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234 농도분포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대덕부지 토양내 오염물 이동 해석 (Analysis on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subsurface soil at Daeduk site)

  • 서경석;김은한;황원태;정효준;한문희;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55-163
    • /
    • 2003
  • 대덕 원자력시설 주변 지표 토양 환경내 오염물 거동 해석을 위하여 지하수 유동 및 오염물 이동 수치모델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델을 이용하여 대덕 원자력시설 주변의 지하수 흐름체계를 해석하고 U-234에 대한 농도분포를 계산하였다. 산정 결과 지하수는 부지내 하나로를 중심으로 동쪽 및 동남 방향으로의 흐름이 나타났고, 지표 토양내로 유입된 방사성 물질은 지하수 유동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대덕 원자력시설로부터 지표로 침적된 방사성 물질의 농도분포를 산정한 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중인 원료물질 및 공정부산물의 물리화학적 및 방사선적 특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Establishment of the Physicochemical and Radiological Database of Raw Materials and By-Products in Domestic Distribution)

  • 임충섭;임종명;박지영;정근호;김창종;장병욱;지영용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1-341
    • /
    • 2016
  • 국내 유통중인 다양한 형태의 원료물질 또는 공정부산물들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약 220여 개, 총 16 종의 표본 시료를 선정하였다. 해당 시료들에 대하여 $LaBr_3$ 섬광검출기를 이용한 에너지 스펙트럼 측정과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 분광기를 이용한 U, Th, K와 물질의 주요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234}Th$, $^{234m}Pa$$^{214}Bi$ 등의 우라늄 붕괴계열 핵종들과 $^{228}Ac$, $^{212}Pb$$^{208}Tl$ 등의 토륨 붕괴계열 핵종들 그리고 $^{40}K$ 등의 방사능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원료물질 및 공정부산물의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추가적으로 ROI구간별 계수율과 원소성분함량, 방사능농도와 같은 특성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스크리닝 장비를 이용한 방사능 농도 분포 유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천연방사성핵종 분석을 위한 절차 및 방법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천연방사성핵종 분석에 대한 정확성 및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소년 비만과 혈청 아미노 전이 효소 증가 (Adolescent obesity and the elevation of aminotransferase levels)

  • 김수연;이호준;박태수;김수근;신혜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0호
    • /
    • pp.1037-1041
    • /
    • 2006
  • 목 적 : 소아에서 비만 유병률 증가와 함께 비알콜성 지방간염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서 혈청 아미노 전이 효소 상승 빈도를 조사하고 체지방 분포 및 혈청 인슐린 농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3,63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15.7{\pm}0.7$세였다. 대상자로부터 신장, 체중, 허리둘레, 둔위를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통하여 AST, ALT및 공복시 인슐린을 측정하였다. 비만 및 과체중군은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와 비교하여 각각 95 백분위수 이상, 85-94 백분위수로 정의하였다. 결 과 : 비만군은 324명으로 8.9%였으며 과체중군은 414명(11.4%)이었다. 허리둘레와 둔위 및 허리-둔위비는 남녀학생 모두에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LT 평균치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비만군 : $32.1{\pm}34.3U/L$, 과체중 : $19.6{\pm}13.6U/L$, 대조군 : $12.7{\pm}6.7U/L$, P<0.001). AST 평균치 또한 각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비만군 : $27.8{\pm}16.5U/L$, 과체중군 : $22.8{\pm}8.6U/L$, 대조군 : $20.8{\pm}8.5U/L$, P<0.001). AST 및 ALT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둔위, 허리-둔위비 및 혈청 인슐린 농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졌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여러 신체 계측치와 인슐린 농도 중에서 ALT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갖는 것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인슐린 농도 였으며(r=0.435, P<0.001), AST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허리둘레였다(r=0.234, P<0.001). 결 론 : 비만군 및 과체중군에서 혈청 아미노 전이 효소 증가대상자의 비율이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허리둘레는 AST 및 ALT 증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서울시 지하철역사의 라돈농도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 in Seoul)

