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or mo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미세유동시스템 내에서의 입자의 위치제어 연구 (Control of the Motions of Particles in Microfluidic System)

  • 허윤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1-525
    • /
    • 2014
  •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in the bloodstream of cancer patients provide an accessible source for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of nonhematological cancers. The effectiveness of the CTC-Chip for the isolation of ovarian cancer cells was demonstrated by adapting the herringbone-chip (HB-Chip). The motions of the particles on the HB chip were simulated by a unique combination of buoyant, gravitational forces, and helical flows with a computational modeling. The motions of cells are demonstrated by applying polystylene bead and ovarian cancer cells into the microfabricated HB-Chip.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beads and cells are well accordance with the simulated ones, as previously reported by Toner group. Thus, I expect that these modeling and experimental skills will play key rol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s on CTC isolation as well as the basic research on characterization of CTCs under flow.

흉부질환의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oracic Disease)

  • 송군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45-352
    • /
    • 1993
  • The role of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thoracic disease has been limited Nontheless, MR has inherent properties of better contrast resolution than CT allowing tissue-specific diagnosis. MR has capability of direct imaging in sagittal, coronal, and oblique planes which provide better anatomic information than axial images of CT such as lesions in the pulmonary apex, aorticopulmonary window, peridiaphragmatic region, and subcarinal region. MR is sensitive to blood flow making it an ideal imaging modality for the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of the thorax without the need for intravenous contrast media. Technical developments and better control of motion artifacts have resulted in improved image quality,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MR imaging in thoracic diseases have been expanded. Although MR imaging is considered as a problem-solving tool in patients with equivocal CT findings, MR should be used as the primary imaging modality in the following situations: 1) Evaluation of the cardiovascular abnormalities of the thorax 2) Evaluation of the superior sulcus tumors 3) Evaluation of the chest wall invasion or mediastinal invasion by tumor 4) Evaluation of the posterior mediastinal mass, especially neurogenic tumor 5) Differentiation of fibrosis and residual or recurrent tumor, especially in lymphoma 6) Evaluation of brachial plexopathy With technical developments and fast scan capabilities, clinical indications for MR imaging in thorax will increase in the area of pulmonary parenchymal and pulmonary vascular imaging.

  • PDF

동종골 이식술로 치료한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연골 육종 - 증례 보고 - (Chondrosarcoma of Proximal Tibia Trated by Allograft - A Case Report -)

  • 정구희;김재도;정소학;차상원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5-170
    • /
    • 2006
  • 저자들은 근위 경골에 발생한 연골 육종 환자의 동종골 이식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종양의 크기는 $3.5{\times}20$ cm 이었고 적절한 수술연을 선택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결손부는 동종 골이식술 및 내측 비복근 회전 피판술 및 부분 층 피부 이식을 통하여 재건하였다. 최종 추시일 까지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는 관찰 되지 않았으며 이차 감염이나 불유합, 금속물의 해리 등의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적절한 재활 운동을 통해 만족할 만한 슬관절 관절 운동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Reconstruction of Extensive Diaphragmatic Defects Using the Rectus Abdominis Muscle and Fascial Flap

  • Shumpei Kato;Hisashi Sakuma;Takako Fujii;Ichiro Tanaka;Junichi Matsu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2호
    • /
    • pp.166-170
    • /
    • 2023
  • Diaphragmatic reconstruction is required for extensive diaphragmatic defects associated with tumor resection. Methods using artificial mesh and autologous tissues, such as pedicled flaps, have been reported predominantly for diaphragmatic reconstruction. We present the case of a 61-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a 14×13×12 cm tumor in the abdominal cavity of the upper left abdomen on computed tomography. The diaphragm defect measuring 12×7 cm that occurred during excision of the malignant tumor was reconstructed using the rectus abdominis muscle and fascial flap. The flap has vertical and horizontal vascular axes; therefore, blood flow is stabl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and reducing twisting of the vascular pedicles. Fascial flap does not require processing such as thinning and can be used during suture fixation. This procedure, which has rarely been reported so far, has many advantages and may be a useful option for diaphragm reconstruction.

