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TAUT2 & BRT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User Value on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Acceptance Intention to Promote Digital Healthcare Venture Start Up (Digital Healthcare 벤처창업 촉진을 위한, 사용자 가치가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ekseong Jin;soyoung L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2
    • /
    • pp.35-52
    • /
    • 2023
  • Recently, as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has developed due to COVID-19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mportance of online digital healthcare is increasing, and venture start-ups and activities such as health care, telemedicine, and digital treatments are also actively underway. This study conducted the impact on the acceptability of digital healthcare smartwatches with an integrated approach of the expand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TAUT2) and the behavioral inference model (BRT). The most advanced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innovative technology acceptance research was used to identify major factors such as utility expectations, social effects, convenience, price barriers, lack of alternativ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the study, about 410 responses from ordinary people in their teens to 60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and based on thi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fter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SPSS 23 and AMOS 23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Studies have shown that personal inno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asons for acceptance (use value, social impact, convenience of use), attitude, and non-use (price barriers, lack of alternatives, and barriers to use). Thes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main value of innovative ICT on user acceptance intention. In addition, the reason for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but the effect of the reason for non-acceptance was not significant. It can be analyzed that consumers are interested in new ICT products and new services, but purchase them more carefully and selectively. This study has evolved from the acceptance analysis of general-purpose consumer innovation technology to the acceptance analysis of consumer value in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which is a new and important area in the future. Industrially, it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s purchase and market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research in the digital healthcare sector,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our lives in the future, and that it will develop into in-depth factors that are more suitable for consumer value through integrated approach models and integrated analysis of consumer acceptance and non-acceptance.

  • PDF

기술혁신이 디지털 헬스케어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 기반 스마트워치 혁신기술 매개효과 중심

  • Jin, Ik-Seong;Lee, So-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95-104
    • /
    • 2022
  • 근래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증가와 장기 코로나19의 전염으로 사회적 비대면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의료 진단·처방 등 디지털 헬스케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로 기존 병원 진료의 온라인 원격 진료/처방이 지속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빅데이터를 모아 개인 건강과 질병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건강 관리 및 치료를 하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이 급속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벤처 창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치료제 산업의 활성화는 각 개인의 신체 상태를 상시 측정하고 이 정보를 관련 시스템과 연동 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히 스마트워치의 보급 증대에 힘입은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치의 기술혁신이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용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혁신 사례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디지털 수면 치료제 벤처 개발 현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워치의 개인혁신성, 효용가치, 사용편의 등 ICT 변인들에 대한 기술발전의 매개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CT 변인들과 기술발전 매개변수는 디지털 헬스케에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대부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기술발전은 개인혁신성에는 크게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혁신기술의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 영향 평가 결과는 스마트워치 각종 서비스 상품기획과 마케팅에 유효하게 참조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추후 세분화 연구를 통하여 더욱 소비자 특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