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nel

검색결과 8,727건 처리시간 0.035초

정방형 기초와 Unlined Soft Ground터널의 3차원적 거동 (Three Dimensional Behavior or Square Footing and Bnlined Solt Ground Tunnel)

  • 유충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3호
    • /
    • pp.97-110
    • /
    • 1994
  • Lining이 타설되기 이전의 unlink 안정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 구조물의 역학적 상호작용에 관한 unlined 터널의 3차원적 거동에 관한 원 탄소성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기초의 극한 지지력, 지반과 터널주컴퓨터 해석 결과를 고찰하여 정방형 unlined 터널은 기초의 극한 지지력을 기초의 형상이나 근입깊이 등에 의해 치하는 터널은 터널의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는 정방형 기초 위치와 음력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상호작용의 정도에 따라 다름을 볼 수 있었다.

  • PD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unnel bottom after construction under geological conditions of long-term deformation

  • Kim, Nag-Young;Park, Du-Hee;Jung, Hyuk-Sang;Kim, Myoung-Il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71-178
    • /
    • 2020
  • Mountainous areas cover more than 70% of Korea. With the rapid increase in tunnel construction, tunnel-collapse incidents and excessive deformation are occurring more frequently. In addition, longer tunnel structures are being constructed, and geologically weaker ground conditions are increasingly being encounter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unnels constructed under weak ground conditions exhibit long-term deformation behavior that leads to tunnel instab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behavior of the bottom region of tunnels under geological conditions of long-term deformation. Long-term deformation causes various types of damage, such as cracks and ridges in the packing part of tunnels, as well as cracks and upheavals in the pavement of tunnels. We observed rapid tunnel over-displacement due to the squeezing of a fault rupture zone after the inflow of a large amount of groundwater. Excessive increments in the support member strength resulted in damage to the support and tunnel bottom. In addition, upward infiltration pressure on the tunnel road was found to cause severe pavement damage. Furthermore, smectite (a highly expandable mineral), chlorite, illite, and hematite, were also observed. Soil samples and rock samples containing clay minerals were found to have greater expansibility than general soil sampl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eformation of tunnel bottoms are required.

복개 터널구조물의 현장 시공에 따른 계측 분석 사례 (Field Measurements with the Construction of Cut and Cover Tunnel)

  • 박시현;이석원;이규필;배규진;전오성;이종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9-156
    • /
    • 2002
  •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ut and cover tunnel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arth pressure during back fill process of the ground material. Three kinds of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the earth pressure load cell, the concrete strain gauge and the reinforcing bar meter of embedded type in concrete structure were installed and measured. Earth pressure load cells, installed after construction of the tunnel lining, measure the outside forces acting on the tunnel lining with radial directions. Three load cells were installed at the crown, the right and the left shoulder of the tunnel, respectively. Three sets of reinforcing bar meter were installed in the double reinforcements of the tunnel lining and their locations were the same with the position of the earth pressure load cells. Concrete strain gauge was installed only one site of the upper compressive part at the tunnel crown. Based on the measuring results in the field, the deformation and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tunnel lining were investigated with the back fill process of the ground material. Considerations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ing results were paid. For the analysis of measurements, after dividing back fill process into three steps,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on the behavior of tunnel lining were investigated at each step.

  • PDF

IPv6를 위한 XML 기반 안전한 터널 브로커 (In based Secure Tunnel Broker for IPv6)

  • 서창호;윤보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6호
    • /
    • pp.531-537
    • /
    • 2005
  • 터널 브로커(Tunnel Broker)는 IPv6 주소환경에서 전용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터널 요청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 개념은 IPv6의 호스트 증가를 시뮬레이션하거나 IPv6 네트워크에 쉽게 접근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기존의 터널 브로커는 악의의 사용자의 네트워크 자원과 서비스에 대한 공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이러한 터널 브로커의 보호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TSP(Tunnel Setup Protocol) 기반 안전한 IPv6 터널 브로커를 제안한다 클라이언트와 TB구간에서 서로 통신하기 위해 HTTP에 기초하기 않고 SHTTP(Secure HTTP)에 기초하며, XML 메시지를 송수신시 암호화/복호화 하여 통신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와 터널 서버사이에서는 IPSec을 적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한다.

계측치와 변위함수에 의한 시공 중인 터널의 최종변위 예측 (Forecasting Final Displacement With Displacement Functions Using Deformation Measurements While Constructing a Tunnel)

  • 김치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6호
    • /
    • pp.408-420
    • /
    • 2010
  • 터널시공 중 터널 완공 후에 발생할 최종변위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터널의 역학적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시공 중인 터널에서 계측한 천단 및 내공변위와 변위함수를 이용하여 터널을 시공 완료하였을 때 발생할 터널의 최종변위를 예측하였다. 연구대상 터널은 상반과 하반으로 나누어 시공하였고 터널상반 시공 중 설치한 계측핀을 이용하여 하반막장이 이 계측핀을 통과할 때 발생한 초기변위를 계측할 수 있었다. 터널하반 시공 중 계측한 변위를 이용하여 하반굴착에 따른 변위 증가량을 변위함수로 예측한 결과 터널시공 완료 후 계측한 증가량과 거의 같았다.

