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19초

인조혈관대를 이용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수술적 치료 (Simple and Effective Surgical Repair with Vascular Graft Strip for Ischemic MR)

  • 민호기;이승훈;이주현;성기익;박계현;전태국;박표원;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46-650
    • /
    • 2003
  •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에 대한 수술적 교정은 그간 많은 수기들이 보고되어 왔다. 본원에서는 인조혈관편을 이용한 후판막륜 성형술을 통하여 좋은 조기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유두근 파열에 의한 치환술 환자를 제외한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는 13명이었다. 술 전 위험인자로는 저좌심실구출률(<35%)이 9예, 당뇨가 7예, 고혈압이 13예, 신부전(Cr>2.5 mg/dl)이 4예였다. 수술 수기는 좌심방이 작은 경우가 많은 이유로 승모판막의 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에 각각 정맥캐뉼라를 삽관하고 양대정맥 위아래로 충분히 박리를 시행하였다. 약 6mm 두께의 인조혈관편으로 8∼10개의 단절 수평봉합뜨기를 이용하여 후판막륜을 줄여주었다(비대칭술이 14예, 대칭술이 8예). 동반 술기로는 관상동맥 우회로숭리 21예, Dor 술식이 3예, 삼첨판막 성형술이 1예, 미로술식이 1예, 대동맥-쇄골하동맥간 우회술이 1예 있었다. 결과: 수술 관련되어 사망은 1예가 있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의 평균 역류지수는 2.95에서 0.88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술 전후로 평균 심실구출률은 별다른 변화는 없었다. 퇴원 직전 시행한 심초음파상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없었던 경우가 8예, 경미한 경우가 11예, 경도가 2예, 경도에서 중등도 사이가 1예 있었다. 결론: 인조혈관편을 이용한 후판막륜 성형술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치료에 있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향후 승모판막의 기능 평가를 위하여 장기간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승모판막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제1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심외막적 봉합 - 1예 보고 - (Epicardial Repair of Acute Atrioventricular Groove Disruption Complicating Mitral Valve Replacement - A case report -)

  • 조광리;강재걸;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55-858
    • /
    • 2007
  •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좌심실파열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30년 전 국외에서 승모판막에 대한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54세 여자 환자가 심한 승모판막 협착증과 심한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주소로 내원하여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막륜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심폐기 이탈 후 수술장 내에서 발생한 대량출혈로 심폐기 재가동 상태에서 평가한 결과 좌심방으로부터 3 cm 후방부위의 방실 골짜기에서 발생한 급성 제I형 좌심실 파열로 진단하고 심외막 접근법으로 테프론 펠트를 이용한 일차 봉합술, 심막첨포를 이용한 밀봉 봉합술 및 피브린 접착제를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봉합하였으며 환자는 수술 14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이에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제I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승모판협착증 환자의 좌심방혈전 (Left Atrial Thrombi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Risk Factors Related to left Atrial Thrombosis))

  • 김광호;홍승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2호
    • /
    • pp.204-212
    • /
    • 1982
  • The presence of left atrial thrombus in mitral stenosis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veral factors. These are age, sex,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episodes of congestave heart failure, calcification of mitral valve, embolic episode, etc. Since none of these single factor has been always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ft atrial thrombus, related risk factors to left atrial thrombosis were studied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using chi square test. We had operated on 191 cases of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from Jan. 1978 to June 1981 at Severance Hospital, Yu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left atrial thrombi were present in 41 cases among 191 cases of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and it was present in 31 cases among 89 cases of pure mitral stenosis. Only 10 cases among 74 cases of mitral stenoregurgitation had left atrlal thrombi, whereas no left atrlal thrombus was found in patients with pure mitral regurgitation. Related risk factors studied herein were sex, episode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atrial fibrillatio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mitral valve area calculated by Gorlin and Gorlin`s formula cardiac output and left atrial dimension by echocardiogram. In this study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was deemed to be one of the most potential risk factors and other factors of age, duration of symptoms, episode of embolization, calclfication of mitral valve, associated aortic and tricuspid valve disease, ejection fraction of left ventricle by cineangiocardiogram and echocardiogram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ft atrlal thrombi in a statistical viewpoint.

