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color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난지형 및 한지형 지피식물의 엽색변화에 관한 연구 II. 엽색특성 및 엽수명연장 (A Study on the Seasonal Color Characteristics of Warm- and Cool-Season Grasses II. Color Characteristics and Life-span of Leaves in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 심재성;민병훈;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3-316
    • /
    • 1995
  •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practice were studied on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green color during the growing season. Research also involved the effect of the nitrogen on a few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performance elements which might give an information to coloration and life-span of turf leaves. Treat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undertaken on pot included one N level: 350kgN /ha applied as compound fertilizer in split applications of one-half in mid-May and the rest both in late June and August, and four spring-summer cuts: late May, late June, late July and late August. The soil filled in pot a moderately well-drained sandy loam. In the second experiment(field observation) leaf length and width, inflorescence and flowering, and color performance were also investig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applied on turfs, desirable turf color was maintained during a period of poor coloration in specific seasons such as mid-summer for cool season grasses and late fall for warm season grasses comparing to the non-treatment. However, this was not stimulated by cutting treatment to nitrogen status existed. Cutting effect on coloration was more remarkable in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than in cool season turfgrasses such as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Especially down-slide of leaf color in cool season turfgrasses could he detected in mid-summer /early fall season ranging up to mid-September. In early November as well as mid-September,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retained a high level of green color as followed by nitrogen application and cutting treatment, and little detectable variation of leaf color notation between cool season turfgrasses was obtained. However, Korean la'vngrass and Manilagrass failed to retain the green color until early November. Color notations in cool season turfgrasses investigated early November on the final date of the experiment ranged from 5 GY 3/1 to 4/8 in 'Ramultra' Italian ryegrass, 'Reveile' perennial ryegrass and 'Arid' tall fescue, but those in Zoysiagrasses were 7.5 YR 4/8 in Korean lawngrass and 2.5 y 5 /6 in Manilagrass. Life-span of leaves was shorter in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than in be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and without nitrogen application. In general, leaves appeared in early May had a long life-span than those appeared in late April or mid-June. Nitrogen application significantly prolonged the green color retaining period in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and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fact that there was no prolonged life-span of leaves emerging in early May and mid-June in tall fescue. SPAD reading values in 48 turfs and cover plants investigated in the field trial were increasing until late June and again decreasing till September. Increasing trends of reading value could be observed in the middle of October in most of grasses. On the other hand, clovers and reed canarygrasses did not restore their color values even in October. Color differences between inter-varieties, and inter-species occurred during the growing season under the field condition implicated that selection of species and /or cultivars for mixtu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Munsell color notation investigated in the final date in the middle of November, 32 cultivars belonged under the category of 5 GY and 10 cultivars under the category of 7.5 GY. This was implying that most of cool season turfs and cover plants grown in the center zone of Korean Peninsula which are able to utilize for landscape use can bear their reasonable green color by early or mid-November when properly managed. The applicable possibilities of SPAD readings and Munsell color notation to determine the color status of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used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아미노산 비료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wo Amino Acid Fertilizers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nd Nitrogen Uptake)

  •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이규승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46-252
    • /
    • 2014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아미노산 비료를 엽면시비하여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아미노산 비료 정량 처리구(ALF)와 배량 처리구(2ALF), 아미노산-사포닌 비료 정량 처리구(ASLF) 및 배량 처리구(2ASLF)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 밀도, 뿌리 길이 및 잔디의 양분 함유량 등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잔디의 품질을 나타내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 잔디 밀도 및 잔디 뿌리 길이는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다. 잔디의 생육을 나타내는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 함량, 질소 흡수량 및 이용율은 2ALF와 2ASLF구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미노산 비료(AaLF)와 아미노산-사포닌 비료(AaSLF)의 시비가 잔디의 질소 흡수 및 이용율이 증가하여 잔디 잔디생육과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 지반에서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 비교 (Comparison of Green Color Retention of Zoysiagrass and Cool-season Grass under Multilayer System, USGA System, and Mono-layer System of Sports Field)

