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mm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트롬멜 스크린 시스템을 이용한 Landfill Mining기술 (A Landfill Mining Technology by Trommel Screen System)

  • 최갑석;최동순;나경덕;이병선
    • 연구논문집
    • /
    • 통권34호
    • /
    • pp.1-10
    • /
    • 2004
  • Landfill Mining is becoming more widely used in many closed landfill sites in the world. Many of existing landfills will be excavated inevitably owing to building the clean environment with the new structures and developing the cities in cramped country. This paper aimed at the introducing the design technology of the trommel screen and its in-site applied performance of the trommel screen system through experiments , which system is under developing by one of the national project and the analysis results of influencing factors to the environment . The result of the theoretical estimation agrees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so that the sorting system could be able to be appli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purpose of end-ite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y hazardous materials including heavy metals met the limitions of the criteria in this experiment. In geotechnical enngineering, it will. desireable to use the sorted soils mixing with another soil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usages.

  • PDF

표본점(標本點)의 크기와 형태에 따른 작업시간(作業時間)의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Working Time under Various Plot Sizes and Plot Shapes)

  • 변우혁;유재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21-42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표본점(標本點)의 크기와 형태에 따른 작업(作業) 시간을 비교분석하고 효율성(效率性)을 검정(檢定)하여 적정 표본점 크기와 형태를 선택(選擇)하기 위한 것으로, 지형이 평탄(平坦)하고 임목생립(林木生立)이 고르게 분포된 2개 임분(林分)을 택하여 각각 198 plot, 306 plot를 조사하였다. 표본점 설치방법의 시간상 유리함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형(方形)에서는 Blumeleiss-$Me{\beta}$ trommel을 이용하는 방법과 줄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1. 방형(方形)에서는 직접 4면 설치법이 대각선으로 설치하는 방법보다 시간적으로 유리하였다. 2. 원형(圓形)에 있어서는 Blumeleiss-$Me{\beta}$ trommel을 이용한 방법이 줄자를 이용하나 방법보다 유리(有利)하였다. 3. 원형(圓形) 표본점(標本點)이 방형(方形) 표본점(標本點)에 비해 시간적으로 유리하였다. 특히 작은 표본점에서는 원형이 방형에 비해 2배 정도 유리하였지만, 점차 면적이 커지면서 원형 표본점의 시간적(時間的) 유리성(有利性)이 줄어들었다.

  • PDF

농촌지역 혼합건설폐기물의 중·소규모 배출현장용 이동식 분리선별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Mobile Separator and Sorter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Discharge Site's Mixed Construction Waste in Rural Area)

  • 김병윤;박지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7-24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bile separating and sorting device for discharge sites to separate and sort mixed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in small and medium scale in small provincial cities into inorganic materials and combustible material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isting domestic technology for the separating and sorting mixed construction waste, a device sorting the waste by fusing the vibration screen, disc screen, air blowing methods and the separating and sorting the combustible waste is applied in Korea. 2) In foreign countries, the air blowing, screen, gravity sorters are used for separating and sorting combustible waste in the same way as in Korea. Especially German T Company suggests a construction waste separating and sorting system using an optical sorter. 3) As for the test device for separating and sorting mixed construction waste to be buried in landfill, the processing capacity was set as 16 tons per day. 4) For separating and sorting inorganic materials by granularity, this study set a trommel with two types of diameter as a basic. To operate the mobile all-in-one system, the device is designed to locate a conveyor, a combustible waste conveying device, inside of the trommel. 5) The device is designed in a mobile mode under the concept of primary separating and sorting device, and it can be transported using a 2.5-ton truck minimum.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trommel are designed to be within 1500mm and 3000mm, respectively. In a further study, an optimized separating and sorting technology is planned to be presented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for processing efficiency analysis at the mixed construction waste site by manufacturing the pilot experiment facility reflecting the design element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혼합건설폐기물의 단일 공정 분리·선별 장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gle Process Separating and Sorting Pilot for Mixed Construction Waste)

  • 송태협;박지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71-3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실질적인 재활용율을 높이고자 건설폐기물의 발생단계인 해체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이동식 분리 선별 장치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선별 효율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발한 장치는 상당수의 해체현장이 도심지에 소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협소한 현장여건과 해체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공정을 고려하여 $15m^2$ 면적 이내에서 1개의 암롤박스를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16ton의 용량의 이동식 소형 분리 선별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장치의 효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트롬멜 회전속도 RPM 2~3, 4~6, 7~8에 대하여 10회씩 분리 선별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RPM 6~7에서 가장 높은 약 90%의 효율로 투입폐기물을 성상별로 분리하였다.

농촌지역 혼합건설폐기물의 중·소규모 배출현장용 이동식 분리선별기 제작 및 선별 효율 성능평가 (Fabrication of Movable Separator for Site to Discharge Medium and Large-Scale Mixed Construction Waste from Agricultural Areas and Its Efficiency Evaluation)

  • 김병윤;박지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21
  • In this study, a real-sized experimental equipment (pilot plant) was built at the site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data to develop a movable separator for the mixed construction wast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gricultural areas to review its feasi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its separation efficiency by waste types. The final construction of the movable separator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par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lade type was the best for the combustible wastes either with 26 numbers of L-type blades and 32 numbers of pin type blades. As far as combination of blade types, when the L-type and pin-type were combined, the best separation efficiency was achieved. 2) The separation efficiency for waste wood by the conveyor type and angle of inclination (slope) of the trommel was the best when the conveyor had ribs of seagull shape with the angle of inclination 45°. 3) The separation efficiencies by process showed that 65.9% was separated as inorganic demolition wastes, 18.2% as waste woods, and 16.0% as combustible wastes at conveyor speed of 2-3 rpm, and the error rate was the least from the waste types generated in the dismantle site.

폐기물전처리(MBT)시설 설계를 위한 생활폐기물의 입도분포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ize Distribu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SW for Design of Its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 박진규;송상훈;정새롬;정민수;이남훈;이병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62-69
    • /
    • 2008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생활폐기물중 가연성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 소각이나 매립처분을 가능한 한 지양하고, 고형연료화(RDF) 등을 통한 자원회수를 도모하기 위해 폐기물의 기계적-생물학적 전처리(MBT,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시설 건설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폐기물의 MBT시설에 대한 적정 건설과 운영을 위해서는 먼저 처리 대상이 되는 폐기물의 물리 화학적 성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 특히 폐기물의 MBT시설의 주된 프로세스인 파쇄, 선별장치의 적정 설계를 위해서는 폐기물의 입도특성에 대한 정확힌 자료가 제공되어야 하나, 아직 폐기물의 입도특성에 관한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중 가연성폐기물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도특성과 입도별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생활폐기물의 시료채취는 수도권 소재 A시의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가지역 및 업무지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발생지역에 관계없이 습윤 기준으로 종이가 29.78~60.02%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원소조성으로는 탄소(C)가 34.77~44.3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산소(O)가 19.46~33.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연료 품질지표인 염소의 경우 0.39~0.83%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어 기준치인 2.00% 이하(건조기준)를 만족하고 있었으며, 황(S)함유량도 기준치인 0.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도분석결과 가연분에서는 50~80mm 입도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불연분의 경우 30~50mm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