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in Support Vector Machin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Fuzzy Twin Support Vector Machine 개발 및 전리층 레이더 데이터를 통한 성능 평가 (Development of Fuzzy Support Vector Machine and Evaluation of Performance Using Ionosphere Radar Data)

  • 천민규;윤창용;김은태;박민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49-554
    • /
    • 2008
  • Support Vector Machine(SVM)은 통계적 학습 이론에 기반을 둔 분류기이다. 또한 Twin Support Vector Machine(TWSVM)은 이진 SVM 분류기의 한 종류로써, 서로 관련된 두 개의 SVM 유형 문제를 통해 평행하지 않은 두개의 평면을 결정하고 이 두 평면을 통해 분류기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TWSVM은 학습 시간이 SVM에 비해 훨씬 짧으며, SVM과 비교하여 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분류기 입력에 Fuzzy Membership을 적용하는 방식의 TWSVM을 제안하고, 전리층 레이더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기존에 세시 되었던 분류기와 비교한다.

패턴 분류를 위한 Fuzzy Twin Support Vector machine 개발 (Development of Fuzzy Support Vector Machine for Pattern Classification)

  • 천민규;윤창용;김은태;박민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9-282
    • /
    • 2007
  • Support Vector Machine(SVM)은 통계적 학습 이론에 기반을 둔 분류기이다. 또한 Twin Support Vector Machine(TWSVM)은 이진 SVM 분류기의 한 종류로써, 서로 관련된 두 개의 SVM 유형 문제를 통해 평행하지 않은 두 개의 평면을 결정하고 이 두 평면을 통해 분류기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TWSVM은 학습 시간이 SVM에 비해 훨씬 짧으며, SVM과 비교하여 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분류기 입력에 Fuzzy Memvership을 적용하는 방식의 TWSVM을 제안하고, 2차원 벡터 입력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기존에 제시 되었던 TWSVM과 비교한다.

  • PDF

예측성향을 고려한 비대칭 서포트벡터 회귀의 적용 (Application of Asymmetric Support Vector Regression Considering Predictive Propensity)

  • 이동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1-82
    • /
    • 2022
  • Most of the predi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are neutral predictions considering the symmetrical situation where the predicted value is not smaller or larger than the actual value. However, in some situations, asymmetric prediction such as over-prediction or under-prediction may be better than neutral prediction, and it can induce better judgment by providing various predictions to decision makers. A method called Asymmetric Twin Support Vector Regression (ATSVR) using TSVR(Twin Support Vector Regression), which has a fast calculation time, was proposed by controlling the asymmetry of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ε-tube and the asymmetry of the penalty with two parameters. In addition, by applying the existing GSVQR and the proposed ATSVR, prediction using the prediction propensities of over-prediction, under-prediction, and neutral prediction was performed. When two parameters were used for both GSVQR and ATSVR, it was possible to predict according to the prediction propensity, and ATSVR was found to be more than twice as fast in terms of calculation tim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accura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VR and GSVQR, but it was found that GSVQR reflected the prediction propensity better than ATSVR when checking the figures. The accuracy of under-prediction or over-prediction was lower than that of neutral prediction. It seems that using both parameters rather than using one of the two parameters (p_1,p_2) increases the change in the prediction tendency. Howev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better to use only one of the two parameters.

다중 요소를 가지는 SVM을 이용한 이블 트윈 탐지 방법 (Evil-Twin Detection Scheme Using SVM with Multi-Factors)

  • 강성배;양대헌;이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2호
    • /
    • pp.334-348
    • /
    • 2015
  • 최근 스마트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무선망이 가능한 AP(Access Point)의 사용 또한 증가하였다. AP를 사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할 때, 적절한 보안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로그 AP(Rogue AP)에 의해 다양한 보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로그 AP의 유형 중 하나인 이블 트윈(Evil Twin)에 대한 위협에 대해서 살펴본다. 최근 대부분의 이블 트윈을 탐지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RTT(Round Trip Time)와 같이 인가된 AP와 이블 트윈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블 트윈을 탐지하는 방법은 채널이 혼잡한 상태일 때 탐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연구에서는 이블 트윈을 탐지하는 기준으로 RTT와 함께 추가로 PIAT(Packet Inter-Arrival Time)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값을 SVM(Support Vector Machine)의 학습 요소로 사용함으로써, 이블 트윈 분류를 위한 비선형적 기준을 정한다. 결과적으로 채널이 혼잡한 상황에서도 최대 96.5% 최소 89.75%의 높은 확률로 이블 트윈을 성공적으로 탐지하였다.

진동 데이터의 시간영역 특징 추출에 기반한 고장 분류 모델 (Fault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Time Domain Feature Extraction of Vibration Data)

  • 김승일;노유정;강영진;박선화;안병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5-33
    • /
    • 2021
  • 머신러닝 기법의 발달과 함께 기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진동, 온도, 유량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계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상 탐지 및 비정상 분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진동 데이터를 활용한 회전 기계의 상태 진단은 전통적인 기계 상태 모니터링 분야로 오랜 기간 동안 연구가 진행되었고, 연구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에어컨에 사용되는 로터리 압축기에 가속도계를 직접 설치하여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분할을 수행하였으며, 시간 영역에서의 진동 데이터로부터 통계적, 물리적 특징들을 추출한 후, Chi-square 검증을 통해 고장 분류 모델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였다. SVM(Support Vector Machine) 모델은 압축기의 정상 혹은 이상 유무를 분류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해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