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OREST

검색결과 1,090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내(都市內) 고립(孤立)된 임지(林地)의 식생경관(植生景觀) 특성(特性)과 비오톱 다양성(多樣性) 평가(評價):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3개(個) 공원(公園)을 대상(對象)으로 (Veget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Biotope Diversity in the Isolated Forests on the Urban Areas: Case Study on the Three Parks, Daegu Metropolitan City)

  • 권진오;조현제;최명섭;오정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62-467
    • /
    • 2005
  • 도시림의 경관생태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시가지에 분포하는 고립된 잔존 임지 3개 공원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을 구분하고, 그 기능적 등급과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비오톱 유형은 소분류군을 기준으로 대개 15~20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공원 면적이 클수록 비오톱 유형의 다양성과 평균 면적도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비오톱 등급은 생물이 살아가기에 부적당한 낮음(1~3등급)이 전체의 72.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높음(7~9등급)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적 가치등급에 있어서는 중간(등급 3)과 그 이하(등급 4~5)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비오톱 공간 면적이 클수록 등급도 다소 높아지고, 등급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저온역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은 아까시나무, 상수리나무가 공원에 관계없이 우점경관요소형으로 나타나 아주 단순하였으며, 그 평균 면적도 대개 1 ha미만의 아주 작은 공간규모를 나타내어 산림생태계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적 역할의 연속성에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시내 잔존 임지에 있어서 비오톱 유형의 다양성과 기능적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 생태적 최소면적을 확보를 위한 유사 비오톱 유형의 공간적 통합을 위한 경관생태시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성영상과 머신러닝 활용 도시열섬 지역 옥상녹화 효과 예측과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 (Predicting the Effects of Rooftop Greening and Evaluating CO2 Sequestration in Urban Heat Island Area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Machine Learning)

  • 김민주;박정우;박주현;박지수;현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481-493
    • /
    • 2023
  • 고밀도 도심지의 열섬현상이 도시 기온을 더 높이고 있으며 이로부터 대기오염 악화, 냉방 에너지 소비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증대와 같은 부정적 영향들이 발생한다. 녹지의 추가 확보가 어려운 도시 환경에서 옥상녹화는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 현황 분석에서 더 나아가 고해상도 위성자료 및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연구 지역 내 옥상녹화 가용면적 산정 후 옥상녹화가 가져오는 온도 분포 예측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도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WorldView-2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시 도시열섬 지역의 기존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옥상녹화 전 후 온도 분포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면적 변화에 따른 열섬현상 완화도를 평가하기 위해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통해 온도가 종속변수인 온도 분포 예측모델을 구축하였고, 이 과정에서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훈련자료로 사용될 고해상도 지표 온도 도출을 위해 Google Earth Engine을 활용하여 Landsat-8과 Sentinel-2 위성자료를 융합하는 다중회귀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옥상녹화용 초본식생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기반으로 녹화 면적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위성자료 활용 도시 열섬현상 평가 및 랜덤포레스트 모델 기반 온도 분포 예측 기술은 도시열섬 취약 지역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iurnal and Nocturnal Behaviour of Airborne Cryptomeria japonica Pollen Grains and the Allergenic Species in Urban Atmosphere of Saitama, Japan

  • Wang, Qingyue;Nakamura, Shinichi;Lu, Senlin;Nakajima, Daisuke;Suzuki, Miho;Sekiguchi, Kazuhiko;Miwa, Makot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2호
    • /
    • pp.65-71
    • /
    • 2013
  •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pollinosis is the most popular pollinosis in Japan. It has been reported that Cryptomeria japonica pollen allergenic species are suspended as fine particles in the urban atmosphere. These allergenic fine particles are responsible for inducing asthma by breaking into the lower respiratory tract. It has also been found that pollinosis symptoms on the sufferers appear mainly at night-time by the results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However, the exact reason for these phenomena is not yet clarified. In this study, the diurnal and nocturnal behaviours of Cryptomeria japonica pollen grains and their allergenic species in the urban area of Saitama city of Kanto Plain were investigated. Airborne pollen grains and allergenic Cry j 1 concentrations in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TSP) were investigated at two sampling sites, a heavy traffic road (roadside site) and at the balcony of the $10^{th}$ floor of the Building of Research and Project of Saitama University (general urban site). The latter sampling site where located about 300 m away from the roadside site was used as a general urban site unaffected by automobile traffic. The airborne pollen counts were measured with a real-time pollen monitor. Cry j 1 particles were collected with two high volume air samplers, and thes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method with a Biacore J system. The diurnal variation of the airborne pollen counts was similar to the trends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during the day-time; whereas its tendency with wind speed trend was not observed during the night-time. Airborne pollen counts were lower with northern wind than with southern wind because the pollen comes from the mountainous areas, and the mountains in the south are closer, about half the distance to the northern mountains. It is suggested that the peaks of airborne pollen counts during night-time in the sampling site occurred by transport of pollen grains released during day-time in the mountainous forest areas, located c.a. 100 km away from the sampling site. On the roadside site the allergenic Cry j 1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t the general urban site, nevertheless pollen grains counts were low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orsening of pollinosis symptoms during night-time in urban area was caused by transport of pollen grains during day-time in the mountainous forest areas. Moreover, pollen allergenic species become different morphology from pollen grain at roadside site, and the subsequent pollen grains re-suspension by automobile traffic.

