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phi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해산어류 자어의 초기 먹이생물인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 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 방법 (Studies about New Observation and Counting Method for Analysis of First Feeding Day and Daily Feeding Numbers of Rotifer by Marine Fish Larvae)

  • 정민민;위종환;지영주;민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8-18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해산어 초기 자어 사육 과정에서 자어가 섭이하는 로티퍼의 새로운 관찰 및 계수방법을 제시한다. 지금까지는 해산어 자어를 사육하면서 언제부터 로티퍼를 먹이로 이용 가능한지? 그리고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정도 양의 로티퍼를 섭이하는지? 정확하게 분석할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몸통)는 소화기관내에서 소화되어 연구자가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관찰 방법으로서 로티퍼의 저작기(trophi)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로티퍼는 각 개체마다 한개의 저작기를 가지며 이 저작기는 해산어 자어의 소화기관내에서도 소화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어의 소화기관내의 저작기를 관찰하여 계수하는 방법(RTCM; Rotifer Trophi Counting Method)을 이용하여 로티퍼를 최초로 섭이하는 일령은 물론 자어의 일령이 경과함에 따른 포식 로티퍼 개체수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New Record of Kellicottia bostoniensis and Redescription of Two Freshwater Rotifers from Korea (Rotifera: Monogononta)

  • Yang, Hee-Min;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22-227
    • /
    • 2020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ree monogonont rotifers from South Korea: Kellicottia bostoniensis (Rousselet, 1908), Trichocerca tenuior (Gosse, 1886), and Lepadella triptera (Ehrenberg, 1830). The distribution records of K. bostoniensis were mainly located in the Nearctic, Neotropic and Western Palearctic regions. After Japan, this is the second record of it in Asia. Trichocerca tenuior and Lepadella triptera have already been recorded in Korea, but the data of two species were insufficient in previous study. Here,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species and the trophi structures of K. bostoniensis and T. tenuior. This study is the first to characterize the trophi structure of K. bostoniensi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we have determined the part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I) and 18S rRNA gene sequences of T. tenuior and L. triptera for their DNA barcodes.

New record of three monogononts(Rotifera: Monogononta) from islands of Korea

  • Hee-Min Yang;Gi-Sik Mi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74-179
    • /
    • 2023
  • Three newly recorded rotifer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several islands in Korea: Lecane perplexa (Ahlstrom, 1938); Lindia torulosa Dujardin, 1841; and Monommata maculata Harring & Myers, 1930. These species represent 24th, second, and third records of each genus discovered in Korea, respectively. Lecane perplexa and Monommata maculata, were collected from reservoirs using plankton nets, whereas Lindia torulosa was collected from a soil sampl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covered species are as follows: Lecane perplexa is characterized by a straight or slightly concave anterior margin of the lorica, an incomplete transverse fold on the ventral lorica, and a single toe with pseudoclaws and accessory claws; Lindia torulosa has an illoricated and vermiform body, a head with rostrum, a pair of auricles, cardate type trophi, and distinctively shaped epipharynx components; and Monommata maculata is characterized by long toes, an inner margin of rami with 10-12 serrated teeth, 3-4 large teeth, and interlocking teeth. He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Korean monogonont rotifers, which include trophi photographs, are presented. In addition,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of each species are presented.

New record of two marine synchaetid rotifers (Monogononta: Synchaeta) from Korea

  • Yang, Hee-Min;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74-179
    • /
    • 2022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wo marine synchaetid rotifers, Synchaeta grimpei Remane, 1929 and S. vorax Rousselet, 1902, in Korea, which are the first synchaetid rotifers collected from a marine environment in the country. Prior to this study, all six synchaetids recorded in Korea were collec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species are consistent with those recorded in previous studies of each species. Synchaeta grimpei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ynchaetid rotifers by its cone-shaped body, wide and flat apical field, indistinct auricles, and long foot with two separated small to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 vorax specimens were most similar to the original description of Rousselet (1902), with its slender and cylindrical trunk shape, strongly convex apical field, and short foot with two small, separated toes. The rami of the Korean S. vorax specimen contained one frontal hook and several distinct and large teeth. Here, we provide the morphological diagnoses of the two synchaetid rotifers and the sequences of the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of the two species.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수생태계 환경 평가 지표 활용: 부영양화 저수지 수질 평가를 위한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적용 (Zooplankton Community as an Indicato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s for Evaluating Water Quality in Eutrophic Reservoirs)

