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meric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8초

낫토균으로 발효한 발효울금의 투여가 마우스의 간 기능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Turmeric (Curcuma longa) by Bacillus natto Supplementation on Liver Function and Serum Lipid Parameters in Mice)

  • 강재구;강효진;서지혜;김선옥;최정효;조도연;박창교;이회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0-435
    • /
    • 2009
  • 본 연구는 낫토균으로 울금을 발효함으로써 울금의 기호성 향상 및 낫토키나아제의 작용으로 울금의 체내이용율을 증가시켜 생리활성 기능이 증가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울금을 낫토균으로 발효시킨 결과, 칼슘과 아연의 경우 울금에 비하여 발효울금에서 각각 약 6배와 44배 증가를 보였고, 셀레늄의 경우에는 발효울금에서만 새롭게 검출되었다. 항산화 활성 비교실험 결과, 울금과 발효울금의 항산화 활성은 각각의 실험농도에서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발효울금이 울금보다 항산화 활성이 약간 높았다. 발효울금의 간 기능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일으킨 마우스에서 실험한 결과, AST 및 ALT 효소 활성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05) 특히 사염화탄소에 의해 야기된 간조직의 염증, 괴사 및 지방의 축적이 확연히 적어지는 등 정상군에 가깝게 간 손상이 회복되어 발효울금은 간 기능성 개선에서 울금보다 효과적이었다. 낫토균으로 발효한 발효울금의 혈중 지질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고지방(20% 지방) 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서 발효울금 및 울금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중 지질 함량 변화를 평가한 결과, 고지방 식이에 의해 증가된 총 콜레스테롤과 LDL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본 연구에서 울금 및 발효울금 모두 혈중지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으나, 발효울금의 경우 저농도 투여에 의해서도 혈중 지질 개선효과가 나타나 울금에 비해 상대적인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낫토균에 의한 울금의 발효가 울금 특유의 이취에 의한 쓴맛 및 신맛을 유의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적절한 제품화 과정을 거친다면 기능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식품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토산 가교 처리된 면직물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I) - 울금을 중심으로 - (Natural Dyeing of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I) - Turmeric -)

  • 곽미정;권정숙;이신희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7
    • /
    • 2008
  • For the purpose of standardization and practicability of natural dyeing, the mordanting and dyeing properties of turmeric was studied.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turmeric were extracted with boiling water.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 was dyed with aqueous extract of turmeric and their dyeabilities on the fabrics were studied. Additionally the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ere also investigated.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epichlorohydrin in the presence of chitosan to provide the cotton fabrics the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turmeric) by the chemical linking of chitosan to the cellulose structure. The chitosan finishing and durable press finishing of the cotton fabrics occurred simultaneously in the mercerization bath. The dyeability(K/S), which was obtained by CCM observation, remarkably became increased when the crosslinked chitosan concentration was higher. Dyeability of turmeric was improved on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 rather than only cotton fabric, while the saturated dyeing time was 20minutes at $60^{\circ}C$. The hue value indicated greenish yellow with increasing the crosslinked chitosan concentration. And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as almost the same.

울금을 첨가한 오리 훈연육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moked Duck Meat Amended with Curcuma longa L. during Storage)

  • 이인옥;노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8-7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graduall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urmeric extract (0, 0.1, 0.2, and 0.4%) to smoked duck meat on its chromaticity, antibiosis, and antiseptic degree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number of bacteria, lipid rancidity, sensory evaluation, and preference. The brightness, red color intensity and yellow color intensity changed significantly when 0.2% turmeric extract was added and the sodium nitrate concentration was reduced. Additionally, no antibiosis or antiseptic activitie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observed in any turmeric treated samples, whereas the number of bacteria was increased in control samples compared to turmeric treated samples after 10 days of preservation. The TBARS value decreased during storage when turmeric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resulting in positive sensory evaluation of its color, succulence, taste and hardness. In the preference test, the surface and meat color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urmeric extracts increased. Hardness was highest at 0.2%, whereas taste was highest between 0.2 and 0.4%. The overall preference test was highest for the 0.2% extract sample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0.2% turmeric to smoked duck meat will lead to better nutrition, function, and overall preference.

울금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Turmeric Powder)

  • 서광명;정연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1-20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과 기능성이 있는 울금을 다양하게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울금 분말을 멥쌀가루 대비 0, 1, 3, 5, 7%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수분 함량, pH, 당도,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울금설기떡 제조 시 최적의 첨가 비율과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울금 분말을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pH는 울금 분말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울금 분말을 첨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대조군과 처리군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품질 특성 중 경도(hardness)는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착성(ad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은 대조군과 울금 첨가군의 시료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검성(gumminess)은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씹힘성(chewiness)은 울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을 보였다. 관능평가의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면에서 울금 분말 첨가군 3% > 5% > 7% > 1% > 0% 순으로 좋게 평가되었으며, 울금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동결건조한 울금 분말을 설기떡을 첨가하여 제조 시에 가장 좋은 범위는 3% 첨가 시에 가장 적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강황 분말 첨가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with Turmeric powder)

