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C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2초

새로운 생약복합제제(HPL-4)의 품질관리를 위한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Quality Control from New Herbal Medicine(HPL-4))

  • 김세건;서르마 디박 쿠마르;라미차네 라마칸타;이경희;한상미;정현주
    • 생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8-345
    • /
    • 2014
  • HPL-4 is a new herbal formulatio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this study, we took HPL-4 to develop a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marker compounds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liriodendrin, nodakenin, ${\beta}$-$\small{D}$-(3-O-sinapoyl)frucofuranosyl-${\alpha}$-$\small{D}$-(6-O-sinapoyl)glucopyranoside, quercitrin, 6-gingero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present in the formulation. The analytes were separated by UPLC system consisting of diode array detector at 205 nm and RP-amide column, and solvent system of $ACN/0.1%H_3PO_4$.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to evaluate its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All standards showed good linearity ($R^2$ >0.99) in the rage of $0.25-400.0{\mu}g/mL$. The LOD and LOQ were within the range of 0.021-0.148 and $0.070-0.448{\mu}g/mL$, respectively.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as less than RSD 4.0% and the accuracy was range from 92.00-104.81% with RSD<4.2%.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UPLC method is precise, accurate and effective, and could be applied for quality control of HPL-4 formulation.

고사리의 독성물질 Ptaquiloside 제거방법 연구 (Study on Processing Methods to Remove Toxic Ptaquiloside from Bracken Fern)

  • 이향희;김애경;이민규;최수연;서진종;김은선;서계원;조배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1
    • /
    • 2017
  • Ptaquiloside는 고사리에 들어 있는 발암성 물질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리법에 따라 고사리에 함유된 ptaquiloside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조리법은 가열, 물에 침지, 물교환 횟수 등이었다. 알칼리 가수분해와 용매분획은 ptaquiloside를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인 pterosin B로 전환시켜 주었다. Pterosin B 함량은 이동상용매로 3 mM ammonium과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UPLC-MS/MS로 분석하였다. 조리과정이 없는 생고사리의 $H_2O$추출물에 함유된 pterosin B함량은 81 mg/kg으로 검출되어 독성물질 ptaquiloside는 46.4 mg/kg이었다. 5분의 가열 시간 후 고사리의 pterosin B 함량은 약 60%정도 제거시켜주며, 이 중 2/3는 ptaquiloside에서 전환된 pterosin B가 아닌 고사리 고유의 ptersoin B 함량이었다. 12시간 침지를 추가한 고사리는 처리하지 않은 고사리에 비해 약 88%, 또한 매시간 물교환 작업을 추가시 99.5%까지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독성물질 ptaquiloside의 제거는 가열시간과 더불어 침지와 물 교환 횟수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동시분석을 통한 피부보습능과 각질 중 아미노산 함량과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Dryness and Amino Acids in Stratum Corneum)

  • 주경미;한지연;손의동;남개원;정혜진;임경민;조준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5-82
    • /
    • 2012
  •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는 정상 피부 내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친수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증가시키며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유연성과 가수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NMF는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산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라그린(filaggrin)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각질층의 22종의 개별 아미노산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피부보습능과 개개의 아미노산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의 전박과 이마로부터 tape stripping한 각질 시료 중 22종의 아미노산 함량을 UPLC-PDA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질 표면보다는 안쪽에서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비교에서 전박이 이마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박부위의 아미노산 총 함량과 보습능(TEWL)과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서는 보습능이 클수록 총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Ser, Glu, Gly, Ala 및 Thr은 각질 내 존재하는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질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각질층의 아미노산의 통합적인 분석법은 보습, 노화, 미백, 피부 염증질환 등 다양한 피부 상태와 아미노산류들의 변화와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피부 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 증명하는데 기초적인 방법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aponins in Panax notoginseng leaves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ime-of-flight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 detector

  • Liu, Fang;Ma, Ni;He, Chengwei;Hu, Yuanjia;Li, Peng;Chen, Meiwan;Su, Huanxing;Wan, Jian-B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49-157
    • /
    • 2018
  • Background: Panax notoginseng leaves (PNL) exhibit extensive activities, but few analytical methods have been established to exclusively determine the dammarane triterpene saponins in PNL. Methods: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 MS) and HPLC-UV methods were develope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ginsenosides in PNL, respectively. Results: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were optimized, which showed that ginsenosides Rc and Rb3, the main components of PNL, are transformed to notoginsenosides Fe and Fd,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water, by removing a glucose residue from position C-3 via possible enzymatic hydrolysis. A total of 57 saponins were identified in the methanolic extract of PNL by UPLC/Q-TOF MS. Among them, 19 components were unambiguously characterized by their reference substances. Additionally, seven saponins of PNL-ginsenosides Rb1, Rc, Rb2, and Rb3, and notoginsenosides Fc, Fe, and Fd-were quantified using the HPLC-UV method after extraction with methanol. The separation of analytes, particularly the separation of notoginsenoside Fc and ginsenoside Rc, was achieved on a Zorbax ODS C8 column at a temperature of $35^{\circ}C$. This developed HPLC-UV method provides an adequate linearity ($r^2$ > 0.999), repeatabilit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 2.98%), and inter- and intraday variations (RSD < 4.40%) with recovery (98.7-106.1%) of seven saponins concerned. This validated method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seven components in 10 batches of PNL. Conclusion: These findings are beneficial to the quality control of PNL and its relevant products.