  • 이철민;김윤신;김종철;전형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69-480
    • /
    • 2004
  • The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survey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Seoul subway station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air and water were measured at seventeen subway stations(Mapo, Chungjongno, Sodaemun, Kwanghwamun, Chongno3ga, Ulchiro4ga, Tangdaemun, Sangildong on Line 5;Nowon, Chunggye, Hagye, Kongnung, Taenung, Mokkol, Chunghwa, Sangbong, Myomok on Line 7) using the $RAdtrak^{TM}$ radon gas detector, Pylon AB-5 continuous passive radon detector and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method from January to May 1999.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ong-term mean concentrations of radon were $61.8\;Bq/m^3$ in office, $78.9\;Bq/m^3$ in platform, $38.2\;Bq/m^3$ in concourse and $20.1\;Bq/m^3$ in outdoor, respectively. These levels were less than the action level ($148\;Bq/m^3$) of the U.S. EPA. The highest level of short-term mean concentrations was $116.55\;Bq/m^3$ at Chongno3ga station on the 5th line subway stations, while the lowest mean concentration was $19.55\;Bq/m^3$ at Mokkol station on the 7th line subway statio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road water and storing underground water in the subway stations was $234.7\;KBq/m^3\;and\;155.5\;KBq/m^3$ in Sodaemun subway st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radon concentration in subway stations seems to be affected by ventilation and radon concentratin in underground water in the subway stations.

식생보호를 위한 한계농도 누적 지표로 본 1998-2002년도의 우리나라 대기권 오존 오염 (Troposhperic Ozone Pollutions in Korea during 1998-2002 Using Two Ozone Indices for Vegetation Protection)

  • 윤성철;김보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8-48
    • /
    • 2004
  •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최근 5년 간 우리나라 대기 오염 자동 측정망의 총 612개 지점의 시간당 오존 농도를 SUM06, AOT40등의 식생피해 지표로 전환하여 오염 정도를 분석하고, 1990-97년의 수도권 오존 오염과 비교하였다. 1. 10%의 농작물 수량감수가 예측되는 SUM06(yr) 234 ppmㆍhr를 기준으로 볼 때, 가장 높은 전남 광양의 연간 SUM06가 11 ppmㆍhr 이므로 수량감수는 5%, 이내로 추론된다. 미국의 SUM06가 5∼12 ppmㆍhr인데 최근 5년간 612개 지점 중 상위 30개 지점에서 이 수준에 도달하였다. 2. 1997년까지 심각했던 서울의 구의, 쌍문 지점의 SUM06는 2/3 수준으로 완화되었으나 도봉, 노원, 강북 지점은 오존 오염이 최근 5년 사이 증가되었다. 반면 경기 지역은 서울 동부 외곽인 구리, 하남 그리고 남부인 안양, 군포, 수원의 오염이 97년에 비해 2배 이상 악화되었다. 서울 및 경기는 시간당 100ppb를 넘는 횟수가 지방에 비해 많은 반면, 40-60ppb의 중간급의 분포는 낮아 식생지표로 환산하면, 서울지점들의 평균치는 전국 16개시도중 중, 상위 수준이었다. 3. 수도권에 서울, 경기뿐만 아니라, 충남 서산과 강원 원주를 포함시켰는데 이들 지역은 서울 및 경기도 평균을 상회하였고, 충남 천안, 강원 춘천 등 인접지점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었다. 수도권 외에 중부권(강원, 충청), 호남권(전라, 제주), 영남권(경상, 부산) 등 전국을 4권역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1998-2000년까지는 수도권의 오염이 다른 지방보다 월등히 심각 하였으나, 최근 2년 (2001-02년)사이에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거의 없었다. 4. 공단지역은 인천, 경기 안산 시화, 울산 광역시 등에서는 오염도가 낮은 반면, 전남 광양, 경북 구미공단 지역의 오존 오염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광양과 구미 공단의 오존 오염은 수도권 이외 지방의 300개 지점 중 1-5위안에 드는 대표적인 고농도 관심 대상 지역이다. 5. 식생보호 지표인 SUM06와 AOT40을 1년 자료와 여름철 3개월(6, 7, 8월)자료로 나누어 분석하고 또한 연간 100ppb가 넘는 시간수, 95 퍼센타일, 99 퍼센타일, 연간 최고농도 등 여러 오존 지표를 상호 비교한 결과, 식물의 오존 피해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3개월 간의 식생보호 지표들과 법적 기준치인 100ppb를 넘는 연간 시간수를 상호 보완하여 오존에 의한 식생 피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