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교통정보제어서비스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Business Model of U-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and Control Services in U-City Environment (U-시티환경에서 U-교통정보제어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 Choi, Hun;Yu, Sung-Yeol;Heo, Kap-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5
    • /
    • pp.351-359
    • /
    • 2010
  • Recently, interesting of U-city with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has increased and u-city services can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Among the u-city services, traffice service is actively developed in our liv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business model and business model process in u-intelligence traffic service. To propose the research purpose, we examined the prior business model and investigated u-intelligence traffic information and control services. And also, we draw scenario and used it to identify business model. To efficiently understand proposed business model, we built business model process of u-intelligence traffic information and control services. The results of study, we draw 4 representative U-intelligence traffic information and control service. Based on representative services, we proposed business model and business model process with stakeholder, benefiter and value model.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 approach for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RFID in the u-City (u-City에서 RFID를 이용 교통신호제어에 관한 연구)

  • Seo, Gang-Do;Cho, Ji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5 no.2
    • /
    • pp.26-36
    • /
    • 2008
  • This study proposed a traffic responsive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to get traffic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is a decentralized control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The objective of proposed system is to get traffic data using advanced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junctions' traffic rights. A simulation example is provided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An approach for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RFID in the u-City (u-City에서 교통신호 수집을 위한 RFID이용에 관한 연구)

  • Seo, Gang-Do;Ozguner, Umit;Cho, Ji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359-360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최첨단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을 목적으로 ubiquitous city(u-City)가 건설 중에 있다. 이들 도시에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는 도시거주민들에게 적절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최적으로 도시교통을 제어하는 방안이다. ITS의 한 부분으로서 교통흐름에 적합한 교통신호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많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통정보의 수집은 도시운영을 위하여 최첨단 정보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u-City에서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미래지향적인u-City의 ITS 교통제어에 적합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하여 이 논문에서는 연구하였다.

  • PDF

ICT기반 스마트에너지 인프라 플랫폼 연구

  • An, Yun-Yeong;Park, Cha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7
    • /
    • pp.58-62
    • /
    • 2013
  • 최근에 ICT 기반의 융합 서비스 분야로 인구 밀집지역인 메가 시티에서의 교통, 전력, 상/하수도, u-헬스, 안전/보안등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ICT기반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인프라 구축 및 개선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ICT 기반의 융합 인프라 구축 서비스들은 M2M(Machine to Machine)과 D2D(Device to Device)를 기본 연결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을 기반으로 서비스 정보 전달 및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IP 기반의 플랫폼이 지원되어야만 융합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 가능할 것이다. 이들 융합서비스 중에서 전력과 관련하여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하여CO2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일자리와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력관련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여름철과 겨울철에 반복적인 전력 수급 불안으로 인해 피크 전력에 대한 예비력이 부족하여 국가적인 재난인 블랙 아웃의 위기를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 사업과 관련하여 현황 및 개선 사항들을 알아보고, 향후 거점지구와 국가 단위의 서비스 확장을 위하여ICT 기반의 개방형 인프라 플랫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M2M과 D2D를 기반으로 하는 융합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행은ICT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의 우선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플랫폼 기반의 디바이스 보급과 네트워크의 구축이 진행되어야 지속 가능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물리시스템 기반의 스마트 시티 기술

  • Won, Myeong-Gyu;Jeong, Deok-U;Gang, Jeong-Hun;Park, Tae-Jun;Son, Sang-Hy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8
    • /
    • pp.45-53
    • /
    • 2014
  • 센싱 (Sensing), 엑츄에이팅 (Actuating), 제어 (Control) 및 네트워킹 (Networking)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기계, 전자장비, 사회 기반시설, 에너지 공급 및 소비시설, 의료기기, 자동차 등과 같은 물리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체들간의 긴밀한 융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물리 개체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가공된 정보를 다양한 컨트롤러, 엑츄에어터 등과 공유함으로써 기존의 개별 전자기기를 위한 센싱 엑츄에이팅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과는 근본적으로 차별화되는 복잡한 시스템 위의 시스템 (Systems of Systems) 기술이 제안되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사이버 세계 정보처리 기능과 물리 세계가 서로 긴밀하게 응답하고, 협력하는 인지형 컨트롤 시스템을 사이버물리시스템 (Cyber-Physical Systems, CPS)이라 부른다. 사이버 물리시스템은 대부분의 정보처리, 제어 컴퓨팅 분야에 적용되어 효율성, 안전성, 보안성 향상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능화된 사이버 정보수집 및 최적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지능형 교통 제어, 건물그룹의 에너지 소비분석과 최적제어, 스마트 스페이스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스마트 시티 (Smart City)라는 새로운 지능형 통합 시스템을 구현하고 현실화 하는데 핵심 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사이버물리시스템의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스마트 시티를 현실화하는데 사용될 핵심 기술 분야를 소개하고, 스마트 시티 시스템에서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핵심기술들이 적용되는 도시 내 대상 공간의 규모별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Technology Trends, Research and Design of AIM Framework f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인증 정보 관리를 위한 기술 동향과 AIM 프레임워크 연구 및 설계)

  • Kim, Hyun-Joong;Cha, Byung-Rae;Pan, Sung-B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7
    • /
    • pp.373-383
    • /
    • 2016
  • With mobile-epoch and emerging of Fin-tech, Bio-recognition technology utilizing bio-information in secure method has spread. Specially, In order to change convenient payment services and transportation cards, the combination of biometrics and mobile services are being expanded. The basic concept of authentication such as access control, IA&A, OpenID, OAuth 1.0a, SSO, and Biometrics techniques are investigated, and the protocol stack for security API platform, FIDO, SCIM, OAuth 2.0, JSON Identity Suite, Keystone of OpenStack, Cloud-based SSO, and AIM Agent are described detailed in aspect of application of AIM. The authentication technology in domestic and foreign will accelerate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of standardization centered in the federated FIDO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UAF) and Universal 2 Factor Framework(U2F). To accommodate the changing needs of the social computing paradigm recently in this paper, the trends of various authentication technology, and design and function of AIM framework was 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