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culosis-lymph nod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2초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인한 기관지 림프절 누공 1예 (A Case of Node-bronchial Fistula by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서우;김현경;전승정;박혜성;장중현;이진화;류연주;심성신;천은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4호
    • /
    • pp.231-235
    • /
    • 2010
  • Lymphadenopathy in the thoracic cavity is frequently caused by inflammatory diseases. In very rare cases, the node-bronchial fistula has been reported to be the cause of complications of pulmonary tuberculosis. A male patient with necrotizing pneumonia and mediastinal lymph node enlargements identified by chest computed tomography was also found to have a node-bronchial fistula caused by lung cancer. The patient was treated for tuberculosis with pneumonia for one week before a definitive diagnosis was made. A further investigation revealed him to hav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denocarcinoma) and multiple mediastinal lymphadenopathies accompanied with the node-bronchial fistula. We report this specific case that had been previously treated for tuberculosis but was later revealed to be NSCLC accompanied with a node-bronchial fistula.

비인강결핵 2례 (2 Cases of Nasopharyngeal Tuberculosis)

  • 문동숙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6-200
    • /
    • 2000
  • Nasopharyngeal tuberculosis is a rare pathological condition. It is most often associated with lymph node and pulmonary lesions, but it may be an isolated lesion. The clinical manifestation may resemble a malignant tumor of the nasopharynx and the nasopharyngeal tuberculosis is occurred occasionally primary infection but more frequently secondary infection to pulmonary tuberculosis. The nasal endoscopic evaluation of nasopharynx is necessary in patient with possible pulmonary or extrapulmonary tuberculosis. The author reports two cases of nasopharyngeal tuberculosis in a 45-years old and 34-years old woma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PDF

종양형 기관지결핵에서 기도협착에 대한 기관지경적 전기소작요법 (Bronchoscopic Electrocautery for Airway Obstruction in The Tumorous Type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정희순;현인규;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4호
    • /
    • pp.347-356
    • /
    • 1991
  •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a serious disase because it frequently leaves airway obstruction as the complication, and the treatment of airway obstruction is generally troublesome. In the tumorous type of endobonchial tuberculosis, the bronchial patency is partially or completely compromised with lymph node contents when the necrotic focus of the lymph node ruptures into the bronchial lumen to form a bronchoglandular fistula.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endobronchial lesion an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ole of bronchoscopic electrocautery in the tumorous type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we performed electrocautery in addition to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steroid and anti-tuberculous drugs in two cases which had airway obstruction proximal to lobar bronchus with the impairment of pulmonary function. We also treated another two cases only with chemotherapy and we have followed up four cases over a 36-month period. In cases that bronchoscopic electrocautery was done, the bronchial patency was completely restored and the impairment of pulmonary function disappeared just after cautery and these effects have remained for 12 months or more. But in cases of medical treatment only, bronchial stenosis was inevitable as the tumorous type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changed to the stenotic type with fibrosis. It can be concluded that bronchoscopic electrocautery can nip the occurence of bronchial stenosis in the bud when it is applied in addition to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steroid and antituberculous drugs in the tumorous type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 PDF

다발성 폐결절로 나타난 폐내림프절 1예 (A Case of Intrapulmonary Lymph Nodes Presenting Multiple Nodules)

  • 이숙영;조건현;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79-883
    • /
    • 1999
  • 폐내 림프절은 흉부엑스선상 폐결절로 나타나는 드문 질환으로 방사선 소견만으로는 악성종양과 감별하기 어렵다. 저자는 중엽과 하엽의 늑막표면 근처에 위치하는 직경 1cm 이하의 다발성 결절을 흉강경하 생검하여 폐내 림프절로 확진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 선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에 있어서 림프절 크기 기준의 비교 (Comparison of Size Criteria in Mediastinal Lymph Node Involvement of Adenocarcinoma of Lungs)

