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

검색결과 4,751건 처리시간 0.043초

Monascus pilosus 발효 뽕잎차가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on Body Weight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Mouse Fed High-Fat Diet)

  • 이상일;이예경;이인애;최종근;김순동;서주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6-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뽕잎차와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가 ICR mouse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대조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C),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UM), 발효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FM)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는 HC군의 주당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해 2.13배로 높았으나, UM군과 FM군은 NC군의 1.80 및 1.67배로 체중증가량이 크게 완화되었다. 장기 중량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증가되었던 간의 중량은 UM과 FM군에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장의 경우에도 NC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고환 주변 지방의 함량은 UM과 FM군의 경우 모두 고지방 식이로 현저하게 증가된 지방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FM군에서 현저하였다. ALT 활성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2.56배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UM군과 HC 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으나 FM군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TG, TC, LDL-cholesterol의 함량 및 동맥경화지수(AI)는 HC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8.42%, 39.59%, 212.56% 및 230.70%가 증가하였으며, HDL-cholesterol 함량은 17.84%가 감소하였다. UM군의 TG, TC, HDL- 및 LDL-cholesterol 함량은 H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FM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동맥경화지수도 HC군 2.63, UM군 2.09, FM군 1.70으로 FM군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TG 함량은 UM 및 FM군이 HC군에 비하여 25.18~25.72%가 감소되었으며,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에서도 TG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Glutathione(GSH)의 함량은 FM군이 UM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ipid peroxide(LPO)의 함량은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49.82% 및 44.52% 감소하였다. Xanthine oxidase(XO) 활성은 UM군과 FM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각각 38.41% 및 53.62%가 감소하였다. SOD 활성은 UM과 FM군 모두 NC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활성은 UM군과 FM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감소된 HC군의 활성을 14.81~23.46% 증가시켰다. Glutathione peroxidase(GPX) 활성(NADPH nmole/min/mg protein)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C군에서의 활성은 NC군의 65.59%에 불과하였으나,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22.95% 및 38.52%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검경한 결과,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F군에서는 간 조직 세포가 지방 방울의 축적에 의해 확장되어 간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된 상태였다. 하지만, UM군과 FM군에서는 중심정맥 주위의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간 소엽의 간세포삭과 간 조직 세포 내에 지방방울의 축적이 보이긴 하나 구분이 가능하며, UM군에 비하여 FM군 쪽의 간 손상이 보다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M.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는 정상식이군에서는 간 조직 손상과 관련된 LPO의 함량을 경감시키는 효과와 함께 경미한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고지방 식이에 의한 비정상 생리 상태에서는 비만 해소와 ROS 생성계효소의 저해와 소거계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통한 간 기능 증진과 조직 손상을 예방 또는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의 항(抗)알레르기 효과(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 of the Taklisodok-um)

  • 김경선;이진용;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7
    • /
    • 1994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aklisodok-um on the Anti-allergic respons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On vascular permeability response to the intradermal injected Histamine, the Taklisodok-um treated group reveal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control group. 2. On vascular permeability response to the intradermal injected Serotonin, the Taklisodok-um treated group reveal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control group. 3. In the 48hrs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rovoked by the IgE-like antibody against white egg album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aklisodok-um 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4. The Taklisodok-um treated group revealed more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than control group in the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sponse to Picryl chloride. 5. The Taklisodok-um treated group revealed more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than control group in the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sponse to SRBC. According to the above-stated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Taklisodok-um could be applied widely to the type I and IV allergic diseases.

  • PDF

Umbraulva yunseulla sp. nov. (Ulvaceae, Chlorophyta) from a subtidal habitat of Jeju Island, Korea

  • Lee, Hyung Woo;Bae, Eun Hee;Kim, Myung Sook
    • ALGAE
    • /
    • 제35권4호
    • /
    • pp.349-359
    • /
    • 2020
  • Specimens of Umbraulva with greenish iridescent were collected in the subtidal zone of Jeju Island, Korea. To investigate these collections, plastid rbcL and tufA sequencing of six greenish iridescent specimens, including four Umbraulva japonica, were analyzed. Phylogenetic analysis of a concatenated multigene alignment found that the greenish iridescent specimens belonged to a yet undescribed taxon in the genus Umbraulva. We herein propose the name Um. yunseulla sp. nov. for this specimens. Juveniles of Um. yunseulla sp. nov. resemble the generitype Um. japonica in appearance, showing globular to subglobular and funnel-shaped habits, but the blades of this new species are not split longitudinally like those of Um. japonica. Although the multigene phylogenetic tree showed the polyphyletic clade of Umbraulva with respect to the genus Ryuguphycus, Um. yunseulla sp. nov. formed a clade with Um. japonica and Um. amamiensis by weak bootstrap support. These findings, Um. yunseulla sp. nov.,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biodiversity of subtidal habitats from Jeju Island, Korea and further emphasize the need for investigations of macroalgae in the mesophotic zon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lver Paste 를 이용한 Solar Cell 은 전극 제조 (Synthesis of Top Connector for Solar Cells by Using Silver Paste)

