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bidity curren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4초

울릉분지의 고환경과 화산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 퇴적환경 (Paleoenvironments and Volcanism of the Ulleung Basin : Sedimentary Environment)

  • 박맹언;이광훈;송용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1-496
    • /
    • 1996
  • The last Sea is a typical bark-arc basin consisting of basins, plateaus, ridges, and seamounts. The Ulleng Bas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last Sea, contains thick Neogene sedimentary sequence. Analysis of over 2,500 km of single-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suggests that hemipelagic sedimentation prevailed over much of the basin during the late Miocene and pelagic sedimentation became more dominant during the Pliocene. During the Pleistocene terrigeneous sediments transpor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other gravity flows, together with continuous hemipelagic settling, resulted in well-stratified sedimentary layers. Influx of terrigenous sediments during the Pleistocene formed depocenters in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basins.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where the Ulleung Basin joins the deeper Japan Basin, sediment waves suggesting bottom current activities are seen.

  • PDF

전해부상법에서 미세기포와 입자의 기초특성 연구를 통한 제거효율 (A Removal Efficiency from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Microbubbles and Particles in Electroflotation)

  • 독고석;김원태;한무영;김미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72
    • /
    • 2005
  • Recently, water treatment methods utilizing microbubbles such as DAF and EF are gaining interest and being studied. Current study is focused on the fundamental research of electroflot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ubbles and particle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two things; (1) theoretical modeling of microbubble-particle collision, (2)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in electroflotation. From investigation, the mechanism of electroflotation can be explained not only by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ubbles and particles but also the chemistry of aluminum dissolved from aluminum electrode during the electroflotation experiment.

수직 혼합 모수화 기법과 탁도에 따른 황해 수온 민감도 실험 (Sensitivity of Simulated Water Temperature to Vertical Mixing Scheme and Water Turbidity in the Yellow Sea)

  • 곽명택;서광호;최병주;김창신;조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11-121
    • /
    • 2013
  • 지역규모의 정확한 일기예보와 해양생태계 변화 이해에 있어서 수온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황해는 조류가 매우 빠르고 탁도가 높다. 이러한 해역에서는 수치 모델의 수직 혼합 기법 및 해수의 탁도에 따른 수형(water type)이 수온 구조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수직 혼합 기법 변화와 탁도의 변화에 따른 황해 수온 모사의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인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ROMS)을 사용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직 혼합 기법은 해양 순환 모델에서 많이 사용되는 Mellor-Yamada level 2.5 closure(M-Y)와 K-Profile parameterization (KPP)을 사용하고, 탁도는 Jerlov의 분류에 따른 수형 1, 3, 5를 사용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정선 해양 관측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M-Y 기법은 수직적 혼합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모의하였으며 그 결과로 저층수온이 높게 형성되었다. 높은 저층 수온은 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완화되지만 표층 수온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KPP 기법은 M-Y 기법보다는 수직 혼합을 약하게 모의하고 이 약한 수직 혼합 때문에 황해 연안을 따라 형성되는 조석전선을 잘 재현하지 못하였으나, 저층 수온은 관측 수온에 더 가깝게 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황해 3차원 해양순환 모델실험에서 M-Y 기법은 수직 혼합이 잘 되어 표층과 저층의 수온 차이가 작게 나타나고, KPP 기법은 이와 반대로 모의하였다. 탁도의 영향을 표현하는 Jerlov 수형은 높을수록 일사량이 낮은 수심까지만 투과되어 성층을 잘 표현하였고, 낮을수록 깊은 수심까지 일사량이 투과되어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를 작게 모의하였다.

칠레 남부 라고 소피아 (Lago Sofla) 심해저 하도 역암의 층구조와 퇴적 스타일 (Architecture and Depositional Style of Gravelly, Deep-Sea Channels: Lago Sofia Conglomerate, Southeyn Chile)