서울시 도시공원의 설계전략연구: 북서울 꿈의 숲, 마곡중앙공원, 용산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strategy of urban parks in Seoul: focusing on cases of DreamForest, Magok Central Park, and Yongsan Park)

  • 박훈;오민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8-351
    • /
    • 2016
  • 사회의 발전과 시민의식의 상승에 따라 공원계획에서도 기본적인 녹지공간의 제공에서 나아가 특성화된 전략과 도시공간에서의 역할설정 등의 세부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기대감을 담아내고 있는 시점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들어 서울을 중심으로 조성되었고, 또한 조성예정인 대규모 공원 세 곳을 대상으로 공원의 도시적 의의와 도시공원 설계 전략의 특성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도시공원의 설계양상은 점차 다양성을 바탕으로 주변환경에 적응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주변지역과의 관계맺기에 있어 시설물을 통한 연계, 경계부의 부드러운 처리계획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현대사회에서의 도시공원은 과거의 휴식 공간에서 머무르지 않고 치유기능과 도시공간에서의 또 다른 생산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여섯가지 설계전략은 상호 복합적 관계를 맺으며 적용되고 있으며, 외부와의 관계 맺기가 공원내부계획과 함께 현대사회에서 더욱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넷째, 수직적 시간의 변화가 공원계획 전략에 반영되어 도면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는 성장하는 공원계획과 관계하게 되며, 도시공원계획전략의 주요 특성으로 구체화 되고 있다.

경관지수 패턴 분석을 이용한 산지개발사업의 산림파편화 영향범위 예측 (Prediction of Fragmentation Impact Range of Forest Development Analyzing the Pattern of Landscape Indexes)

  • 지승용;최재용;이상혁;이상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9
    • /
    • 2016
  • In South Korea the need of sustainably managing development on forest lands has required to develop a new approach to estimating environmental impacts on forest surrounding development sites in a scientific manner. As for forest-related development, two types of development were selected: golf courses and industrial complexes. Using Fragstats 4.2, the fragmentation effects and patterns of each type by forest area within project sites and buffer zones ranging from the outside of project sites up to 2,000 met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golf courses were strongly related to a group of fragmentation indexes: CA, NP, PD, TE, LSI, TCA, NDCA and CONNECT, whereas industrial complexes were associated with CA, NP, PD, TE, LSI and CONNECT. Among them, NP, LSI, TCA and NDCA of golf courses wer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indexes reflecting the average impact ranges of each sub-group by forest area, and focussing on the size of core areas. In the case of industrial complexes, PD, TE and LSI were the representatives, vulnerable to the composition of given landscape. For two case studies, one for golf courses and the other for industrial complexes, they showed there existed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a group and the individual results. Therefore, to minimize the variations in impact range within a group, it is needed to analyze more individual cases. This study proved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project types in terms of the range of environmental impact. To effectively and comprehensively manage forest development, further research on analyzing other development types related to forests with more cases is needed.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시설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 박범진;염동걸;김세빈;권치원;정다워;김건우;최윤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85-29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사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 산림복지시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림복지 정책에 적용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로 산재해 있는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사례들의 통계자료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첫째, 각 생애 주기에 해당하는 산림복지 시설들 간의 양적인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생활권 주변 숲에 위치한 시설이 부족하다. 셋째, 시설들이 대부분 국공유림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관련정책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각 생애주기의 수요에 맞게 필요한 시설들을 골고루 설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좀 더 생활권에 가까운 곳에 산림복지 시설을 만들어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는 산림의 대부분이 사유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은 더 많은 국토를 고르게 활용하여 국민에게 산림복지의 혜택을 제공할 경우보다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자본의 도입을 확대하고 사유림을 활성화시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산림복지의 혜택을 제공하고 국 공유 및 사유림 산림복지시설의 양적인 균형을 맞추기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 필요가 있다.