전산화단층촬영 주사시간(Scan Time)이 폐종양운동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the Planning CT Scan Time on the Reflection of the Lung Tumor Motion)

  • 김수산;하성환;최은경;이병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5-63
    • /
    • 2004
  • 목적 :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활영(computerized tomography, 이하 CT) 시 주사시간이 종양부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호흡기의 환기작용에 의해 세로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는 N자형 모형을 제작하였고, 호흡주기를 T로 하였을 때 주사시간을 상대적으로 각각 0.33, 0.50, 0.67, 0.75, 1.00, 1.33, 그리고 1.53 T로 설정하고 CT촬영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2년 3월 19일부터 2002년 5월 21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정위방사선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을 시행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주사시간이 빠른 CT (LightSpeed, GE Medical Systems, 주사시간 0.8초)와 느린 CT (IQ Premier, Picker, 주사시간 2.0초)를 각각 $1\~4$회 시행하였다. 각각의 slice에서, N자형 모형의 왕복 운동이 CT 영상에 반영된 좌우방향 선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치료계획용 CT 촬영이 모형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위적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빠른 CT 및 느린 CT의 종양을 하나의 CT 영상조합에서 재구성하여 종양의 체적과 장경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모형실험에서 주사시간에 비례하여, 세로방향 운동을 CT 촬영에서 반영하는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1.00 T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시간 1.00 T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준으로, 1.00 T 미만의 주사시간을 가지는 CT촬영에서 모형운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율이 각각 $0.33\;T:\;30\%,\;0.50\;T:\;27\%,\;0.67\;T:\;20\%,\;0.75\;T:\;7.0\%$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시검사로 측정한 종양의 세로 방향 움직임이 각각 3 mm, 5 mm, 10 mm이었던 각각의 환자에서 느린 CT에서 얻어진 종양의 세로방향 장경이 빠른 CT에 비해 $5.3\%\;17\%,\;23\%$ 증가하였다. 결론 : 주사시간을 환자의 호흡주기 이상으로 하는 경우 setup margin만을 고려하여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정상 폐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를 위한 삼차원 및 사차원 방사선치료계획의 비교 (Comparison of Three- and Four-dimensional Robotic Radiotherapy Treatment Plans for Lung Cancers)

  • 채규영;임영경;강기문;정배권;하인봉;박경범;정진명;김동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238-248
    • /
    • 2010
  • 목적: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에서 삼차원 및 사차원치료계획의 선량분포 차이를 비교하였고 선량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폐의 비균질성 보정 결과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명의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호흡동조된 사차원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환자의 호흡에 대응하는 10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차원치료계획이 수립되었다. 사차원 치료계획에서는 종양과 주변장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X선의 방향과 선량분포를 최적화한다.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최적화된 빔을 호흡의 50% 위상에 해당하는 한 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삼차원치료계획을 만들었다.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선량계산을 위하여 각각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수립된 4개의 치료계획에서 처방선량의 종양체적 포함률 종양체적의 95%를 포함하는 선량인 D95, 종양의 최대선량, 그리고 척수의 최대선량을 비교하였고 종양의 위치에 대한 연관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결론: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한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종양 포함률이 평균 4.4%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4.6% 낮았다 또한 D95도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평균 4.8%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1.7% 낮았다. 척수의 최대선량에 대한 비교에서도 종양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 사이의 선량계산 차이는 평균 30% 정도로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종양의 부피는 크게 줄어들었다. 결론: 폐 종양의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 사이의 차이를 종양과 척수의 선량분포를 통해 비교하였다. 두 치료계획 사이에서 planning target volume (PTV) 포함률이나 D95와 같이 종양과 관련된 선량학적 인자들의 차이 또는 척수의 최대선량 차이는 종양의 이동크기와 형태변화의 정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PTV 포함률이나 D95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암의 방사선치료 시 호흡운동 감소장치(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Use of 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 in Treatment of Hepatoma)