  • 최문영;조형래;손영관;김예동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23-33
    • /
    • 2004
  • 칠레 남부에 분포하는 라고 소피아 역암 (후기 백악기)은 이암이 우세한 심해 퇴적층 (Cerro Toro Formation) 내에 렌즈상으로 산출하고 남북방향으로 120 km 이상 연장된다. 라고 소피아 역암은 융기대전면분지 (foreiand basin)인 마젤란 분지의 융기대전면곡분 (foredeep trough)을 따라 발달한 심해저 하도계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연장이 대단히 좋은 역질의 심해저 하도가 발달하는 것은 현생 심해저 환경에서 매우 드문 현상으로 라고 소피아 역암은 퇴적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예이다. 연구지역의 북부에 분포하는 라고 소피아 역암은 이암 퇴적층 사이에 협재하는 3-5매의 역암체로 구성되고, 고수류 측정에 따르면 퇴적물은 동, 남, 남동 방향으로 운반된 것으로 유추된다. 이 역암체는 융기대전면곡분의 서편에 위치한 해저사면을 따라 발달한 심해저 하도계의 지류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며, 지류들은 남북방향의 주하도로 수렴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부 지역의 라고 소피아 역암은 300 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역암체로 구성되고, 남북방향으로 긴 융기대전면분지의 축을 따라 발달한 주하도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역암체는 층리를 보이는 역암, 괴상 혹은 점이층리의 역암, 기질지지 역암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저탁류에 의한 밑짐 운반, 고밀도 저탁류, 니질 암설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층리역암에서 측정된 고수류 방향은 남남서항으로 주하도의 방향을 지시한다. 반면, 북부 및 남부 지역의 기질지지 역암에서 측정된 고수류 방향은 흔히 하도 방향에 대해 고각도를 이루는데, 이는 하도의 둑 또는 주변 사면이 붕괴하여 니질 암설류가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형태구성 (architecture) 분석 결과, 라고 소피아 역암은 육상의 역질 망상하천 퇴적층과 유사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며, 라고 소피아 심해저 하도계는 망상하천과 유사한 지형적 특성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하도 역암 내 큰 규모의 층구조는 동쪽으로 이동 누적된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지구조 운동에 의해 주하도가 점진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광산배수 부유물질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여과 매질의 특성 및 적용성 평가 - H 석탄광산 배수 (Feasibility Tests for Treating Fine Suspended Solids from Mining Drainage, using Various Media by Column Methods - A Case from H Coal Mine)

  • 이상훈;권혁현;오민아;이재영;김덕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6호
    • /
    • pp.112-118
    • /
    • 2012
  • Fine suspended solids from mine drainage draw attentions due to their potential adverse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such as increasing turbidity and degrading aesthetic landscape. Currently, sand filter beds are adapted in some mine drainage treating systems. However, more efficient system is in demand, as the existing sand beds reveal some problems, such as frequent maintenance intervals. Various filtering mediums including fly ash, mine tailing aggregates and the sand were tested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using column experimental set-up. Mine drain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urrent treating systems in the abandoned H coal mine. The experiment was run for 7 days. Suspended solids recorded as 100.9 mg/L and the value exceeds the current standard, 30 mg/L. Sand was proved to still be the optimum medium for the fine suspended solids, compared to fly ash and fly ash + sand. Mine tailing aggregates were placed at the exit of the columns, substituting gravels. The tailing aggregates is made by mine tailings and clay. Sand bed filters can also be improved by mix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which was found to be economical and efficient in the batch experiment, conducted at the same time.

3.5 kHz 지층단면도에 나타난 여수해만의 퇴적물 분포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Yeosu S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ased on the 3.5 kHz Profiles)

  • 오진용;이연규;윤혜수;김성렬;최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5호
    • /
    • pp.425-434
    • /
    • 2000
  • The 3.5 KHz seismic survey was carried out for study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unconsolidated sediments of the Yeosu S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ield data originally recorded in analog are converted and processed digitally to recover the high-resolution acoustic profiles. Across the north-south trending channel with the depth of 20~30 m, different seismic facies types are observed in the top section of sediments. The western par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ous high-amplitude subparallel reflectors within which the acoustic turbidity as a token of the presence of gas is commonly observed, whereas the counterpart largely shows poor reflectors and has shallow acoustic basement toward the north. The dissimilarity of the seismic expression across the channel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chan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 caused by relative sea-level fluctuations of the late-Quaternary.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the Yeosu Sound was exposed and eroded by the paleo-Seomjin River. By the following rapid rise of sea level, it was covered by the transgressive sand sheet. When the sea level reached near the present position, the muddy sediment has accumulated only in the western part of the Yeosu Sound as its depositional front has moved toward the north. It is partly caused by the asymmetrical tidal current in the Yeosu Sound where the flood near the bottom has stronger current flow and contains more suspended sediments.

