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nip aphi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Development of the Turnip Aphi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Homoptera: Aphididae), and Test of Insecticidal Efficacy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 Kim, Dong-Young;Chang, Sung-Kwon;Jeong, Hyung-Uk;Kim, Min-Jee;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6권2호
    • /
    • pp.93-99
    • /
    • 2008
  • The turnip aphid is a worldwide pest, damaging mainly to crucif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parameters of Lipaphis erysimi for the eventual goal of control, the developmental periods, survival rates, lifespan, and fecundity of the species were investigated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15^{\circ}C-35^{\circ}C$). Furthermore, the efficacy of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that are on the market was subjected to test in order to obtain further accurate information. The developmental period of the turnip aphid nymph was longest at $15^{\circ}C$ as 16.9 days, shortened as temperature goes up to $25^{\circ}C$ (5.4 days), and then somewhat increased at $30^{\circ}C$ (5.9 days), suggesting that the most efficient temperature for nymphal development could be around $25^{\circ}C$. Mortality of the nymphal turnip aphid was obvious at $35^{\circ}C$, whereas it was minimal at other temperature schemes. The longevity of adults shortened as temperature goes up to $30^{\circ}C$. In particular, the maximum lifespan for adults continued for 55 days at $15^{\circ}C$, but shortened to 21 days at $30^{\circ}C$. The total fecundity was 35.7 at $15^{\circ}C$, 81 at $20^{\circ}C$, 64.2 at $25^{\circ}C$, and 6.6 individuals at $30^{\circ}C$, showing the highest fecundity at $20^{\circ}C$. After the turnip aphids were successfully stabilized in indoor environment the insecticidal activity was tested and mortality was determined 12, 24, 36, and 48 hrs after EFAMs are treated. Several on-the-market EFAMs showed more than 90% of insecticidal activity within 24 hrs or 48 hrs, but a few showed less than 90% activity, signifying importance of selection of proper EFAMs.

십자화과식물 바이러스의 진딧물 매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hid Transmission of Some Cruciferous Viruses)

  • 이재열;백운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100
    • /
    • 1977
  • 무우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turnip mosaic 대한 성질과 이의 충매전염에 대하여 몇가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된 TuMV의 물리적성질은 기존성적과 일치하였고, 시무대근의 이병율이 가장 높았다. 2) TuMV의 매개곤충은 Myzus persicae, Lipaphis erysimi, Aphis gossypii, Aphis craccivora의 4종이었다. 3) TuMV의 진딧물에 의한 전염에서 가장 적당한 처리시간은 Myzus persicae는 1시간절식, 3분흡즙, 1분접종이었으며, Lipaphis erysimi는 2시간절식, 5분흡즙, 3분접종이었고, Aphis gossypii는 1시간절식 3분흡즙, 3분접종이었다. 4) 진딧물의 Probing 횟수는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과 절식시키지 않는 것에 큰 차이가 없었고, 절식시킨 진딧물의 전매체가 4분경과시부터 섭식하기 시작하였다. 5) 복숭아 혹 진딧물을 1-2분 간격으로 인위적으로 옮겨주었을 때,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의 Probing 휫수가 절식시키지 않은 것의 Probing횟수보다 훨씬 많았고,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이 주로 3분이내의 획득흡즙시간후 4분이내에 Virus를 매개하였다.

  • PDF

생물적 방제 인자로서의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하우스에서 계절에 따른 진딧물 방제효과 (Asian Ladybird, Harmonia axyridis,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Control Effects of Aphid Populations in the Greenhouses at Different Seasons)

  • 서미자;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18-26
    • /
    • 2001
  •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를 시설재배지내에 발생하는 진딧물류 방제에 적용하기 위해서 농가포장에서 무당벌레를 이용하여 진딧물 수종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겨울과 봄, 여름철에 무우테두리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이 발생한 겨자, 신선초, 케일, 가지를 재배하고 있는 시설재배지에 무당벌레 성충과 유충을 방사하여 진딧물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무당벌레는 월동개체군을 채집하여 실내에서 유지 보관한 것과 이들 월동개체군으로부터 진딧물을 공급하여 증식시킨 성충과 유충을 사용하였다. 겨울철에 수막시설을 갖추고 있는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다른 계절에 비해서 많은 양의 무당벌레의 성충과 유충을 투입하여 진딧물 개체군 밀도를 낮출 수 있었다. 봄철과 여름철에는 진딧물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서 무당벌레의 방사밀도를 달리하여 원하는 시기에 효과적으로 진딧물 개체군 수준을 낮출 수가 있었다. 무당벌레를 투입하는데는 시설재배지내의 온도와 습도 조건이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며, 진딧물 개체군의 증가율과 진딧물 초기밀도, 투입하는 무당벌레의 발육단계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속속이풀(Rorippa islandica Borb.)에서 분리한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 (Turnip Mosaic Virus Isolated from Rorippa islandica Borb)

  • 최준근;최국선;최장경;유병주;정태성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6-139
    • /
    • 1994
  • Turnip mosaic virus (TuMV) was isolated from Rorippa islandica showing mild mosaic symptom in growing f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Identification of the virus was based on host range, transmission by aphids, electron micrograph, serological reaction and hybridization detection. The virus systemically infected on Chenopodium quinoa, Nicotiana clevelandii, N. glutinosa, Brassica rapa, B. campestris subsp. pekinensis and Raphanus sativus, whereas showed local infection on C. amaranticolor, Gomphrena globosa and Tetragonia tetragonoides. The virus was transmitted by aphid (Myzus persicae). The virus particle was filamentous with 720$\times$12 nm in length, and reacted positively with an antiserum of TuMV in agar gel double duffusion test. In slot-blot hybridization using the digoxigenin(DIG)-labeled RNA probe, TuMV-RNA could be detected in sap of R. islandica infected with the vir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natural infection of that virus on R. islandica.