  • 김경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42-353
    • /
    • 2016
  • 본 연구는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주요 초종의 연중 녹색 유지 기간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초종은 전체 9종류로 들잔디 세 품종과 한지형 잔디 조합종 및 혼합구가 각각 세 종류이었다. 잔디지반 및 초종 별로 연중 색상 품질 및 녹색 유지 기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반 간 차이는 약식구조에 비해 다단 및 USGA 구조에서 잔디의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녹색 기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초종 간 색상 차이는 계절적으로 12월 하순부터 녹화가 시작되는 이른 봄까지 크게 나타났다. 녹색 유지 기간은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에 비해 더 길게 나타났다. 들잔디의 평균 녹색유지 기간은 약 6개월 정도였고, 이른 봄 녹화 시점은 5월 1일-5월 14일 사이, 가을에 휴면에 들어가는 시점은 10월 28일-11월 8일 사이로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는 3월 초순-4월 초순 사이 녹화가 완료되어 동절기인 12월 중순-2월 초순까지 색상이 유지되어 초종에 따라 전체 지반 평균의 푸른 기간이 약 8.5-11개월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잔디지반 유형에 따라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경우 10-11개월 정도로 가장 길었고, 반면 톨 훼스큐가 8.5-9개월 정도로 가장 짧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9-10개월 정도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훼스큐의 중간 정도의 녹색 기간을 나타냈으며, 한지형 혼합구의 푸른 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많이 혼합 될수록 길어지고, 톨 훼스큐가 많이 섞일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반에 따른 초종별 녹색기간 차이는 난지형인 들잔디의 '야지', '중지' 및 '제니스'간의 차이는 2-6일로 짧은 반면, 한지형 잔디는 최소 7일-최대 36일 까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즉 초종 및 지반에 따라 녹색 유지 기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원, 공원,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컨셉에 의한 초종 및 지반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결과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스포츠 잔디밭 설계 시 기대하는 녹화기간에 따라 지반선정 및 초종 선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래지반에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과 조성에 미치는 질소의 유형별 효과 (Evaluation of Various Slow-release Nitrogen Sources for Growth and Establishment of Poa pratensis on Sand-based Systems)

  • 이상국;데이브 미너;닉크리스챤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48
    • /
    • 2010
  • 질소는 색감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잔디의 성장에 필요한 17가지 필수 영양성분중에 하나이다. 완효성 비료는 일정한 양의 질소 영양성분을 오랜기간 동안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고 모래지반에서 특히 더 잘 용 탈되는 질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이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완효성 비료가 다른 비율로 시비 되었을때 잔디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6가지 질소비료가 실험되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파종과 뗏장을 위해 사용이 되었다. 뗏장으로 조성된 실험구가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 보다 182에서 518 g 예지물을 더 생산하였다.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중에서는 밀오거나이트가 가장 많은 뿌리의 건중량을 생산하였다. 파종과 뗏장은 잔디의 성장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예지물의 양과 뿌리의 건중량에서 차이가 난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밀오거나이트가 다른 5가지의 질소비료 보다 예지물의 생산이 적었으며 지하부의 성장이다 좋았으므로 켄터키블루그래스가 처음 조성이 될때는 밀오거나이트가 권장이 된다.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장과 토양 중 질소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Creeping Bentgrasss and on Change in Soil Nitrogen)

  •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2009
  •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처리구 1(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 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처리구 2(IBDU 1)과 처리구3(IBDU 2) 등 5개 처리를 난괴댑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였다. 질산태질소와 총질소는 속효성 비료처리구(CF)보다는 완효성 비료 처리구(MU, IBDU 1, IBDU 2)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시비 후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가용성질소의 변화는 시비초기에는 속효성 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으나 시비 후 30일 정도까지는 속효성 비료와 완효성 비료의 가용성 질소 비율은 비슷하고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 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IBDU 1 및 IBDU 2에서 각각 6.5%, 6.7%, 5.9%, 5.5%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33.2%, 38.4%, 35.1%, 37.1% 증가하여 M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은 CF, MU, IBDU 1 및 IBBU 2가 NF보다 76.2%, 77.7%, 69.5%, 72.3% 각각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 예초물량은 비슷하였고, 잔디밀도는 무처리구보다 비료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속효성 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 비료 처리구(MU, IBDU 1, IBDU 2)에서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성분함유비료가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은 비슷하며 예초물량은 비슷하거나 감소시키지만 잔디밀도는 향상시켜 완효성질소 함유비료의 시비가 잔디생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경용 투수성 블록 포장의 열환경 특성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lock Pavements for Landscape Construction)

  • 한승호;류남형;강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2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permeable pavement materials such as grass pavement (GREEN BLOCK PARK), stone and grass pavement (GREEN BLOCK STEP), stone pavement (GREEN BLOCK MOSAIC) and wood pavement (WOOD BLOCK) under the summer outdoor environment.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s the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day, changes of the temperature on each pavement layer, and long and short wave radiation of each pavement surface. The experimental condition is based on the data on the hottest temperature (August 5, 2005, $34.0^{\circ}C$) of the you. Some of main findings are: 1) The heat environment was worse on the wood pavements than on the stone pavem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low albedo of the wood pavements (0.37) while the albedo value of stone pavements is 0.41. Small heat capacity of the wood pavements also contributes to this difference. 2) The heat environment was worse on the stone pavements than on the turf pavements. This was mainly due to the evapotranspiration of the plant growth layer of the turf pavements. 3) The peak surfac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on the wood pavements ($56.1^{\circ}C$). The peak surface temperatures on the stone pavements, the stone-grass pavements and the grass pavements were $43.1^{\circ}C,\;40.1^{\circ}C\;and\;37.9^{\circ}C$, respectively. 4)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s in the urban area, it is recommended to raise the albedo of the pavements by brightening the surface color of the pavement materials. Further studies on the pavement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which can enhance the continuous evapotranspiration from the pavements surface are needed.

