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absorbing precurso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의 개발 (Development of UV-screening Polysilsesquioxane Spheres)

  • 윤경섭;임미선;김영백;정택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1
    • /
    • 2005
  • 자외선 차단제로 널리 사용되는 p-methoxycinnamoyl기를 함유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전구체를 합성하고 그로부터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구 형태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100nm에서 수 ${\mu}m$ 사이의 직경을 가진 구를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구의 피부 도포와 자외선차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직영이 대략 $0.6{\mu}m$인 구를 $10\%$의 농도로 바셀린에 분산시킨 제재를 손등에 도포하였을 때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0\%$ 농도 바셀린 제재의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5.7로 양호한 편이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자외선차단제에 비하여 농도 증가시 SPF의 상승효과가 커, 자외선차단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미백 및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Poly(me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구의 제조와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Spheres Containing Whitening and Anti-wrinkle Agents)

  • 정택규;임미선;김영백;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4
    • /
    • 2006
  • 최근에 고분자, 지질 또는 그 밖의 여러 소재를 이용한 캡슐화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 및 방출 제어를 목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주요한 기능성 성분들을 캡슐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방법으로써, methylmethacrylate (MMA)와 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TMPMA)로 구성된 MMA-TMPMA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Poly(MMA-co-TMPMA)로 제조된 구는 속이 빈 형태의 미립구이며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유도체나 유용성감초추출물과 같은 기능성 성분들을 core 성분으로 캡슐화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제조된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 평균 입도는 $0.1{\sim}10{\mu}m$, 기능성 성분의 로딩 함량은 $15{\sim}25%$이며 로딩 수율은 90% 이상이었다.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는 캡슐 자체에 의한 안정화 외에 미립구 표면에 자외선차단 silane 전구체를 도입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다. 기능성 성분에 대한 광안정성은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함유된 poly(MMA-co-TMPMA) 미립구의 경우,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도입되지 않은 미립구에 비해 25%정도 더 항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ubphthalocyanine 화합물 유도체들의 합성 및 특성 비교 (Synthesis of Subphthalocyanine Compound Derivatives and Their Properties)

  • 김재환;허진;이윤이;김보현;이근대;홍성수;박성수
    • 공업화학
    • /
    • 제20권1호
    • /
    • pp.46-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간체인 여러 종류의 전구체를 사용하여 치환기의 종류와 위치가 상이한 subphthalocyanine (SubPc) 유도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의 화학적 구조는 핵자기 공명 분광기 및 푸레어 변환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분광학적 특성 및 결정상 특성은 자외선-가시광 분광기 및 XRD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합성한 SubPc 유도체들은 각각 560~600 nm 사이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였고, 치환기가 도입되면 용해도가 향상되었고, 치환기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최대 흡수파장이 장파장 혹은 단파장으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