  • 김영규;정태의;오동훈;김남수;홍성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2호
    • /
    • pp.1837-1842
    • /
    • 2010
  • 화석에너지의 고갈로 인한 대체 에너지 연구는 최근 수십 년 동안 계속 행해지고 있다. 원자력 에너지와 비교해서 낮은 전기발생 효율에도 불구하고, 환경친화적이며 태양이라는 영구성으로 태양에너지는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의 효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햇빛 입사각의 변화와 Top Connector 형상이라 가정하고 MATLAB 과 MathCAD 를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실험모사 결과 상용화 제품인 500um 선폭, 5um 높이 Top Connector 형상과 비교하여, 최고 10%의 태양전지 효율증가는 Top Connector 후막 두께가 25~50 um, 선폭 두께가 50~100um 영역에서 찾을 수 있었다. 10 만 cps 의 점도를 갖는 은페이스를 500um 의 MDDW (Micro-Dispensing Deposition Writing) 직접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25 um 후막을 형성하였다.

중경(仲景) ${\ll}$상한론(傷寒論)${\gg}$의 육경실질(六經實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정창현;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7권
    • /
    • pp.232-268
    • /
    • 1994
  • According as we look around a notion of LM-YANG(陰陽) in NAE-KYUNG(內徑) or ancient for example the Book of Changes(周易), we will find that the principle of UM-YANG of philosophy in ancient china was applied medical science by NAE-KYUNG, and Chung-Kyung(仲景) connected principle of UM-YANG in NAE-KYUNG to demonstration and medical treatment(辨證施治) of SANG-HAN disease(傷寒病). According as we look around 3UM-3YANG(三陰三陽) in NAE-KYUNG and various theories of another scholar connected 3UM-3YANG of SANG-HAN-RON(傷寒論), we can know that the whole of SANG-HAN-YUK-KYUNG(傷寒六經) cannot explain by a some conception, we cannot understand precisely rear meaning of SANG-HAN-YUK-KYUNG until theories-JANG-BU(臟腑), GYUNG-RAK(經絡), GI-HWA(氣化), a reigon, a layer, and so on-are studied totally. Therefore 3UM-3YANG of SANG-HAN-RON(傷寒論) is basically the thing of specialization UM-YANG, eventually UM-YANG are two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human body. It is specialized to 3UM-3YANG by spatial and time criteria. When we consider a question in its aspect, YUK-KYUNG is synthetic six classifications of human body's functional system that include(3UM-3YANG)GYUNG-RAK, related JANG-BU, distributional area of GYUNG-RAK, vicissitude of UM-YANG, more or less of GEE-HYUL(氣血), function of GAE-HAB-CHUL(開闔樞), and the like; and disease of YUK-KYUNG of SANG-HAN-RON are the very six types of disease that appeared by dint of mal function of each synthetic functional system.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미세조류 Arthrospira platensis 변이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Mutants Generated by UV-B Irradiation)

  • 박현진;김영화;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96-500
    • /
    • 2012
  • Arthrospira platensis (A. platensis)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사상형 미세조류이다. 화학적 혹은 물리적 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도된 변이주 분리는 균주 개량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A. platensis에서 자외선(UV-B)조사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변이주를 확보하였다. A. platensis를 자외선(15 Watt, 254 nm)을 이용하여 1, 3, 5, 10 min 동안 처리 한 후, 얻어진 변이주를 각각 UM1, UM3, UM5, UM10으로 명명하였다. 특히, UM5 변이주는 야생균주와 비교하여 지질의 함량이 8~11배 가량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소(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변이주는 생리활성 물질을 축적하였으며, 이러한 유용성분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의 균주 개발은 미세조류의 산업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화엄사(華嚴寺)의 교리(敎理)와 내.외부 공간구조에 의한 배치특성 연구 -십지품(十地品)을 중심으로- (A Study on Layout character of Hwa-um Temple by Sip-JI-Pum)

  • 조남두;이재국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1-48
    • /
    • 2006
  • The research which it led and it tried to observe the layout of Hwa-Um buddhist architecture by Avatamska sutra. The avatamska sutra is one of the scriptures which are important from Buddhism and Hwa-Um buddhist architecture is same channel. Sip-ji-pum that it includes the contents of avatamska sutra is most important. Hwa-um buddhist architecture can divide the major space into a three precinct. First, the gate to a Buddhist temple(A step of self interest. Second, Ru and a building for Buddhist priest(A step of Altruistic act). Third, A Buddhist sancturary(A step of Religious ascetic).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know that site layout of Hwa-um buddhist architecture in the Hwa-um sect relations to the dogmatic background, thought.