  • PDF

개에서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 의해 발생한 심내막염 증례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induced Aortic and Tricuspid Bacterial Endocarditis in a Dog)

  • 김준환;송루희;이다미;이현석;조호성;신기욱;박진호;박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5-258
    • /
    • 2012
  • 14년령의 중성화한 암컷 시츄가 식욕부진, 침울, 호흡곤란으로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2주전 유선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으며 내원 당시 신체검사에서 구강 내 심한 치은염, 치태 및 치석을 관찰하였다. 청진상 좌측 심기저부에서 이완기 잡음이 들렸으며 우측 심첨부에서는 수축기성 잡음이 들렸다. 심혈관 초음파 검사 결과 삼첨판과 대동맥 판막의 변성과 함께 혈액의 역류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세균성 심내막염을 진단하고 그 원인체를 알기 위해 혈액배양을 실시 하였다. 혈액배양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항생제를 포함하여 이뇨제와 베나제프릴을 사용하였으며 환자는 잘 관리 되었다. 혈액배양 검사 결과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가 배양 되었다. 하지만 1주일 후 환자는 급성으로 발생한 폐수종에 의해 사망하였다.

교정형 대혈관 전위증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CCTGA))

  • 이정렬;조광리;김용진;노준량;서결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21-627
    • /
    • 1999
  • 배경: 본 연구에서는 교정형 대혈관전위증으로 양심실교정이 가능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65례의 환아를 대 상으로 질환의 해부학적 특성, 수술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8년 9월까지의 교정형 대혈관전위증으로 양심실교정을 받은 65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동반기형에 따른 수술법의 차이 및 각각의 수술법에 따른 합병증등 단기 및 중장기 성 적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4$\pm$4.8세(2개월~18세)이었으며 남:녀비는 39:26이었다. 형태로는 {S,L,L}이 53례{I,D,D}가 12례였다. 폐동맥 협착이나 폐쇄가 동반되지 않았던 경우가 13례(20%)였으며 심실 혹은 심방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협착증이 동반된 경우가 26례(40%)였고 심실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폐쇄증이 동반된 례가 26례(40%)였다. 술전 경도이상의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보인 환자는 38.5%(26/65)였다. 완전교정 술전 단락술은 22명의 환자에서 24차례 시행하였다. 교정술의 방법으로 폐동맥심실유출로 협착이 없던 13례 에서는 7례에서 심실 혹은 심방 중격결손증만을 폐쇄하였고, 3례에서 삼첨판막치환술을, 3례에서 좌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 Senning+REV, Senning+ASO)을 시행하였다. 심실,혹은 심방 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협착이 있던 26명의 환자에서는 24례에서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 (Rastelli술식 9례, 심실중격결손증 폐쇄후 폐동맥판막절개술 7례, REV형 술식 4례, 중격결손 폐쇄후 폐동맥 판막하 근육절제가 3례, 삼첨판막치환술이 1례)으로 수술하였으며 2례에서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 Mustard+REV)을 시행하였다. 심실중격결손증과 폐동맥폐쇄증이 있었던 26명의 환자에서는 18명에서 심실중 격결손증을 폐쇄하고 Rastelli술식을 시행하였고, 7례에서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증을 폐쇄하고 REV형 술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추적 기간동안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한 환 자들에서의 삼첨판막폐쇄부전은 술전 평균 1.3$\pm$1.4도에서 2.2$\pm$1.0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중복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은 술후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증가가 없었다. 술전 완전 방 실차단을 보인 환자는 2례(3.1%)있었으며 술후 새롭게 발생한 완전방실차단은 7례(10.8%)있었다. 술후 기타 장,단기 합병증으로는 폐동맥심실유출로도관(conduit) 재협착이 10례, 혈전증(판막: 2례, 인조혈관: 1례, 폐동 맥: 1례)이 4례, 2주 이상의 지속적 흉관배액이 4례, 유미흉이 3례,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3례, 기타 급성 신 부전, 종격동염, 횡경막신경 마비가 각각 2례씩 있었으며,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들과 전통적 술식으로 수 술받은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65명의 환자를 평균 54$\pm$49개월(0~177개월)간 추적관찰하였 으며, 수술 초기에 사망한 환자는 13명으로 20.0%(13/65)의 수술사망율을 보였으며 3명의 환자가 추적기간중 사망하여 24.6%(16/65)의 전체사망율을 보였다.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33.3%(4/12)였다. 술 후 1년, 5년, 10년 누적생존율은 각각 75.0$\pm$5.6%, 75.0$\pm$5.6%, 69.2$\pm$7.6%였다.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는 술 후 저심박출증후군으로 8례였으며 삼첨판막 폐쇄부전이 심해져 심부전으로 사망한 경우도 5례로 사망의 중 요 원인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형태학적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형태학적 좌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해부학적 교정법인 중복치환술중 어느 것이 우월하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었으나 해부학적 교정술이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진행을 막을수 있다는 면에서 이점이 있으리라 사 료되며 보다 세분화된 적응증의 결정과 아울러 장기적인 추적관찰 및 비교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Clinical Outcomes of Thromboendarterectomy for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12-Year Experience

