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D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6초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계획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 권오정;하해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1-144
    • /
    • 2004
  • The Universal Design(UD) is a recent issue related to preserve human dignity, equality and human settlements. This study is aimed at describing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residential bathrooms and in identifying the awareness and needs of adapting the UD concept for residential bathrooms. 570 persons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as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wareness of the UD was very low, but that their needs for adapting the UD concept was relatively high.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he UD, followed by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specific design considerations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were suggested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UD.

Penn Korean Universal Dependency Treebank 데이터셋 구축 (Manual Revision of Penn Korean Universal Dependency Treebank)

  • 오태환;한지윤;김한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1-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8년에 공개된 Penn Korean Universal Dependency Treebank(이하 PKT-UD v2018) 데이터의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개정하여 새롭게 데이터셋(이하 PKT-UD v2020)을 구축하였다. PKT-UD v2018은 구구조 분석 방식으로 구축된 Penn Korean Treebank를 UD(Universal Dependencies)의 체계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변환한 후 보정하여 구축한 데이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자동 변환의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바로 잡고, UD 체계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한국어의 특성을 잘 살린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UNG 기반 direct polymerase chain reaction (udPCR)을 이용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진단법 (UNG-based direct polymerase chain reaction (udPCR) for the detection of porcine circovirus 2 (PCV2))

  • 김은미;박최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3-261
    • /
    • 2014
  • Porcine circovirus disease (PCVD) is a major problem of swine industry worldwide, and diagnosis of PCV2, causal agent of PCVD, has been doing in clinical laboratories of pig diseas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But the PCR analyses have a serious problem of misdiagnosis by contamination of DNA, in particular, from carryover contamination with previously amplified DNA or extracted DNA from field samples. In this study, an uracil DNA glycosylase (UNG)-based direct PCR (udPCR) without DNA extraction process and DNA carryover contamination was developed and evaluated on PCV2 culture and field pig samples. The sensitivity of the udPCR combined with dPCR and uPCR was same or better than that of the commercial PCR (cPCR) kit (Median diagnostics, Korea) on PCV2-positive serum, lymph node and lung samples of the pigs. In addition, the udPCR method confirmed to have a preventing ability of mis-amplification by contamination of pre-amplified PCV2 DNA from previous udPCR. In clinical application, 170 pig samples (86 tissues and 84 serum) were analysed by cPCR kit and resulted in 37% (63/170) of positive reaction, while the udPCR was able to detect the PCV2 DNA in 45.3% (77/170) with higher sensitivity than cPCR. In conclusion, the udPCR developed in the study is a time, labor and cost saving method for the detection of PCV2 and providing a preventing effect for DNA carryover contamination that can occurred in PCR process. Therefore, the udPCR assay could be an useful alternativ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PCV2 in the swine disease diagnostic laboratories.

유니버설디자인 기반 도시철도역사 편의성 평가방법 개발 - 수서역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Convenience Evaluation Method of Urban Railway St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 Focusing on Suseo Station -)

  • 이상화;김황배;김현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59-165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존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보다는 장애 유무나 연령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물, 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도시철도역사의 경우 도시생활의 거점이 되는 중요한 시설이며, 다양한 이용자(임산부, 고령자, 장애인, 유아 등)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시설 정비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토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도시철도역사 이용객 편의성 향상 기술 개발" 과제의 일부로 5개년도 중 마지막 연차 과제로 UD 기반의 시설물 편의성 평가 기준 및 방법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역을 선정하여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원칙(평가기준)을 수립하고, UD 적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공간별로 개발하고, 해당 평가방법론의 실제 적용을 위해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를 3차년도에 선정, 4차년도에 UD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개선한 후 5차년도(현재)에 UD 기반 테스트베드 역사 편의성 향상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의 UD 가이드라인 개선 전/후 현장 조사 수행 후 공동연구기관/철도운영기관/전문가를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약 50.3%의 편의성 향상을 보였다. 또한 UD 원칙에 따른 적용 여부를 평가한 결과 개선 전 평균 약 1.8점 ${\rightarrow}$ 개선 후 4.2점으로 약 48.7% 개선되어 전체적으로 UD 가이드라인의 설계기준이 잘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D 기반 평가기준 및 방법론은 향후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적용 여부를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향후 도시철도역사 UD 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평가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유근피 약침액이 골재흡수 중 Cathepsin에 대한 억제 작용 (Inhibitor activity of Ulmus davidiana Planch(UD)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Cathepsin having bone resorption activity)