루이보스차(Asphalthus linearis)의 추출방법에 따른 페놀릭류 함량 변화연구 (Determination of Phenolic Contents in Rooibos (Asphalthus linearis) Tea Depending on the Steeping Temperature and Time)

  • 박신희;도영숙;김윤성;김난영;이진희;김종화;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9-395
    • /
    • 2017
  • 루이보스티에서 5종의 phenol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ans-ferulic acid)와 9종의 flavonoid (procyanidin b1, aspalathin, rutin, vitexin, hyperoside, isoquercitrin, luteolin, quercetin, chrysoeriol)를 UP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14종 페놀릭류를 동시 분석하기 위하여 기기조건과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확립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중에 유통중인 루이보스티 30건을 채취하여 페놀릭류를 분석하였다. 루이보스티 1 g 혹은 1티백에 뜨거운 물 100 mL을 가하여 3분, 6분, 30분이 경과 후 그리고 차가운 물 ($25-30^{\circ}C$)에 30분 우려낸 루이보스티의 페놀릭류 함량을 구하였다. 루이보스티에서 전체 실험대상 페놀릭류 중 rutin과 aspalathin이 가장 많이 추출되어 나왔으며 각각 물질의 함량은 제품별로 달랐다. 페놀릭류 성분의 추출효율은 14종 페놀릭류의 총합 기준으로 뜨거운 물 30분 > 6분 > 3분 > 차가운 물 30분 순으로 높았다.

UPLC-QTOF-MS분석를 이용한 국내산 더덕 주산지의 표지물질 선정 (Selecting marker substances of main producing area of Codonopsis lanceolata in Korea using UPLC-QTOF-MS analysis)

  • 안영민;장현재;김두영;백남인;오세량;이대영;류형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45-251
    • /
    • 2021
  •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주로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재배되고 있으며, 더덕의 뿌리는 기침, 기관지염, 천식, 결핵, 소화 불량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전통 의학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phenylpropanoids, polyacetylenes, saponins, flavonoids와 같은 다양한 식물 천연물 성분들이 항비만, 항염, 항암, 항산화, 항미생물 활성과 같은 약리학적 작용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MS기반 대사체학 분석을 이용한 주산지의 마커 성분을 선정하는 것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약용 식물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화학적 조성과 생물학적 효능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부작용 없이 더덕의 유익한 효과만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더덕의 주산지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UPLC-QTOF-MS를 기반으로 하는 대사체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인 PCA 분석을 수행하여 판별모델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인제(강원도), 횡성(강원도), 무주(전라북도)의 3개 그룹이 PCA와 loading plot 분석결과 tangshenoside I, lancemaside A, lancemaside G는 더덕 주산지를 구별하기 위한 잠재적 대사체 마커들로 제안하였다.

진해만에서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이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군집조성의 시공간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ochem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Phytoplankton Pigment and its Community Composition in Jinhae Bay)

  • 나수진;이지영;김정배;구준호;이가람;황현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40-3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에서 1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7개 정점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분석과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영양염(DIN, DIP, Si(OH)4) 등의 환경요인 분석을 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은 7월(평균 15.4±4.3 ㎍/L)에 가장 높았고, 12월(평균 3.5±0.6 ㎍/L)에 가장 낮았다. 보조색소의 경우 fucoxanthi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peridinin, Chl-b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월 변동은 Chl-a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결과, 규조류가 평균 70 %로 가장 우점하였으나, 일부 녹조류, 은편모조류,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종인 규조류는 특히 수온 및 N:P ratio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여름철 고온환경 및 육상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종조성은 전반적으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및 지형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강우로 인한 담수 및 영양염 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약물중독 환자에서 병력 기반 진단과 요 고성능 액체색층분석 탄뎀 질량 분광분석의 비교 (Comparison of medical history based diagnosis and urine test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in drug overdose)

  • 이자영;차경만;정원중;김형민;소병학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22
  • Purpose: In patients with acute drug overdose, identification of drugs ingested is crucial to make a precise diagnosis. In most cases, the diagnoses are made on the medical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cordance of diagnosis made on the basis of patient history by comparing it with urine toxicology analysi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drug intoxicated patients over 18 years old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center from 2017 to 2019. Specimens from urine were tested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UPLC-TMS).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formation obtained from patients. Diagnostic concordances for drug detection in intoxicated patients were calcul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discrepancy. Results: Totally, 37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verall, 66 types of drugs were detected by UPLC-TMS. The drugs detected most frequently were zolpidem (104, 27.8%), citalopram (70, 18.7%), and paracetamol (66, 17.6%). The mean diagnostic concordance of patients was 52.7%.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agnostic discrepancies in patients with underlying depression and patients intoxicated with multiple types of drugs. Conclusion: In ED patients with acute drug overdose, the diagnoses made on history alone were often inaccurate. It is essential to perform urine toxicology tests such as UPLC-TMS as a confirmatory instrument to improve accuracy in evaluating patients with drug intox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