  • PDF

고랭지배추 바이러스병의 발생 및 피해요인 분석 (Occurrence of Virus Disease of Chinese Cabbage and Its Influence on Cabbage Production in Alpine Area)

  • 최준근;이재홍;이세원;함영일;안재훈;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33-439
    • /
    • 1998
  • The studies on the ecology of virus diseas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ubsp. pekinensis) cultivated in alpine area of Kangwon province during summer season to analyse its influence on damage and develope a prediction model were performed from 1993 to 1997. Virus disease on Chinese cabbage occurring in the alpine area showed various symptom types and among there, necrotic spots and dwarf were mainly detected. The disease was increased from early August and continued mid September in every year. The occurrence of virus disease was the highest in 1994 with 20.5%, and the number of aphid vectors were also the highest during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aphids in the alpine areas showed twice peaks every year. For the analysis of damage by virus infection, the infection and injured ratio of all treatments were more than 90% and 80%,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virus disease on Chinese cabbage was temperatur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viral disease in the alpine area were maximum temperature and number of aphid vectors.

  • PDF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장내세균의 특성 및 Staphylococcus spp. 장내세균이 무당벌레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Enterobacteria from Harmonia axyridis and Effects of Staphylococcus spp. on Development of H. axyridis)

  • 문청원;김기광;황경숙;서미자;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7-165
    • /
    • 2011
  • 포식성 곤충인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소화기관 내에 서식하고 있는 장내세균을 순수 분리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밝히고 이들 장내세균이 무당벌레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험곤충은 전북 김제(JK), 충남 금산(CK) 그리고 충남대학교 곤충생리실험실(CI)의 무당벌레 개체군을 사용하였다. 무당벌레의 소화기관에서 장내세균 34균주를 순수분리하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총 4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하였다. 무당벌레 소화기관에서 분리된 전체 분리균주의 약 70%가 Bacillus속과 Staphylococcus속을 포함하는 계통군이었으며, 시험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공통적으로 분리되는 특징을 보였다. 분리된 장내세균 중 대표세균 18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조사를 수행한 결과, ofloxacin과 penicillin이 장내세균의 모두에게 증식을 저해하는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어 시험약제로 선택하였다. 무당벌레의 먹이인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과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imi)에 ofloxacin 과 penicillin을 직접 처리하여 무당벌레를 사육하면서 번데기무게, 유충기간, 성충의 산란력, 부화율 등 생리적 특성을 항생제 무처리구와 비교한 결과 낮게 나타났다. 각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공통적으로 분리된 대표 장내세균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가 무당벌레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S. saprophyticus의 부재 시 유충기간이 길어졌으며 번데기의 무게 그리고 성충의 산란력은 감소하였다.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의존 발육 및 산자 단위모형 (Temperature-driven Models of Lipaphis erysimi (Hemiptera: Aphididae) Based on its Development and Fecundity on Cabbage in the Laboratory in Jeju, Korea)

  • 오성오;권순화;김태옥;박정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19-128
    • /
    • 2016
  • 본 연구는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발육실험, 성충수명, 산자실험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약충의 온도발육모형, 무시성충의 산자모형 작성에 필요한 기본모형들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개의 온도(10, 15, 20, 25, 30, $35{\pm}1^{\circ}C$, 16L:8D)에서 실험한 결과로 저온인 $10^{\circ}C$에서는 성공적으로 발육하지 못했다. 약충 발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30^{\circ}C$까지는 감소하였고 $35^{\circ}C$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는데, $15^{\circ}C$에서 18.5일, $30^{\circ}C$에서 5.9일 이었다. 약충전체 직선회귀식에서 발육영점온도(DT)는 $7.9^{\circ}C$로 나타났으며, 유효적산온도(DD)는 126.3일이었다. 전기약충(1+2령), 후기약충(3+4령), 전체약충 발육률에 대한 비선형모형(Lactin 2 model)과 발육기간 분포 모형(Weibull model)을 작성하였다. 성충수명은 $15^{\circ}C$에서 비정상적으로 18.2일을 보였고, $20^{\circ}C$에서 24.4일, $30.0^{\circ}C$에서 16.4일의 범위에 있었으며, 성충 생리적 연령계산을 위한 노화율 모형작성에 이용되었다. 총 산자수는 $20^{\circ}C$에서 91.6마리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산란모형 작성에 필요한 온도별 총산자수, 연령별 누적산자율, 연령별 생존율 모형 등 3개의 기본모형을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