  • 오혜지;장광현;서동일;남귀숙;이의행;정현기;윤주덕;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04-4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환경 지표로써 윤충류 군집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영양화 진행 정도에 따른 윤충류 군집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윤충류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와 수질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지리상 인접하게 위치해 있으나 수질 항목 및 부영양화 정도가 서로 다른 충청남도 소재의 전대저수지와 초대저수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두 저수지에서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윤충류 군집의 월별 조사를 실시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윤충류 군집은 종 조성과 기능성 그룹 조성으로 나누어 적용하였으며, 기능성 그룹의 경우 섭식 성향을 대변할 수 있는 트로피(trophi)의 구조와 형태 및 개체 크기, 생태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종을 기반으로 한 조성의 경우 일관적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능성 그룹 조성의 경우 부영양화 정도에 따른 그룹 특이적 증감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생태계, 특히 과영양 상태의 저수지에 대한 환경지표로써 윤충류 기능성 그룹 조성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연구 지점에서의 현장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향후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섭식 성향에 따른 환경 적응과 관련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윤충류 군집을 수생태계 내 다양한 변화의 모니터링과 평가 및 비교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Characterization of a Unique New Strain Named the NFRDI N°1 Rotifer Strain, a Brackish Brachionus Rotifer Collected from a South Korea Coastal Lagoon

  • Jung, Min-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33-337
    • /
    • 2011
  • A new and a unique Brachionus rotifer was found in Hwajinpo coastal lagoon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is Brachionus certainly originated from the wild rather than from aquaculture stations because Hwajinpo coastal lagoon has been under rigorous control as a military protected area and therefore could not have been contaminated by aquaculture stations. The new strain was identified as Brachionus rotundiformis based up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henogenetic female of this new rotifer strain typically shows characters similar to those of B. rotundiformis, such as the pot shape of the body, rounded dorsal plate compared with flattened ventral plate, elliptical mictic egg, four frontal spines, six pointed occipital spines, non-nodal foot, two toes, trophi typical of the Brachionus genus with five uncus plates resembling comb teeth, one wide symmetrical manubrium and ramus, and no stiffened spine as is seen in freshwater Brachionus rotifers. Moreover, its lorica was rather small in size compared with other common rotifer strains that serve as live-food organisms (Guam, Thai, and Bali strains). This new and unique Korean brackish rotifer, a B. rotundiformis strain, was therefore named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N^{\circ}1$ rotifer strain.

New records of three lecanid rotifers(Rotifera: Monogononta: Lecanidae) from Korea

  • Yang, Hee-Min;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262-266
    • /
    • 2021
  • In this study, three lecanid rotifer species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Lecane inermis (Bryce, 1892), L. furcata (Murray, 1913), and L. nana (Murray, 1913). Most of the lecanid rotifers recorded in Korea have been collected from stagnant water, and Lecane furcata and L. nana were collected from a reservoir. In contrast, L. inermis was found in a soil sample. Lecane inermis is the first illoricated lecanid species reported in Korea.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illoricated species by its toes with relatively long claws. Lecane furcata is the most common lecanid rotifer in submerged vegeta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ts lorica are similar to many other lecanid rotifers, but it can be distinguished by its completely fused toes with a terminal fissure, an absence of antero-lateral spines, and the ratio of lorica/toe length. Lecane nana is most similar to L. tryphema Harring & Myers, 1926, bu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toe tips curved outwards. The three species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have a cosmopolitan distribution and have been recorded in many Asian countri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lecanid species with trophi structure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어류 초기 자어의 로티퍼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법

  • 정민민;민광식;지영주;위종환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22
    • /
    • 2003
  • 로티퍼는 해산어와 담수어뿐만 아니라 식용어와 관상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어류의 인공 종묘 생산 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동물 플랑크톤이다. 그리고 로티퍼를 초기 자어의 첫 먹이로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알테미아, 코페포다 또는 초미립자 사료 등을 사용하는 어류 인공종묘 생산 과정에서의 먹이계열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사육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초기 자어기에서 로티퍼를 섭이하는 시기와 사육 일령별 자어의 로티퍼 포식수를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지금까지는 자어의 로티퍼 최초 포식 일령 및 로티퍼 포식수를 개개의 연구자들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관찰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자어가 로티퍼를 포식하였는지의 여부 및 포식수는 자어 소화기내에 존재하는 소화가 진행되기 전의 로티퍼 몸체의 수를 계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로티퍼의 체내에는 섬모환으로 모은 수중의 먹이 현탁액을 소화기계로 이동시키기 전에 먹이를 잘게 다지고 부수는 기능을 하는 저작기 (trophi)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저작기는 로티퍼의 종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는 어류의 소화기내에서 소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로티퍼의 체 구조 중 저작기가 쉽게 소화되기 어렵고 소화기관의 연동 운동에 의해서도 쉽게 그 모양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저작기의 수를 계수하므로서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 및 일령별 로티퍼 포식수를 계수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화기내의 잔존 로티퍼 몸체만으로 계수 관찰하던 기존 방법에 비교하여 로티퍼의 저작기를 계수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치가 완전히 익은 15일 후에는 무첨가 김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젖산균 수는 5.4X107 cfu/g, 3.3X107 cfu/g, 8.6X106 cfu/g 및 2.6X106 cfu/g로 나타났다. 5. 발효가 진행 중에 대장균 군 수가 시간과 더불어 대장균군 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6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부터는 대장균 군 수가 감소하였다. 즉, 발효초기에는 모든 구가 2.0X104∼4.0X105 cfu/g이었고, 6일 경에는 8.9X104∼4.5X105 cfu/g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15일후에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2.0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