein-like fluorescence intensity showed linear relationships with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phosphorous (TP) concentrations of the samples with the correlation of 0.784, 0.779, and 0.733, respectively. Due to the UV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ate at 220 nm, UV absorbance difference at 220 nm and 254 nm was selected to represent total nitrogen (TN) concentration. Exclusion of some samples with PLF intensity higher than 5.0 im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V absorbance difference and TN as demonstrated by the increas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0.392 to 0.784. Instead, for the samples with PLF intensity lower than 5.0, the highest correlation of TN was achieved with UV absorbance at 254 nm. The results suggest that PLF intensity could be used as the estimation index for BOD, COD, and TP concentration of river water, and as the primary screening index for the prediction of TN using UV absorbance difference. Some BOD-based water quality levels among the river water were statistically discriminated by the PLF intensity. Low p-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t-tests on the samples with the first level and the second level (p=0.0003) and the samples with the second and the third levels (p=0.0413). Our combine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lecte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river water could be utilized as a tool for on-site real-time monitoring and/or the primary estimation of water quality.

자외선 경화형 인계 단량체를 이용한 면직물의 방염가공 (Flame-retardant Finish of Cotton Fabrics Using UV-curable Phosphorous-containing Monomers)

  • 장진호;정용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14
    • /
    • 2008
  • Flame-retardant cotton fabrics were prepared by UV curing of photocurable aqueous formulations of phosphorous-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s and 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as flame retardants and a photoinitiator respectively, which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saving proces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UV-coated cotton fabric was made by ATR, TGA and limited oxygen index measurement. UV cured coating onto cotton fabrics reduced the first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and mass loss as well as increase in the amount of char residu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tton fabric presumably due to modified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The LOI values up to 28.5 and 27.2 were obtained by the UV curing of MMEP and TMEP respectively. The treatment was durable to five laundering cycles, which was more prominent in the case of trifunctional TMEP treatment.

PLC형 WDM 방향성 결합기와 UV 조사에 의한 파장 천이 효과 (PLC-Type WDM directional coupler and the effect of wavelength shift by UV irradiation)

  • 한상필;박태상;최영복;강민정;김상인;박수진;정기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36
    • /
    • 2000
  • 일반적으로 광섬유 격자에 사용되고 있는 KrF 엑시머 레이저를 광출력 스펙트럼 파장천이용으로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FHD에 의해서 제작된 PLC형 WDM 방향성결합기에서는 UV에 의한 파장천이효과가 비교적 큼을 알 수 있었다. UV 노출량에 의한 파장천이량을 측정하여 UV 노출량에 따른 실리카 광도파로의 유효굴절률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 PDF

렌즈에서 UV 차단효과의 평가방법 및 적용 (The Estim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UV-cut effect in Len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7-110
    • /
    • 2001
  • 렌즈에서 UV-A선의 차단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320~40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기준 CR-39와 sample을 320~40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적분하여 면적을 구하였으며, 이들의 면적 대비로 UV-A 차단효율 factor ${\alpha}$, ${\beta}$를 설정하였다. CR-39 렌즈의 질대 차단효율 ${\alpha}$ CR=0.59 값을 얻었다. UV-A 차단효과를 평가할 렌즈의 절대차단효율 ${\alpha}$ 값이면 상대차단효율 ${\beta}$ 값은 $1.69{\alpha}$ 값을 얻었다. 절대적 및 상대적 UV 제거 지수는 각각 $a=(1-{\alpha}){\times}100%$, $b=(1-{\beta}){\times}100%$을 이용하여 얻었다.

  • PDF

자외선 영역에서 별의 색지수와 온도의 상관관계 (THE STELLAR COLOR-TEMPERATURE RELATION IN ULTRAVIOLET REGION)

  • 최영준;한원용;강영운;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321-333
    • /
    • 1998
  • 자외선 영역에서 별의 색 지수와 유효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서 118개의 IUE(Inter-national Ultraviolet Explorer) 표준성에 대해서 유효온도와 자외선 영역에서의 색 지수를 구하였다. 별의 유효온도는 IUE 저 분산 스펙트럼을 차등 보정 법을 이용하여 Kurucz 대기모델(1993)에 fitting하여 구하였고, 자외선 영역에서의 색 지수는 2750 $\AA$과 2950 $\AA$에서의 등급 차이로 정의하였다. Kurucz 대기모델(1993) fitting으로 구한 온도는 다른 논문(Malagnini & Morossi 1990, Malagnini et al. 1986)에서 구한 온도와 낮은 온도의 낮은 온도의 별을 제외하고 대체로 비슷하였으며, 자외선영역에서의 색 지수와 유효온동의 상관계 또한 Kurucz 대기모델에서의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 PDF

광경화형 Dipentaerythritol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Dipentaerythritol Modified Polymethacrylates)

  • 김동국;임진규;김우근;허정림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01-106
    • /
    • 2005
  •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와 acrylic acid를 반응하여 6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PA-1)를 제조하였으며,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에 trimellitic anhydride와 glycidyl methacrylate를 반응시켜 12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A-2)를 제조하고 경화된 물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기 수가 증가할수록 중량 평균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로 측정한 UV 경화필름의 열안정성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경도, 내마모성, 인장강도가 우수하였으며, 내후성 테스트에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황변 지수 값인 yellow index 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수의 염 농도와 탁도가 전기, UV 및 전기+UV 공정의 Artemia sp. 불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and Turbidity on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in Electrolysis UV, Electrolysis+UV Processes)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1-30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and turbidity on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by electrolysis, UV photolysis, electrolysis+UV process to treat ballast water in the presence of brackish water or muddy water caused by rainfall. The inactivation at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30 g/L and 3 g/L) and turbidity levels (0, 156, 779 NTU) was compared. A decrease in salt concentration reduced RNO (OH radical generation index) degradation and TRO (Total Residual Oxidant) production, indicating that a longer electrolysis time is required to achieve a 100% inactivation rate in electrolysis process. In the UV process, the higher turbidity results in lower UV transmittance and lower inactivation efficiency of Artemia sp. Higher the turbidity resulted in lower ultraviolet transmittance in the UV process and lower inactivation efficiency of Artemia sp. A UV exposure time of over 30 seconds was required for 100% inactivation. Factors affecting inactivation efficiency of Artemia sp. in low salt concentration are in the order: electrolysis+UV > electrolysis > UV process. In the case of electrolysis+UV process, TRO is lower than the electrolysis process, but RNO is more decomposed, indicating that the OH radical has a greater effect on the inactivation effect. In low salt concentrations and high turbidity conditions, factors affecting Artemia sp. inactivation were in the order electrolysis > electrolysis+UV > UV process. When the salt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turbidity is high, the electrolysis process is affected by the salt concentration and the UV process is affected by turbidity. Therefore, the synergy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lysis process and the UV process was small, and the inactiva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 electrolysis process only affected by the salt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