Limit analysis of seismic collapse for shallow tunnel in inhomogeneous ground

  • Guo, Zihong;Liu, Xinrong;Zhu, Zhanyu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5호
    • /
    • pp.491-503
    • /
    • 2021
  • Shallow tunnels are vulnerable to earthquakes, and shallow ground is usually inhomogeneous. Based on the limit equilibrium method and variational principle, a solution for the seismic collapse mechanism of shallow tunnel in inhomogeneous ground is presented. And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is employed to compare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It shows that the analytical results are conservative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esses equal the static earth pressure and zero at vault section, respectively. The safety factor of shallow tunnel changes greatly during an earthquake. Hence, the cyclic load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unnel stability. And the curve sliding surface agrees with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previous studies. To save time and ensure accuracy, the curve sliding surface with 2 undetermined constants is a good choice to analyze shallow tunnel stability. Parameter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horizontal semiaxis, acceleration, ground cohesion and homogeneity affect tunnel stability greatly, and the horizontal semiaxis, vertical semiaxis, tunnel depth and ground homogeneity have obvious influence on tunnel sliding surface. It concludes that the most applicable approaches to enhance tunnel stability are reducing the horizontal semiaxis, strengthening cohesion and setting the tunnel into good ground.

대심도 복층터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입지선정 및 통수성능 평가 (A Study on site selection criteria and discharge capability evaluation for the multi-purpose use of a double-deck tunnel in a great depth)

  • 문훈기;길기오;송인철;이혜윤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83-290
    • /
    • 2016
  • 최근 도시지역의 홍수방지 및 지정체 반복구간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다목적 대심도 복층터널의 건설이 요구되고 있다. 다목적 복층터널은 주기능인 도로기능 이외에 다목적 기능을 부여해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도입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치수능력 증진과 도로터널의 기능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입지선정 조건과 복층터널의 단면 구역별 처리가능한 유량에 대한 기초검토를 수행하였다. 터널의 용도별 입지선정 기준 검토를 통해 복층터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입지선정 기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심도 복층터널의 다목적 활용성 검토를 위해 계획단면에 대한 홍수시 처리 가능 유량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복층터널의 입지선정은 다양한 분석을 통한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목적 복층터널의 기능전환과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거동분석 (Behavior of double deck tunnel due to feature change and variation of ground water table)

  • 박노현;김호종;신종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81-591
    • /
    • 2016
  • 최근 사회기반시설의 투자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평상 시 도로터널로 운영되지만 홍수 시 수로로 이용되는 수로 도로 다목적 터널의 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터널은 수로터널로의 이용이 한시적이기 때문에 내수압과 지하수위가 일정하지 않아 터널 내부와 외부의 압력변화가 상당할 수 있다. 특히 지하수위 아래에 건설 된 다목적 터널의 경우 장기간 운영 중에 발생하는 계절적 압력변화는 터널에 반복하중으로 작용하여 구조물과 인접지반의 열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 터널의 외부 및 내부 수위조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위변화로 인한 터널 거동의 주 원인은 부력이며, 터널 내부 및 외부의 반복적인 수위변화는 터널 주변지반의 이완영역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목적 터널의 설계 시 수위변화에 따른 영향검토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저항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대책의 검토가 필요하다.

Numerical modelling of internal blast loading on a rock tunnel

  • Zaid, Mohammad;Sadique, Md. Rehan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5권4호
    • /
    • pp.417-443
    • /
    • 2020
  • Tunnels have been an integral part of human civilization. Due to complexity in its design and structure,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structures under extreme loading conditions has utmost importance. Increased terrorism and geo-political conflicts have forced the engineers and researchers to study the response of underground structures, especially tunnels under blast loading.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seek the response of tunnel structures under blast load using the finite element technique. The tunnel has been considered in quartzite rock of northern India. The Mohr-Coulomb constitutive model has been adopted for the elastoplastic behaviour of rock. The rock model surrounding the tunnel has dimensions of 30 m x 30 m x 35 m. Both unlined and lined (concrete) tunnel has been studied. Concrete Damage Plasticity model has been considered for the concrete lining. Four different parameters (i.e., tunnel diameter, liners thickness, overburden depth and mass of explosive) have been varied to observe the behaviour under different condition. To carry out blast analysis, Coupled-Eulerian-Lagrangian (CEL) modelling has been adopted for modelling of TNT (Trinitrotoluene) and enclosed air. JWL (Jones-Wilkins-Lee) model has been considered for TNT explosive modelling. The paper concludes that deformations in lined tunnels follow a logarithmic pattern while in unlined tunnels an exponential pattern has been observed. The stability of the tunnel h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overburden depth in both lined and unlined tunnels. Furthermore, the tunnel lining thickness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bility of the tunnel, but in smaller diameter tunnel, the increase in tunnel lining thickness has not much significance. The deformations in the rock tunnel have bee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diameter of the tunnel.

터널 붕락특성과 시공 중 보강공법 선정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ountermeasure Expert System for Tunneling Failure)

  • 김창용;박치현;배규진;홍성완;오명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3호
    • /
    • pp.418-429
    • /
    • 2000
  • 지하공간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안전한 터널시공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시공 중 발생 가능한 터널의 붕락 사고의 특성을 조사하여 각종 터널의 붕락사고 유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터널 붕락의 주요 요인과 개략적인 대책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 국내ㆍ외 터널보강공법의 기준과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세부적이고 합리적인 보강공법의 체계확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막장의 안전성 등급을 결정하고, 적절한 보강공법을 선정을 위해 퍼지 수량화 이론과 퍼지추론 시스템을 기반으로 터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문가시스템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보강공법을 시공하였던 한강하저터널을 비롯한 국내ㆍ외 3 곳의 터널 현장 자료를 이용하여 적용한 결과 실제 시행한 보강공법과 근접한 추론결과를 보였다. 정보화시공을 통해 터널 막장기록과 계측자료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객관적인 기준의 부재로 인해 일부 전문가의 경험에만 의존하고 있는 국내 보강공법 시공기술을 보다 발전시켜 합리적인 보강공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