  • PDF

금형온도에 의한 미세패턴 성형 특성에 관한 연구 (Put English Title Here)

  • 김창완;유영은;권기환;제태진;최두선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129-1131
    • /
    • 2008
  • We injection molded a plate with micro surface features including micro prizms & micro channels patterns on its surface and investigated the replication of the micro features depending on the mold temperature which is one of typical process parameters. The size of the patterns were 8um, 10um, 15um of prizm features & 15um, 30um, 45um of channel features. The size of the plate is about $400mm{\times}400mm$ and the thickness is 1mm of plate. the repliction of the mucro features turned out to depend on the mold temperature and also the location on the plate. The pressure and the feature of the melt in the cavity were also measured in real-time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micro feature replication.

  • PDF

Local-Back Contact Solar Cell adapted Laser ablation on ONO structure passivation layer

  • 공대영;유경열;이준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25-325
    • /
    • 2010
  • 최근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태양전지의 Voc와 Isc의 증가를 통한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후면 passiva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Local-Back Contact은 최적화된 후면 passivation 박막을 이용한 태양전지 제조방법이다.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최적의 laser 가공 조건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의 LBC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ONO 구조의 후면 passivation 박막에 laser ablation 조건을 가변하여 LBC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laser는 355nm 파장을 갖는 UV laser를 사용하였다. laser 파워는 5W, 주파수는 30kHz로 하였을 때 폭 20um, 깊이 5um의 홀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후면 접촉 면적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laser ablation 간격을 300um, 500um, 700um으로 가변하여 공정을 진행하였다. 태양전지 제조 결과 spacing 300um일 경우 효율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laser ablation의 데미지를 줄이기 위한 FGA 처리시 웨이퍼 표면의 데미지를 줄여 carrier lifetime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후면 passivation 극대화 및 접촉면적 가변을 통한 고효율 LBC 태양전지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K. 지구시스템모델 UM의 리눅스 클러스터 설치와 성능 평가 (An Installation and Model Assessment of the UM, U.K. Earth System Model, in a Linux Cluster)

  • 윤대옥;송형규;박성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91-711
    • /
    • 2022
  • 지구 대기에 영향을 주는 거의 모든 인간활동과 자연현상을 수치적으로 담아내는 지구시스템모델은 기후 위기의 시대에 활용될 가장 진보한 과학적 도구이다. 특히 우리나라 기상청이 도입한 지구시스템모델인 Unified Model (UM)은 지구 대기 연구의 과학적 도구로써 매우 활용성이 높다. 하지만 UM은 수치 적분과 자료 저장에 방대한 자원이 필요하여 개별 연구자들은 최근까지도 기상청 슈퍼컴퓨터에만 UM을 가동하는 상황이다. 외부와 차단된 기상청 슈퍼컴퓨터만을 이용하여 모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UM을 이용한 모형 개선과 수치 실험의 원활한 수행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개별 연구자가 보유한 고성능 병렬 컴퓨터(리눅스 클러스터) 에서 최신 버전 UM을 원활하게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UM 시스템 환경 구축 과정과 UM 모델 설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UM이 성공적으로 설치된 리눅스 클러스터 상에서 N96L85과 N48L70의 두 가지 모형 해상도에 대하여 UM 가동 성능을 평가하였다. 256코어를 사용하였을 때, 수평으로 1.875° ×1.25° (위도×경도)와 수직으로 약 85 km까지 85층 해상도를 가진 N96L85 해상도에 대한 UM의 AMIP과 CMIP 타입 한 달 적분 실험은 각각 169분과 205분이 소요되었다. 저해상도인 3.75° ×2.5° 와 70층 N48L70 해상도에 대해 AMIP 한달 적분은 252코어를 사용하여 33분이 소요되는 적분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적분을 위해 사용된 코어의 개수에 비례하여 적분 성능이 향상되었다. 성능 평가 외에 29년 간의 장기 적분을 수행하여 과거 지상 2-m 온도와 강수 강도를 ERA5 재분석자료와 비교하였고, 해상도에 따른 차이도 정성적으로 살펴보았다. 재분석자료와 비교할 때, 공간 분포가 유사하였고, 해상도와 대기-해양 접합에 따라 모의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슈퍼컴퓨터가 아닌 개별 연구자의 고성능 리눅스 클러스터 상에서도 UM이 성공적으로 구동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