바이오매스량과 식생구조가 토양 탄소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서울호수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 (Analyzing the Influence of Biomass and Vegetation Type to Soil Organic Carbon - Study on Seoseoul Lake Park and Yangjae Citizen's Forest -)

  • ;김윤정;류희경;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3-134
    • /
    • 2014
  • 탄소축적량 증진을 위한 도시공원 설계 및 계획에 적합한 식재구조와 토양 관리방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도시공원 설계와 관리를 위하여, 서서울호수공원과 양재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량과 공원조성 시기 및 식재구조가 다른 조사구에서의 토양 탄소함유량을 지상부 지하부 탄소저장량의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 도시공원으로 조성시기가 다른 서서울호수공원(2009년)과 양재 시민의 숲(1986년)을 선정하였다. 식생과 토양 특성에 따른 토양 탄소함유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량과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측정을 통해 지상부 지하부 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량 측정에는 상대생장식을 적용하였으며, 토양에 관해서는 토양 탄소함유량(TOC)과 pH, 양이온치환용량(CEC), 전질소량(TN), 토양 총 균수와 같은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바이오매스량은 양재 시민의 숲이 서서울호수공원보다 높아, 조성된 지 오래된 공원의 바이오매스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양 탄소함유량은 양재시민의 숲이 서서울호수공원 보다 낮았으며, 이는 양재시민의 숲에서의 대기오염과 산성비 노출에 의한 토양의 산성화 진행에 따른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 탄소함유량은 단층식재지가 다층식재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 시점에서 볼 때, 토양 개선은 식생 생장을 도모한다. 따라서 도시공원의 토양 특성 개선을 위하여, 석회성 비료 시비에 의한 pH 조절과 답압 제어 및 낙엽층 방치에 의한 토양 양분 증진을 통한 공원관리가 필요하다.

Impact of Pruning Intensity on Tree Growth and Closure of Pruning Wounds of Pinus strobus L. and Acer palmatum Thunb.

  • Lee, Kyu Hwa;Lee, Kyung J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84-59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uning intensity on the vigor and cambial growth of the treated trees, and on the closure of pruning wounds for one year after pruning treatment. Two tree species, Pinus strobus and Acer palmatum, planted broadly in the urban forest of Korea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Intensity of pruning, which was estimated by proportion of removed branches, was categorized into five levels with about 10% intervals from lowest 8% up to 46%. Following parameters were examined; 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CER) and the cambial growth of trunk at 30 cm above the ground for the years before and after pruning, the cambial growth of stem at 1.5 cm above the branch bark ridge (BBR) of the pruned branch, and closure of pruning wound for one year after pruning. Tree vigor inferred from CER had a tendency to be weakened as pruning intensity increased in P. strobus, while that of A. palmatum was not affected. The trunk growth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pruning intensity was higher than 30% in both species. The closure of individual pruning wound was related more to the cambial growth of stem at 1.5 cm above BBR than to the pruning intensity. Comparing the closure rate of pruning wound for one year, P. strobus with 72.1% was faster than A. palmatum with 39.3%, which corresponded with the rate of cambial growth of the two species.

대도시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Detection of Multi-temporal Data - A Case Study on the Urban Frin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

  • 박인환;장갑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land use change in the fringe area of a metropolitan city through multi-temporal data analysis. Change detectio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for utilization of remotely sensed imageries. Conventionally, two images were used for change detection, and Arithmetic calculators were generally used on the process. Meanwhile,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for a large number of images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a digital land-use map and three Landsat TM data were utilized for the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Each urban area map was extracted as a base map on the process of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Each urban area map was converted to bit image by using boolean logic. Various urban change types could be obtained by stacking the urban area maps derived from the multi-temporal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rban change type map was created by using the process of piling up the bit images. Then the urban change type map was compared with each land cover map for the change detection. Dalseo-gu of Daegu city and Hwawon-eup of Dalsung-gun, the fringe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test area of this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method. The distric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Dalseo-gu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is and so a large area of paddy land has been changed into a built-up area. Hwawon-eup, near by Dalseo-gu, has been influenced by the urbanization of Dalseo-gu. From 1972 to 1999, 3,507.9ha of agricultural area has been changed into other land uses, while 72.7ha of forest area has been altered. This agricultural area was designated as a 'Semi-agricultural area'by the National landuse Management Law. And it was easy for the preserved area to be changed into a built-up area once it would be included as urban area. Finally, the method of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preserved area needs to be chang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paddy land by urban sprawl on the urban fringe.

유역특성에 따른 하천에서의 존재형태별 질소 분포 특성 비교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Nitrogen Components in Streams by Watershed Characteristics)

  • 박지형;손수민;김용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3-511
    • /
    • 2014
  • The temporal and spatial analyses of total nitrogen (TN) fraction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1) total nitrogen components in streams and 2) their patterns in rainy and dry seas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components in stream water was lower in non-urban area and getting higher in urban area. Dissolved total nitrogen (DTN) was 95~97.7% of total nitrogen in streams, and the proportion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 and ammonia nitrogen ($NH_3-N$) was higher with increasing urban area.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NO_3-N$) were highest in winter among four seasons. The result was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NH_3-N$ was same variation as concentrations of TN and $NO_3-N$ in urban-rural complex and urban areas, except rural areas. During rainy season,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organic nitrogen (PON) and $NH_3-N$ increased in rural areas and decreased in both urban-rural complex and urban areas. Correlation between total nitrogen components and land u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ite > padd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rest. The variation of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NO_3-N$ in non-urban areas, by $NO_3-N$ and $NH_3-N$ in urban-rural complex and by $NH_3-N$ in the 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