  • Oh, Se Jin;Bok, Jin San;Hwang, Ho Young;Kim, Kyung-Hwan;Kim, Ki Bong;Ahn, Hy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41-48
    • /
    • 2013
  • Background: We present our 12-year experience of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9 and March 2011, 16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Eleven patients (69%) were classified as functional class III or IV based on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Seven patients had a history of inferior vena cava filter insertion, and 5 patients showed coagulation disorders.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was performed during total circulatory arrest with deep hypothermia in 14 patients. Results: In-hospital mortality and late death occurred in 2 patients (12.5%) and 1 patient (6.3%), respectivel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support was required in 4 patients who developed severe hypoxemia after surgery. Thirteen of the 14 survivors have been followed up for 54 months (range, 2 to 141 months). The pulmonary arterial systolic pressure and cardiothoracic ratio on chest radiograph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urgery ($76{\pm}26$ mmHg vs. $41{\pm}17$ mmHg, p=0.001; $55%{\pm}8%$ vs. $48%{\pm}3%$, p=0.003). Tricuspid regurgitation was reduced from $2.1{\pm}1.1$ to $0.7{\pm}0.6$ (p=0.007), and the NYHA functional class was also improved to I or II in 13 patients (81%). These symptomatic and hemodynamic improvements maintained during the late follow-up period. Conclusion: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for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shows good clinical outcomes with acceptable early and long term mortality.

Outcomes after repair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canal with a modified single-patch technique: a retrospective study

  • George Samanidis;Konstantinos Kostopanagiotou;Meletios Kanakis;Georgios Kourelis;Kyriaki Kolovou;Georgios Vagenakis;Dimitrios Bobos;Nicholas Giannopoulos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187-19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short- and midterm outcomes after complete atrioventricular canal defect (CAVC) repair using a single-patch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children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of the CAVC using a single-patch techniqu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7 months (interquartile range [IQR], 5.0-7.5 months), and 23 patients (76.7%) had type A CAVC. Fourteen patients (46.7%) were female and 17 (56.7%) had been diagnosed with Down syndrome. The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0%. No deaths were observed during a median follow-up of 4 years (IQR, 3.5-5.0 years). Patients without Down syndrome were associated with late moderate mitral regurgitation (MR) (p=0.02). Late MR less than moderate degree was observed in 96.6%, 78.5%, and 50% of patients after 2, 4, and 5 years of follow-up, respectively, while late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less than moderate degree was observed in 96.7%, 85.9%, and 59.0% of patients after 2, 4, and 6 years of follow-up, respectively. After a median follow-up of 4 years, only one patient had required surgical repair of a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which occurred 26 months after the first operatio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the type of CAVC, sex, Down syndrome, age, and weight revealed that the absence of Down syndrome was a risk factor for late moderate MR (MR-2) (odds ratio, 0.05; 95% confidence interval, 0.006-0.50; p=0.01). Conclusion: A single-patch technique for CAVC surgical repair is a safe method with acceptable short- and midterm results.

교정형 대혈관 전위증에 동반된 심장기형의 수술 성적에 대한 보고 (Result of Surgical Repair of Intracardiac Defects Associated with Corrected Transposition - 33 cases -)

  • 김성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16-21
    • /
    • 1990
  • From November 1978 through June 1989, 33 patients aged 3 months to 27 years [mean 9.7 years] underwent repair of intracardiac defects associated with corrected transposition. Five patients had had previous palliative surgery. Operation were performed in 31 for ventricular septal defect, 22 for pulmonary outflow tract obstruction, 16 for atrial septal defect, and 5 for anatomical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Pulmonary outflow tract obstruction was relieved by pulmonary valvotomy in 9, Rastelli procedure in 5, modified Fontan procedure in 3, and by REV procedure in 5 patients recently. Early mortality was 21.2%[7/33] and no late mortality during follow up period. Two had residual pulmonary outflow tract obstruction and one residual VSD. In eight patients, transient arrhythmia was found but soon returned to sinus rhythm. Five patients developed complete heart block and 2 were given permanent pacemaker insertion. There were 8 RBBB, 1 LBBB and one second 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patients, but all showed no clinical significance. This report suggests that surgical repair of intracardiac defects associated with corrected transposition can be achieved with acceptable low risk. Though the mortality is still high, we can improved the result by advancing surgical technique, knowledge of the special conduction system, and by improving postoperative care.