  • PDF

낙동강 하류 원수의 응집제 주입 자동화를 위한 Streaming Current Detector (SCD)와 Charge Analyzing System (CAS)의 평가 (Evaluation of Streaming Current Detector (SCD) and Charge Analyzing System (CAS) for automation of coagulant dosage determination)

  • 김상구;손희종;이정규;염훈식;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1-20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원수에 대한 응집제 주입율 자동화를 위해 stream current detector (SCD)와 charge analyzing system (CAS)의 적용성 비교 평가하였다. SCD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원수 pH가 9.3에서 5.7로 낮아지면 pH 9.3에서 설정된 유동 전하값을 응집제 주입율로 사용할 수 없었고, pH 5.7에 맞는 유동 전하값의 재설정이 필요하였다. 원수의 pH 변화에 따른 SCD의 유동 전하값의 재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후단의 모래여과 처리수 탁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CAS 시스템의 경우는 원수 pH의 범위가 6.0~9.3의 범위일 때 polydadmac을 전하 중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고탁도 원수에도 poly-dadmac이 양호한 전하중화제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pH 5~11의 범위에서 polydadmac의 전하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은 반면, 응집제로 사용되는 alum의 전하량은 6배 정도 차이가 발생하고, pH에 적합한 응집제 요구량을 보였다. 따라서 원수의 pH가 높은 경우는 전하 적정제로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응집제를 직접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대조차 연안해역의 계절적 잔차류 변화와 퇴적물 이동 예상 (Seasonal Variation of Residual Flow and Prospect for Sediment Transport in the Macrotidal Coastal Area)

  • 이종대;윤병일;김종욱;김명석;정재순;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39-47
    • /
    • 2020
  • 대조차 조간대 지역의 유속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궁평 해변 조간대 및 인근 조하대에서 하계와 동계 정점 유속관측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잔차류의 분포는 하계 시에는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었고, 반면에 동계에는 북향과 남서향의 이분화된 잔차류 패턴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잔차류 방향과 크기는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고, 탁도 역시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동계의 고파랑에 의한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많이 발생되고 남서향의 잔차류에 의해 퇴적물이 이동되어 해변 침식이 주로 발생한다. 하계는 파랑의 강도가 약하고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며,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상대적으로 낮게 발생하여 퇴적물 이동이 낮게 발생된다. 또한 인공 구조물에 의해 남쪽 방향으로의 퇴적물 이동이 인위적으로 차단되어 선착장 남측에서 침식이 더 강하게 발생할 것이다. 서해안 대조차 조간대에서의 침식 현상에 대한 주요 인자는 계절적인 파랑에 지배적으로 조절되며, 인공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차단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Behaviors of Trace Metals (Fe, Mn, Co, Cu, Cd, Zn and Pb)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Lee, Chang-Bok;Choi, Ma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3호
    • /
    • pp.59-71
    • /
    • 200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variability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trace metals in the Han River,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intermittently at two sites for 3 years (August 91 to December 94). Surface seawaters covering the range of salinity were also collected at the estuarine region to evaluate the role of estuary for the riverine fluxes of trace metals within the estuary during October 95 and 96. During the study period,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in riverwaters varied by a factor of 5-10 for Fe, Ni, Co and Cu and 50-100 for Mn, Cd and Pb depending upon the water level; high concentration during the low water and low concentration in high water period except for Fe.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Fe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discharge. These concentration-discharge relationships of the studied trace metals are explained by the successive dilution of waters from two different origins, which can be presumably identified as anthropogenic discharges and watershed flushing. Although estuarine waters at early mixing region were not collected due to the difficulty of sampling, mixing behaviors of metals were inferred from the concentration-salinity relationships through the laboratory mixing experiment and field sampling, and distribution coefficients between dissolved and labile particulate phases. It is suggested that the Han River estuary plays a role of accumulating Fe, Mn, Co and Pb from riverine sources due to high turbidity caused by strong tidal current, whereas this system serves as a source of dissolved Cd due to release caused by extended residence time of riverine particles.

  • PDF

사면에 발달하는 하층밀도류의 이차원흐름 (Bidirectional Spreading of Gravity Underflows on an Incline)

  • 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83-94
    • /
    • 1999
  • 대륙붕에서 부유사 하층밀도류는 양측이 수로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주흐름방향인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흐른다. 횡방향흐름은 대륙붕 및 대륙붕사면을 따라 흐르는 밀도류의 종방향 도달거리를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사 밀도류 대신에 염수를 이용한 밀도류 실험을 대형 탱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차원해석을 통하여 사면에서 밀도류의 흐름률에 관한 간단한 식을 개발하였다. 특성길이 및 특성시간은 유입부에서의 유량과 부력흐름률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유입부의 폭이 주어질 경우,개발된 흐름식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밀도류의 최대폭과 종방향으로의 전파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식에 의한 예측값과 관측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