유기중합물이 토양의 입단화와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valuating the Influence of Liquid Organic Polymer on Soil Aggregation and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 이상국;데이브 미너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72
    • /
    • 2011
  • 토양입단화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활발한 과정이다. 토양입단화를 통해서 생성된 토양공극은 토양에서 공기와 물의 순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 안정화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은 많은 연구결과에서 보고가 된 바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화와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유기중합물의 세가지 농도가 적용이 되었으며 실험을 위해 두가지 토양이 사용이 되었다. 첫번째 토양으로 4.0%의 유기물이 함유된 양토가 건조된 후 사용이 되었으며 두번째 토양으로 점토가 사용이 되었다. 유기중합물 처리에 따른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색, 품질,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화에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의 구체적인 실증을 위해서 필드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골프장 답압지역의 토양개량 (Effect of Soil Amendments at Heavy Traffic Area in Golf Course)

  • 태현숙;김용선;고석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07-1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amendments for reducing soil compaction at heavy traffic area in golf cours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t follows: 1. In the Lab. experiment, the poros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n the materials, such as peatmoss, charcoal, and tire chip mixtures were used respectively. Especially mixture of sand and 20% peatmoss showed higher effectiveness (10%) in porosity, comparing with ordinary sand. This soil mixture(sand 80%+peatmoss 20%) was observed the best in water retention, soil hardness and hydrauric conductivity. 2.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traffic pressure was given 7 times a day on several combination of mixture treatments to see the top dry weight. The soil mixture of 20% peatmoss showed the highest in the top dry weight. When the more traffic pressure(15 time/day) were given on the different treatment, the top dry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the mixture of 20% peatmoss also had the least influence on this type of heavy traffic. 3. In the field experiment, the soil amendments were treated in traffic area f golf course, and observed at 30days, 60days, 90days, 120days after treatment. Visual turf quality(color), root length and soil compaction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s a result, overall treatments with soil amendments were effective, which showed better turf quality and less soil compaction. 4. In the field test, physical characters of soil (such as soil hardness and hydrauric conductivity) in sand+tire chip+peatmoss(60:20:20, %, v/v)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Also in the slow increasing of traffic, the soil comp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soil hardness.

  • PDF

완효성비료의 모래식재지반에 있어서 질소용탈의 감소 (Slow Release Fertilizer Decreases Leaching Loss of Nitrogen in Sand-based Root Zone)

  • 첸웨이펭;왕웨이;퀴잉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2
    • /
    • 2007
  • 축구장의 식재지반이 모래로 조성될 경우 낮은 보비력과 높은 용탈율로 인해 시비관리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PVC관을 이용한 경기장 유사모형 실험구에서 캔터키 블루그래스에 있어서 완효성비료의 생육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잔디의 색깔, 균일도, 생육, 지상부 생체량과배출수의 질산의 유출량을 몇 가지 다른 생육상과 네 번의 유사 강우 시험 시 행하였다. 실험 결과 요소의 성분 유출량이 가장 높았고 공시 완효성비료는 가장 낮았다. 이 완효성 비료는 다른 공시 잔디비료에 비해 14일간, 요소보다는 28일간 잔디의 품질 면에서 비효가 지속되었다. 또한 이 완효성비료는 잔디의 웃자람과 잔디깎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질산태 질소의 유출에 있어서도 잔디의 조성 초반기에 50% 정도를 감소 시켰다.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Kentucky bluegrasss and on Nitrogen Change in Root Zone)

  •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0
    • /
    • 2009
  •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MU 처리구(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IBDU 처리구(IBDU) 등 4개 처리를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나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질소질 비료 시비 후 30일까지는 속효성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았으나 시비 후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및 IBDU에서 각각 1.4%, 2.5%, 2.3%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16%, 25%, 26% 증가하여 MU와 IBD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과 잔디밀도 조사에서 잔디생육량은 CF, MU 및 IBDU가 NF보다 각각 31%, 62%, 46% 각각 높았고, 잔디밀도는 104%, 185%, 148% 증가하였으며, 속효성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비료처리구(MU, IBDU)에서 잔디생육량 및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함유비료는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잔디밀도를 향상시켜 잔디 생육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