  • 김근삼;조현석;황민섭;김갑성;이승덕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12
    • /
    • 2005
  • 유근피의 ethanol 추출 약침액 (EE-UD)과 수욕 약침액 (WE-UD)은 cathepsin K 와 L의 우수한 억제물로 밝혀졌다. WE-UD는 IC50 수치가 5.32 ${\square}g$/ml일때 cathepsin K를 억제하였고 6.34 ${\square}g$/ml일때 cathepsin L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EE-UD는 cathepsin K와 L을 1.45 ${\square}g$/ml와 2.43 ${\square}g$/ml 수준에서 억제 활동을 보여 WE-UD보다 많은 유의성을 보였다. EE-VD는 0.8 ${\square}g$/ml의 Ki 수치로 cathepsin K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물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은 분석실험에서도 pH 7.0의 glutathione와 같이 작용하였을때 10배로 늘어났다. 또한 이는 GSH thiolate 음이온의 조합을 지원하므로서 이러한 유효성의 증가는 아마도 효소의 활동 장소로 향한 약침액 배합들의 향상된 화학 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WE-UD는 시간 의존적 억제 성을 보임으로서 실험과정 중에 불변의 cathepsin K의 분열과 합성 속도를 알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EE-UD는 실험용 쥐의 파골세포와 설치류의 골이 관련된 실험에서 골 재흡수성을 억제함이 입증되었다. WE-UD는 cathepsin K 와 L, 그리고 골의 collagen에서의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cathepsin K로 인하여 유발된 골 손상의 진행을 예방해주는데 효과적인 것임을 강력히 시사하였으며 또한 골수세포들의 골 재흡수 활동에 효과적인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유근피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 및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효과 (Inhibitory effect of Ulmus davidiana on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cytokine production in RBL-2H3 cells)

  • 박세봉;강경화;윤화정;고우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5
    • /
    • 2011
  • Objectives : Ulmus davidiana (UD)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for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rhinitis, asthma, and absces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UD on type 1 allergic response, we determined whether UD inhibits early and late allergic response. Methods : The effect of UD was analyzed by ELISA and RT-PCR in RBL-2H3 cells. Levels of ${\beta}$ -hexosaminidase, interleukin (IL)-4 and TNF-${\alpha}$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s). mRNA levels of COX-2 and T-helper type 2(Th2) cytokines were analyzed with RT-PCR. Results : We found that UD suppress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 RBL-2H3 not only by the PMA plus A23187 stimulation, but also by the IgE-DNP-HSA stimulation at the antigen-antibody binding stage and antibody-receptor binding stage. UD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COX2 level, along with reduced Th2 cytokine levels, such as IL-3, IL-4, IL-5, IL-13, GM-CSF, and TNF-${\alpha}$ in RBL-2H3.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UD protects against type 1 allergic response and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degranulation and expression of COX2 and Th2 cytokines.