  • 구기선;국향;고혁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542-547
    • /
    • 1999
  • 연구배경: 전산화 단층 촬영(CT)에 의한 폐암의 종격동 림프절전이 판정은 폐암의 치료계획과 예후 결정에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종격동 림프절의 장경이 15mm 이상이면 폐암 전이로 인정하는 방법이 정확도가 양호하다고 한다. 림프절의 크기가 증가하기 이전의 미소전이 시에는 CT로서의 전이가 인정되지 못한다. 특히 폐암의 조직병리학적 구분에 의한 폐 선암은 다른 폐암보다 미소전이와 원격전이가 잘 되므로, 비선암에 비해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더라도 CT상에 림프절 크기의 증가가 뚜렷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판정 기준으로 CT상의 일정 크기 이상의 기준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보다는 미소전이가 잘 되는 선암은 비선암보다 림프절 크기의 증가 기준이 낮아야 한다는 생각아래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방 법: 대상은 원광대학병원에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폐암 절제술을 실시받는 60례이다. 남녀비는 남자 46명, 여자 14명이었고, 중간 연령은 61.5세였다. 조직병리학적 구분은 편평상피암이 41례, 대세포암 2례, 선암 17례이다. TNM 병기상 I기가 23례 II기가 24례 IIIA기가 13례였다(Table 1). 수술전 CT상의 림프절 크기와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전이가 확인된 림프절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비선암 및 선암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전이 림프절 크기의 차이를 확인한다. 그리고 각 폐암별로 림프절 장경 기준 15mm, 10mm를 각각 폐암 전이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예민도, 특이도, 정확도를 계산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CT상 림프절 장경 10mm 이상인 림프절군에서 수술후 조직병리학상 폐암의 전이가 인정된 림프절의 평균 장경은 비선암군이 16.0($\pm8.0$)mm, 선암군이 12.0($\pm3.2$)mm로서 통계화적으로 유의하게 선암군의 림프절 장경이 비선암군의 림프절 장경보다 작았다(p<0.05). 종격동 림프절의 장경 15mm이상을 폐암 전이로 인정할 경우에 예민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가 비선암군이 54%, 100%, 100%, 83%, 86%였으며 선암군은 43%, 90%, 75%, 69%, 71%였다(Table 2). 종격동 림프절의 장경 10mm 이상을 폐암 전이로 인정할 경우에 예민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가 비산암군이 65%, 77%, 61%, 92%, 79%였으며 선암군은 100%, 80%, 78%, 100%, 88%였다(Table 3). 결 론: 선암군에 있어서 종격동 림프절 장경 10mm를 기준으로 하였을때의 폐암 전이 인정의 정확도가 88%로서, 15mm를 기준으로 하였을때의 79%보다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폐간질을 침범한 다발성형 Castleman씨 병 (Castleman's Disease of the Lung)

  • 이소라;김재형;이순영;권영환;이상엽;서정경;조재연;심재정;강은영;인광호;김한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69-676
    • /
    • 1997
  • Castleman's disease is uncomm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as giant lymph node hyperplasia and angiofollicular lymph node hyperplasia. Multicentric variant of Castleman's disease, plasma cell type has been described that has more generalized lymph node involvement as well as involvement of other organ systems than localized type. Multicentric plasma cell type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systemic manifestations, such as weight loss, lowgrade fever and weakness. But the reported cases of pulmonary parenchymal involvement are rare and have almost consisted of hyalinized granuloma adjacent to a bronchus. We report a patient with Castleman's disease of the lung, pathologically proven interstitial pulmonary involvement.

  • PDF

기관지결핵의 흉부전산화단층촬영소견 및 기관지경소견과의 비교 (Chest CT Finding and Its Comparison with Bronchoscopic Finding i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이재호;윤혜경;송재우;유철규;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42-755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지결핵에서 항결핵치료 전에 기관지경 및 CT검사를 시행하고 기관지경소견에 따른 기관지결핵의 아형별로 CT소견을 비교하여 CT의 역할에 대해서 알고자 하였고 치료후 1개월에는 기관지경 및 CT검사를 추시하여 기관지경소견에 따른 기관지결핵의 아형이 변함에 따라 CT소견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보라매병원에서 기관지경 및 조직검사를 통해 기관지결핵으로 확진된 26명을 대상으로 치료전에 CT를 시행하여 기관지경 소견에 따른 아형을 구분하고 CT소견을 비교하였고 이중 9명에서는 항결핵치료후 1개월에 기관지경, CT 및 폐기능검사를 추적 검사하여 기판지경의 소견에 따른 CT소견의 변화와 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대상환자들은 총 26명이었고 연령은 17세에서 73세의 분포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명, 여성이 25명으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1곳을 침범한 경우가 14예, 2곳을 침범한 경우가 9예, 3곳을 침범한 경우가 3예 였고, 이환된 위치는 좌측 주기관지를 침범한 경우가 13예(단독침법 7예 포함)로 가장 많았다. 이환된 기관지의 길이는 10mm에서 55mm까지 다양하였고 섬유성 협착인경우에는 이환된 길이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짧았다. 기관지의 협착은 26명중 25명(96%)에서 관찰되었는데 폐엽의 허탈에서부터 경미한 협착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 일반적으로 섬유성 협착인 경우에는 협착의 정도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심했다. 가관지주위조직의 비후는 측정가능했던 23명중 21명(91%)에서 관찰되었는데 섬유성 협착인 경우의 비후의 정도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심했다. 기관지점막의 불규칙정도는 각 아형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6명의 환자중 77%인 20명에서 관찰되었으며 우측에서 우월하게 관찰되었고(1 : 5.2), 2예에서는 종대된 림프절이 기관지벽을 침입하여 기관지경검사상 종양형으로 분류되었다. 항결핵치료후 1개월에 기관지경과 CT를 추적 검사했을때 기관지벽주위의 비후 및 종격동림프절의 종대는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기관지내강의 협착은 9명 중 6명에서 호전된 반면 3명에서는 오히려 악화되었다. 결 론 : 기관지결핵에서 CT검사는 기도자체의 병변의 길이, 기도협착의 정도 및 기도주위조직의 비후, 종격동림프 절종대 등의 소견을 잘반영하므로 기관지경검사와 상호 보완되는 역할을 한다.

