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N Routing Protoco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Efficient USN Routing Protocol using Sub-Clustering

  • Jeong, Su-Hyung;Yoo, Hae-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466-469
    • /
    • 2008
  • The existing routing protocols in USN environment, PEGASIS is more efficient than LEACH, which is a hierarchical routing protocol, for network configuration based on power consumption. Despite its merit that i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per node, however, the PEGASIS protocol also has a weakness that it is less responsive to frequent changes that occur in the configuration of sensor network due to BS nodes that keep changing,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sensor network.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o select sub-cluster heads and have them serve as intermediate nodes. This paper presents and analyses that this method can re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 of the PEGASIS algorithm.

USN 환경에서 거리 가중치를 사용한 개선된 HEED 프로토콜 (Advanced HEED protocol using distance weight in USN)

  • 정수형;유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70-376
    • /
    • 2009
  • 최근 USN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되었던 센서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현실적으로 어려움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인 HEED가 가지는 생존성과 부분 클러스터 생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에너지 거리 가중치를 사용한 개선된 HEED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된 HEED 프로토콜은 기존의 HEED보다 각 노드들의 잔존 에너지양과 거리 가중치를 두어 새로운 CH를 초기에 선정하고 선출된 CH노드의 잔존 에너지양이 50%가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교체해 주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서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이 에너지 소비를 공평하게 함으로써 전체 클러스터의 생존율을 약 30% 가량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CH를 교체 선출함에 있어서도 응답시간을 기준으로 기존의 CH노드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노드로 교체하도록 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서브 클러스터 기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USN 라우팅 프로토콜 (Improvement of PEGASIS using Sub-cluster Chaining)

  • 정수형;유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47-1652
    • /
    • 2008
  • USN 환경에서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 PEGASIS 프로토콜은 LEACH 프로토콜과 비교해 볼 때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감소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PEGASIS 프로토콜은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인 BS 노드의 빈번한 변경으로 인한 센서 네트워크 망 구성의 변화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은 단위의 클러스터 헤드를 선출해 중간노드의 역할을 하게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EGASIS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다.

USN을 위한 결함허용 라우팅 프로토콜의 설계 (Design of a Fault-Tolerant Routing Protocol for USN)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1-57
    • /
    • 2009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는 센서 노드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망을 구성하고, 시스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환경을 말하며, 고정 망이 필요 없으므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전장 또는 재난 구조를 위한 응용을 위해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센서 망 프로토콜은 자가 구성 능력을 가지며, 노드들의 이동성으로 인해 네트워크 회선 단절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토폴로지 변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면서 동시에 센서 노드들이 서로 협력하며 동작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토폴로지 구성과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자 노드 이동성으로 인한 망 단절에 경로 재설정을 위한 망 재구성 없이 유연한 클러스터 기반 결함허용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분석적 모델을 통하여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

의료분야에서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는 셀 기반의 안전한 센서 네트워크 구조 (A Cell-based Secure Sensor Network supporting Multi-casting Communic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elemedicine)

  • 성지연;최주영;김명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9-58
    • /
    • 2005
  • 환자의 이동성과 경제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의 원격의료시스템으로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구조를 제시한다. 본 USN 구조는 계층적 라우팅과 평면 라우팅을 접합하여 개선한 것으로서 멀티캐스팅 통신을 지원하는 셀 기반의 안전한 4계층 구조이다. 본 구조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안전한 의료정보를 위하여 경량의 PKI 기반 보안 통신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핵심 통신 과정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CONTEXT-AWARE ROUTING ARCHITECTURE ON TELEMATICS SENSOR COMMUNICATION NETWORK

  • Lee Eunkyu;Kim Minsoo;Jang Byung-T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46-549
    • /
    • 2005
  • It is evident that advancement of ubiquitous technologies in the near future guarantees more convenient and plentiful living. With regarding to car life, we dream of an automatic driving without any effort of operation. This paper touches the realization issue, a convergence of wireless sensor network and Telematics specializing on an information routing mechanism between participating components in Telematics sensor communication network. We list up new requirements of wireless sensor network deployed for Telematics services. Then context-aware routing architecture is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se constraints, in which a network topology for routing can be dynamical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ntext models of network components.

  • PDF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DYMO 프로토콜 구현 및 적합성 검증 (Implementation and Conformance Test of DYMO Protocol for Ad-Hoc Networks)

  • 박일균;곽정남;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호
    • /
    • pp.71-78
    • /
    • 2006
  • MANET 네트워크 모델을 위한 라우팅 기법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요구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 이동성 지원, 그리고 동적인 라우팅 정보 관리 기능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USN에 적용 가능한 라우팅 기법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제안된 MANET 라우팅 기법들 중에서는 DYMO 라우팅 프로토콜이 네트워크 부하가 작고 간단하며 확장성이 향상되어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운영체제 환경에서 동작되도록 DYMO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계 구현하였으며 구현된 DYMO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적합성 테스트 도구를 개발하여 구현 내용을 검증하였다.

IP-USN에서 END 노드를 고려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 (Study of Hierarchical Routing Protocol of Suggest to End Node in IP-USN)

  • 박준성;김기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02-805
    • /
    • 2007
  • IP-USN은 U-city와 같이 대규모 혹은 모든 전자 장비에 IP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해줄 중요한 기술이다. IP-USN에서 IP의 할당과 무선 Ad-hoc 라우팅은 IP-USN의 핵심기술로 소형, 전력인 센서네트워크에서 중요고려 대상이다. 본 End 노드를 고려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IP 할당 및 메모리를 최소화하는 주소할당 기법과 계층적 라우팅을 제안한다.

  • PDF

유해가스(CO, CO2) 감지정보 전송을 위한 USN 지그비센서노드 구현 (A Study on the USN Zigbee Sensor Node for Transmission to Harmful Gas(CO, CO2) Sensing Data)

  • 천동진;박영직;이승호;김정섭;곽동걸;정도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7호
    • /
    • pp.1302-1308
    • /
    • 2010
  • In this study, Zigbee Sensor Node to transmit harmful gases CO and $CO_2$ inform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the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were develope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was used Zigbee Stack included IEEE 802. 15.4 MAC protocol.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etected harmful gas signal from ADC of MCU was implemented Zigbee Sensor Node that was developed protocol using Serial-Port-Profile(SPP) here. The proposed Zigbee Sensor Node was verified transmission distance from experiments. Transmission distance was into 90m in experiments. Distance experiments were measured at 10m intervals using sine & pulse wave input signal at indoors. The proposed Route Sensor Node was applied mesh routing protocol. When built up USN(Ubiquitous Sensor Network)using Route Sensor Node, transmission distance was not limit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harmful gas values between direct measurements and USN measurements were consistent. The semiconductor CO sensor and N-DIR $CO_2$ sensor module as a harmful sensor was used. Therefore, the proposed Zigbee Sensor Node was verified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to build USN for transmission of harmful gas information.

지능형 항만을 위한 위치기반 Ad-hoc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Location based Ad-hoc Network Routing Protocol for Ubiquitous Port)

  • 이봉희;최영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5-7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적인 장치장 운영방안을 위해 RFID/USN 기반의 ad-hoc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치장 내 고정 혹은 이동 장치들 간의 통신은 ad-hoc 노드를 통해 운용되며, 컨테이너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ad-hoc 통신을 통해 중앙통제실은 물론 외부의 화주에게도 컨테이너의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RFID 태그의 위치에 따라 장치장 내의 최대 무선전송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LAODV(Location based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유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