Inhibitory Action of Ulmus Davidiana Planch Extract Solution to Osteoclast Cell Proliferation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in Mice

  • Park, Sang-Dong;Kim, Kap-Sung;Cho, Hyun-Seok;Lee, Seung-Deok;Kim, Kyung-H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91-102
    • /
    • 2006
  • Objectives : Ulmus davidiana Planch (UD) has long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protective effects on damaged tissue, inflammation and bone among other functions. Method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ddress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the bark of UD could modulate proliferation of mouse osteoclasts in vitro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cyclooxygenase-2 (COX-2), which converts arachidonic acid to prostaglandin E2 (PGE2) and is highly expressed in osteoclasts. Mouse osteoclasts were tested in vitro for growth inhibition, proliferation cell nuclear antigen expression, and COX-2 activity and expression after treatment with UD extract. Results : Its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indomethacin (a nonselective COX inhibitor) and celecoxib (a selective COX-2 inhibitor) by Cell viability assay, Cell cycle analysi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PCNA express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PGE2 Enzyme immunoassay (EIA). UD demonstrated a strong growth inhibitory action in both tested osteoclasts cells. The IC50s were $10\;{\mu}g/ml$ for UD, $6\;{\mu}M$ for celecoxib and $42\;{\mu}M$ for indomethacin. UD, as well as celecoxib and indomethacin, suppressed proliferation cell nuclear antigen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in osteoclasts. UD inhibited COX-2 expression, whereas celecoxib inhibited COX-2 activity directly. Conclusion : UD selectively and effectively inhibits osteoclasts cell growth in vitro. Inhibitory action of PGE2 synthesis via suppression of COX-2 expression may be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 PDF

KURT 화강암 내 우라늄의 지화학적 용출특성에 미치는 용존이온의 영향 (Influence of Dissolved Ions on Geochemical Dissolution of Uranium in KURT Granite)

  • 조완형;백민훈;류지훈;이재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1-290
    • /
    • 2018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대상 암종으로 고려되는 화강암에서 방사성핵종의 장기 거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화강암에 존재하는 우라늄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 시작 후부터 10일 동안의 반응기간 중 다른 반응용액에 비해 $CO_3{^{2-}}$ 농도가 높은 $UD-CO_3$ 및 UD-Bg 반응용액에서 우라늄의 용출량이 다소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Na 또는 Ca가 다량 함유된 반응용액에서 반응 6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이 다소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반응용액에 의한 반응 270일까지의 우라늄의 용출량은 $UD-CO_3$ ($44.61{\mu}g{\cdot}L^{-1}$), UD-Bg($41.01{\mu}g{\cdot}L^{-1}$), UD-Na ($26.87{\mu}g{\cdot}L^{-1}$), UD-Ca ($20.26{\mu}g{\cdot}L^{-1}$), UD-CaSi ($17.03{\mu}g{\cdot}L^{-1}$), UD-Si ($10.47{\mu}g{\cdot}L^{-1}$)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으나, 반응 27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화강암 시료 내에 존재하는 우라늄이 반응용액과 상호반응에 의해 최대 용출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우라늄 용출은 혼합된 반응용액 내의 $CO_3{^{2-}}$ 존재와 수질의 지화학적 유형에 따라 우라늄의 용출 농도 및 용출 최대치가 나타나는 시점이 다르게 확인되었다. 이는 시료와 반응용액의 상호반응 과정에서 용존이온의 영향에 의해 화강암시료와 반응용액 사이에 반응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Nozzles from Alumina Ceramics with Submicron Structure Fabricated by Radial Pulsed Compaction

  • Kaygorodov, Anton;Rhee, Chang;Kim, Whung-Whoe;Ivanov, Viktor;Paranin, Sergey;Spirin, Alexey;Khrustov, Vladimir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368-369
    • /
    • 2006
  • By means of magnetic pulsed compaction and sintering of weakly aggregated alumina based nanopowders the jet forming nozzle samples for the hydroabrasive cutting were fabricated. The ceramics was obtained from pure alumina, as well as from alumina, doped by $TiO_2$, MgO and AlMg. It was shown that the samples sintered from AlMg doped $Al_2O_3$ powder have the best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lative density ${\sim}0.97$, channel microhardness. - 18-20 GPa, channel surface roughness ${\sim}0.7\;{\mu}m$, average crystallite size ${\sim}1\;{\m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