  • PDF

Isolated Cervical Lymph Node Sarcoidosis Presenting in an Asymptomatic Neck Mass: A Case Report

  • Kwon, Yong Shik;Jung, Hye In;Kim, Hyun Jung;Lee, Jin Wook;Choi, Won-Il;Kim, Jin Young;Rho, Byung Hak;Lee, Hye Won;Kwon, Ku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3호
    • /
    • pp.116-119
    • /
    • 2013
  • Sarcoidosis, a systemic granulomatous disease of unknown etiology. The presentation of sarcoidal granuloma in neck nodes without typical manifestations of systemic sarcoidosis is difficult to diagnose. We describe the case of a 37-year-old woman with an increasing mass on the right side of neck. The excisional biopsy from the neck mass showed noncaseating epithelioid cell granuloma of the lymph nodes. No evidence of mycobacterial or fungal infection was noted. Thoracic evaluations did not show enlargement of mediastinal lymph nodes or parenchymal abnormalities. Immunohistochemistry showed abundant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granuloma. However,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was not expressed, although interleukin-$1{\beta}$ was focally expressed. These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supported characterization of the granuloma and the diagnosis of sarcoidosis. Sarcoidosis can present with cervical lymph node enlargement without mediastinal or lung abnormality. Immunohistochemistry may support the diagnosis of sarcoidosis and characterization of granuloma.

국소병변없이 거대한 종격동 종괴로만 재발된 자궁경부암 1예 (A Case of Recurred Uterine Cervical Cancer Presented as Only Huge Mediastinal Mass)

  • 이준석;공수정;주종은;이정애;김정선;안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84-689
    • /
    • 2006
  • 저자들은 심한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및 국소전이 없이 원격전이인 거대한 앞종격동 종괴로 발현된 재발된 자궁경부암의 드문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병리적 병기 1기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림프절 미세전이 관찰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Lymph Nodes Micrometastases in Patients of Pathologic Stage I Non-small-cell Lung Cancer)

  • 류정선;한혜승;김민지;곽승민;조재화;윤용한;이홍렬;주영채;김광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45-350
    • /
    • 2004
  • 연구 배경 : 병리적 병기 I기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림프절 미세 전이의 빈도와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29예의 환자에서 총 806개의 파라핀 포매 상태로 보관된 종격동 림프절을 이용하였다. 미세 전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림프절 파라핀 불럭으로 2개의 절편을 만들었고 첫 번째 절편은 H & E 염색을, 두 번째 절편은 cytokeratin AE1/AE3 항체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미세 전이를 확인하고자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병리적 병기 IA는 10예 이었고 IB는 19예이었다.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한 파라핀 블록 수는 총 246개이었고 림프절 수는 총 806개이었다. H & E 염색으로 총 806개의 림프절을 관찰하였으나 암세포의 미세 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ytokeratin AE1/AE3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에서 총 806개의 림프절 중 3개(0.37%)에서 관찰되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관찰 기간은 34.2개월이었고 관찰 기간 중 9예에서 사망이 관찰되었다. 사망 원인은 폐암 진행: 4예, 수술 후 합병증: 3예, 동반 질환: 2예 이었다. 질병의 진행으로 사망한 환자 모두에서 림프절 미세 전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림프절 미세 전이가 관찰된 3예의 환자 모두 생존 중이다. 결 론 : 림프절 미세 전이를 발견을 위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은 시행한 806개의 림프절중 0.37%에서만 미세전이가 관찰되어 임상적 상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