  • 신승미;정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27-434
    • /
    • 2018
  • 본 연구는 쌀가루 중량의 0.5%, 1%, 1.5%. 2% 비율로 강황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에 관한 것으로 수분,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특성, 항산화능, 관능적 특성에 관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증편의 수분함량은 51.26~51.99%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대조군에서 73.00으로 높았으며, 강황 분말이 첨가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황색도(b값)는 대조군이 4.24로 가장 낮았고 강황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물성 측정 결과 경도 및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시료 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도의 경우는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강황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편의 DPPH 소거능에서 대조군에 비해 강황 첨가군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p<0.001). 관능평가 결과 강황 분말 1% 첨가군이 색, 맛,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01). 따라서 강황 분말 첨가 증편 제조시 강황 분말 1%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고, 강황 첨가 증편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 나아가 증편 제품개발 및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황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식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sik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Turmeric (Curcuma longa L.) Powder)

  • 민숙희;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황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약식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약식의 수분함량은 41.45~44.93%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강황 함량에 비례하여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과 강황 분말 2.8% 첨가군이 다른 실험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약식에 첨가한 부재료의 특성 때문으로 생각한다. 강황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H가 5.83으로 가장 낮았고,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강황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약식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강황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의 경우, 강황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약식의 경도, 탄성, 검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으나, 부착성과 응집성은 강황 분말 함량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약식의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식에 첨가한 강황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강황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맛, 색,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는 대조군과 강황 분말을 1.7% 첨가한 약식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강황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소재이며, 강황 분말을 첨가하여 약식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적정 수준은 전체 중량 대비 1.7% 수준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적 특성, 산화방지 활성 및 세포독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ity of turmeric pigments by thermal process)

  • 송이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가공이나 조리 시 빈번히 적용되는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산화방지활성 및 세포독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95^{\circ}C$에서 각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심황색소는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색도가 감소하였으며, 형광도는 초기 가열 시에 증가하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HPLC 분석 결과 3종의 쿠쿠미노이드 중 쿠쿠민이 가열처리에 가장 민감하였으며 BMC가 가장 안정하였다. 가열 처리 후의 심황색소에 의해 ABTS 라디칼, AAPH peroxyl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가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심황색소로 부터의 $H_2O_2$ 생성능이 증가한 반면, 정상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를 대상으로 한 세포독성평가에서는 가열처리 후 심황색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약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및 생리활성이 가열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생리활성 증진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심황색소에 이러한 가열처리 효과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Estimation of curcumin intake in Korea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 Kwon, Youngj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589-594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urmeric and its active component curcumin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their many recognized biological activities. Turmeric has been commonly used in food preparation and herbal remedies in South Asia, leading to a high consumption rate of curcumin in this region. However, the amount of curcumin in the Korean diet has not yet been estimated, where turmeric is not a common ingredient. SUBJECTS/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combined data sets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from 2008 to 2012 in order to estimate the curcumin intake in the Korean diet. The mean intake of curcumin was estimated from the amount of curcumin-containing foods (curry powder and ready-made curry) consumed using reported curcumin content in commercial turmeric and curry powders. RESULTS: Only 0.06% of Koreans responded that they consumed foods containing curcumin in a given day, and 40% of them were younger than 20 years of age. Curcumin-containing foods were largely prepared at home (72.9%) and a significant proportion (20.4%, nearly twice that of all other foods) was consumed as school and workplace meals. The estimated mean turmeric intake was about 0.47 g/day corresponding to 2.7-14.8 mg curcumin, while the average curry powder consumption was about 16.4 g, which gave rise to curcumin intake in the range of 8.2-95.0 mg among individuals who consumed curcumin. The difference in estimated curcumin intake by using the curcumin content in curry powder and turmeric may reflect that curry powder manufactured in Korea might contain higher amounts of other ingredients such as flour, and an estimation based on the curcumin content in the turmeric might be more acceptable. CONCLUSIONS: Thus, the amount of curcumin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Korean diet in a day is 2.7-14.8 mg, corresponding to nearly one fourth of the daily curcumin intake in South Asia, although curcumin is rarely consumed in Korea.

강황(薑黃)과 울김(鬱金)의 역대문헌(歷代文獻)에 대(對)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romatica S. in medical texts)

  • 김용률;이현정;정현종;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3-255
    • /
    • 2011
  • This study covers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turmeric and curcuma only in detail on the medicinal uses, supported by references to the medical text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1. Turmeric and curcuma are rhizomatous herbaceous perennial plants of the ginger family, but both produced on the same herb. The rhizome is considered turmeric while the tuber is considered curcuma. 2. Turmeric is the round, oval, or ovate, and scutiform rhizome. 3. Curcuma is yellowish externally, internally more or less orange-yellow passing into reddish-brown. The tuber has a round and cuspidate appearance. The smell is aromatic, somewhat analogous to ginger. 4. Turmeric is somewhat analogous to curcuma in shape, but turmeric is pungent and bitter in taste, warm and intoxious in property, and yellow in color, acting on the spleen and liver channels and governing the gi of the blood while curcuma is pungent and bitter in taste, cold and intoxious in property, red in color, acting on the heart and pericardium channels and governing the blood. 5. Turmeric is referred to zedoary, sliced turmeric, old jaundice, precious aromatic, and ovate rhizoma, and curcuma is referred to radix curcuma, curcuma aromatica, and cicada-belly curcuma

  • PDF

울금 투여에 의한 DMBA 유발 랫드 유선암화과정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dietary turmeric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 on DMBA-induced mammary carcinogenesis in rats)

  • 김민숙;정규식;유미경;김현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1-307
    • /
    • 2014
  • 본 연구 결과 울금 에탄올 추출물이 DMBA에 의해 유도한 유선 암화과정에서 종양의 발생률과 종양수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양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울금의 암 예방 효과에 대한 기본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앞으로 효과적인 투여 경로 및 조직 특이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