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C 관광정보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UCC 관광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UCC Tourism Information)

  • 양성수;최병길;홍성화;조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16-423
    • /
    • 2009
  • 마케팅 분야에서 구전은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매우 높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설득력이 강하고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면서 여행경험담, 여행추천, 의견교환 등 UCC 관광정보에 대한 정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실험조사 설계를 통해서 UCC 관광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로서 도출된 UCC 관광정보의 현상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정보의 생성단계, 교환단계, 확산단계 등 정보흐름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UCC 관광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UCC Tourism Information)

  • 양성수;최병길;홍성화;조성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8-332
    • /
    • 2009
  • 마케팅 분야에서 구전은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매우 높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설득력이 강하고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보의존성이 강한 관광산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잠재 관광객들은 인터넷을 활용하여 여행 경험자의 여행담, 여행추천, 의견교환 등 관광콘텐츠 생성 및 교환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실태를 문헌조사(literature review), 횡단조사(cross-sectional) 등을 통해 살펴보고 UCC 관광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UCC를 이용한 관광정보시스템 연구 (Study on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using UCC)

  • 양성수;허향진;최병길;박시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30-236
    • /
    • 2007
  • 관광정보는 관광 상품에 대한 정보로써 관광수요자 즉 관광객이 관광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말한다 이러한 자료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관광객들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정보시스템으로 칭하는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콘텐츠들은 공급자위주로 정보 갱신 및 운영을 하고 있어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을 측면으로 볼 때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콘텐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콘텐츠 제작 기술은 소비자가 직접 만들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웹사이트에서 소비자가 제작한 콘텐츠들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관광정보 제공에 있어 공급자가 제공하는 콘텐츠와 소비자가 직접 제작한 만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살펴본 방안을 토대로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UCC를 이용한 관광정보시스템 개선 방안 (Innovation of Tourism Information System with UCC)

  • 양성수;허향진;박시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0-363
    • /
    • 2006
  • 관광정보는 관광 상품에 대한 정보로써 관광수요자 즉 관광객이 관광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말한다. 이러한 자료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관광객들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정보시스템으로 칭하는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콘텐츠들은 공급자위주로 정보 갱신 및 운영을 하고 있어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을 측면으로 볼 때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콘텐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콘텐츠 제작 기술은 소비자가 직접 만들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웹사이트에서 소비자가 제작한 콘텐츠들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관광정보 제공에 있어 공급자가 제공하는 콘텐츠와 소비자가 직접 제작한 만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살펴본 방안을 토대로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제주 물 브랜드 제고를 위한 체험형 UCC 제작 방안 (Developing an Interactive UCC for Branding Jeju Water)

  • 김민수;부경민;임경덕;김성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27-530
    • /
    • 2010
  • 최근에 웰빙 열풍에 의해 사람들이 기능성 음료, 건강 차, 마시는 물 등에 대한 관심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웰빙 열풍에 따라 건강에 좋은 물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자신들이 마시고 있는 물의 웰빙성에 대한 정보는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냐하면, 물에 대한 기존 홍보 방법들이 단방향 형태의 단편 정보를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UCC를 활용하여 물의 브랜드를 제고시키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상호작용성이나 체험성 형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주 물에 대한 효과적인 브랜딩 방안으로 첨단 정보 기술과 제주 물의 특성을 융합하는 접근으로 체험형 UCC를 어떻게 제작할 것인지를 알아본다. 다양한 물 종류 중에서도 국내에서 우수한 물로 인정받고 있는 제주 물의 브랜드 제고를 위해 정보 기술과의 효과적인 융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제주 물은 지하수로 화산 암반수이기 때문에 제주를 다녀갔던 관광객을 비롯한 대부분 일반 사람들은 제주 물의 실체를 직접 보거나 체험해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단순히 제주 물을 홍보하는 UCC 형태를 탈피하여 상호작용적 체험을 통해 제주 물의 우수성과 브랜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3D 기술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제주의 물의 웰빙성을 느껴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문화사회의 관광정보 웹 콘텐츠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Tourism Information Web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 이용재;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13-422
    • /
    • 2010
  • 1990년 이후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를 시작으로 최근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에서 결혼이민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이주민과의 공존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에 의하면, 이주민이 가장 희망하는 여가 활동은 '여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를 고려하여 이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 여행에 대한 정보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관광정보 웹 콘텐츠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관광 웹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고 웹사이트 '부산 문화관광'을 주요 사례로 분석하였다. 특히, 여행관련 웹 콘텐츠 중 VOD영상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위하여 이주민들과의 인터뷰를 거침으로써 이주민의 눈높이에 맞춘 웹사이트 평가를 시도하였다. 평가결과, 콘텐츠품질에서 가장 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서비스, 인터페이스 순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산해양관광 관련 웹사이트의 정보탐색 특성과 상대적 중요도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1권2호
    • /
    • pp.81-106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The survey ite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and also implemented particular way so-called 'semi-online' that including both web based material and offline tutorial.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ploration on island tour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cond is examining the peculiar properties of tourism information that exposed one's individual importance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no difficulty in using the internet and exploring the island tourism inform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and exploring the interne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st popular type of island tourism information is picture type. Personal blog or user created contents(UCC) that containing the other's experience of island tourism is mostly wanted cont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of contents within the students. The community based information which including UCC, blog, and other community user's posting is evaluated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relatively less experienc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more experienced students have a preference on expertise information which created by tourism experts. The difference within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affecting island tourism also significant. With analysis of variance(ANOVA) on determinant factors, the tourism activity and social/culture resource are less important than others(eg. natural environment, accommod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practically used for implementing the local government's effective tourism web site and enhancing the current island tourism operation. And also it gives a advantage to facilitate the island tourism for young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