  • 이석;성진실;김용배;조광환;김주호;장세경;권수일;추성실;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19-326
    • /
    • 2001
  • 목적 : 폐, 간 등의 상 복부에 위치한 종양의 방사선 조사 체적은 호흡에 의한 종양의 이동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조사 체적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방사선 독성 및 정상조직 선량이 증가되며, 호흡으로 인한 환자자세의 변화로 인해 종양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에 따른 장기 움직임 유형을 분석하여 호흡에 의한 장기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호흡운동 감소장치를 고안하고 방사선치료 시 호흡운동 감소장치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암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MeV-Green과 벨트, 스티로폼판 등을 사용하여 호흡운동감소장치(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를 제작하였다. 내부장기의 이동정도는 모의치료 시에 관찰된 횡경막의 이동 정도로 평가하였으며 앙와위와 복와위 및 RRD의 사용 시 이동정도를 쏠아보았고, 각각의 경우에서 이동정도를 고려하여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을 통해서 전체 간 용적 중 처방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간 용적을 구하였다. 결과 : 호흡에 따른 횡경막의 평균이동거리는 앙와위 자세에서 $16{\pm}1.9\;mm$ 이었고, 복와위 자세에서는 $12{\pm}1.9mm$임을 알 수 있었다. 복와위 자세에서 본원에서 자체 제작한 RRD를 사용한 경우에는 $5{\pm}1.4\;mm$으로 감소되었고, 벨트 고정장치의 추가 사용 시에는 $3{\pm}0.9\;mm$으로 감소하여 총 9 mm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계획에 따른 DVH에서 처방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간의 용적은 호흡운동감소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앙와위 자세에서 $43.7\%$, 복와위 자세에서 $40\%$ 이었고, 호흡운동 감소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복와위 자세에서 $30.7\%$, 여기에 벨트 고정장치를 추가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1\%$로서 전체 간 용적 중 방사선에 조사되는 정상 간 용적은 최대 $22.7\%$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호흡에 따른 내부장기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RRD를 사용하여 정상조직에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 (Measurement of Respiratory Motion Signals for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 정진범;정원균;김연래;이정우;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
    • /
    • pp.59-63
    • /
    • 2005
  • 호흡 움직임은 종양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부정확한 방사선조사가 유도되도록 복부 및 흉부에서 움직임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치료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정상조직에는 저 선량을 조사되도록 CTV의 마진을 줄일 수 있고 방사선치료에 발생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Intrafraction motion을 고려하는 기술로는 호흡 멈춤, 호흡동조, 4차원 또는 종양추적 기술이 있다. 호흡동조 방법은 환자의 호흡 신호가 호흡주기의 일정한 범위에 위치할 때 주기적으로 빔을 조사하고 그 범위를 벗어날 때는 빔을 조사하지 않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은 내부장기 움직임과 상관관계가 있는 호흡 움직임 신호의 획득이 요구된다.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예비연구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수행하였다. 환자의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위해서, 호흡측정시스템을 3 가지 센서, 4 채널 데이터 획득 시스템, 신호처리용 컴퓨터로 구성하였다.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측정시스템을 가지고 호흡주기 및 파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호흡주기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일반적으로 정확한 대칭 형태는 아니지만 주기적인 형태로 측정되었다. 호흡측정 시스템은 기대했던 만큼 환자의 호흡을 잘 추적하였으며 실험에 적용하기 위해 쉽게 컨트롤 할 수 있었다.

  • PDF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for the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 한정수;유명철;정덕환;남기운;박보연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권1호
    • /
    • pp.31-38
    • /
    • 1992
  • The management of giant cell tumor involving juxta-articular portion has always been a difficult problem. In certain some giant cell tumors with bony destruction, a wide segmental resection may be needed for preventing to recur. But a main problem is preserving of bony continuity in bony defect as well as preservation of joint function. The traditional bone grafts have high incidence in recurrence rate, delayed union, bony resorption, stress fracture despite long immobilization and stiffness of adjuscent joint. We have attemp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by using a microvascular technique to transfer the fibula with peroneal vascular pedicle as a living bone graft. From Apr. 1984 to Nov. 1990, we performed the reconstruction of wide bone defect after segmental resection of giant cell tumor in 4 cases, using Vascularized Fibular Graft, which occur at the distal radius in 3 cases and at the proximal tibia in 1 case. An average follow-up was 2 years 8 months, average bone defect after wide segmental resection of lesion was 11.4cm. These all cases revealed good bony union in average 6.5months, and we got the wide range of motion of adjacent joint without recurrence and serious complications.

  • PDF

비복 동맥 피판을 이용한 슬관절 주위의 연부 조직 결손의 치료 (Sural Artery Flap for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Defects around Knee Joint)

  • 배기정;이영호;김민범;이혁진;권지은;백구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43-148
    • /
    • 2012
  • Purpose: This report presents the authors' experience of twelve patients with sural artery flap for soft tissue defects around the knee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25 to 80 years; seven of the patients were male and five were female. The cause of soft-tissue defects involved wide excision for malignant soft tissue tumor, tumor prosthesis related infection,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d chronic osteomyelitis.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checked. The sensibility of flap was evaluated by Semmes-Weinstein monofilaments and two-point discrimination. Results: All flaps survived and provided satisfactory coverage of the defect. There was no complication except one delayed skin graft incorporation at donor site. Seven knee joints which had been stiff previously gained average 58 degrees of ROM postoperatively. All flaps retained sensibility and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sensory thresholds comparing with contralateral side. Conclusion: Sural artery flap not only shows high survival rate and broad coverage ability, but also offers improvement in range of motion and preservation of sensation. We speculate that sural artery flap is valuable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soft tissue defects around knee joi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