  • PDF

심내막상 결손증에 대한 임상고 (Clinical study of endocardial cushion defect: 37 cases report)

  • 조재일;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57-665
    • /
    • 1984
  • Thirty-seven patients had undergone repair of a endocardial cushion defect between 1977 and Aug. 1983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wenty eight had a partial defect, one intermediate defect and eight complete endocardial cushion defect. Tricuspid cleft was found in 4 cases and mitral cleft was in all p-ECD. Seven patients were of type C anatomy in c-ECD. Four patients had associated major anomalies, including three TOF in c-ECD, one coarctation in p- ECD. In p-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patch in all cases and the atrioventricular valvular insufficiency was corrected with MVR in 4 cases, TVR in 1 case and simple interrupted sutures in remainders. In c-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single patch except one case. The atrioventricular valve was repaired with simple interrupted sutures except one MVR and TVR cas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14.2% in p-ECD, 44.4% in c-ECD, but recent 3 years [1980-1983] mortality was 8.7% in p-ECD, 20% in c-ECD. More than grade III systolic regurgitant murmur was oted postoperatively in 4 cases of c-ECD and 3 cases of p-ECD. The operative risk factors were preoperative NYHA classification, cyanosis, Rp/Rs, systolic pressure of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degree of regurgitation of atrioventricular valves. The causes of death were low cardiac output syndromes, pulmonary complications and arrhythmias.

  • PDF

수술 후 성인 Fallot 4징 환자의 임상적 고찰 (Follow-up in Adult after Tota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 장기영;김선영;문주령;허준;강이석;박승우;전태국;박표원;이흥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61-667
    • /
    • 2003
  • 목 적 : Fallot 4징 환자에 대한 수술 및 수술 후 집중 치료의 발달로 생존율이 향상되면서 교정 수술을 받은 Fallot 4징 환자의 연령이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장기 생존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알려지게 되었다. 저자들은 완전 교정 수술을 받은 성인 Fallot 4징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요 임상적인 문제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성인선천성심장병클리닉(GUCH Clinic)에 등록된 Fallot 4징 환자는 30명으로, 내원 당시 자연 생존자는 6명, 수술 후 생존자는 24명이었다, 이들중 본 조사 당시까지 완전 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임상 기록, 심전도, 심장 초음파, 심도자 검사, 수술 기록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주요 임상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결 과 : 1) 본 조사 당시 평균 연령은 30.8세(16-53세)였고, 교정 수술시 나이는 15.8세(2-49세)였다. 남녀 비는 1.3 : 1이었다. 2) 완전 교정 수술 후 임상적으로 유의한 문제점들은 부정맥(11례), 폐동맥 역류(8례), 좌폐동맥 협착(6례), 잔존 심실 중격 결손(6례), 승모판막 역류(5례), 삼첨판막 역류(4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3례), 우심실 유출로 낭성 확장(3례), 대동맥판막 역류(3례), 심내막염(1례) 및 단백 소실 장증(1례) 등이었다. 3) 부정맥이 있었던 환자군(Group I, 11명)과 부정맥이 없었던 군(group II, 17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을 때, 수술 시 연령이 낮을수록 수술 후 부정맥이 적게 관찰되었고(P<0.05), 부정맥 군이 부정맥이 없었던 군에 비해 흉부 방사선 소견상 심.흉 비 0.55 이상의 심비대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심전도에서 QRS폭이 넓을수록 심비대가 많았으며(P<0.05), 수술 후 심비대가 있는 군(심/흉 비>0.55)과 심비대가 없는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을 때는 심비대가 있는 군에서 QRS폭이 넓었고 (P<0.05), 의미 있는 폐동맥 역류와 삼첨판막 역류가 많이 관찰되었다(P<0.05). 4) 재수술은 총 28례 중 8례에서 시행되었다. 재수술의 원인으로, 잔존 심실 중격 결손만 있었던 경우가 3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이 동반된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과 폐동맥 역류가 동반된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인한 삼첨판막 우종 및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좌폐동맥 협착이 1례, 우폐동맥 협착(추정)이 1례 있었다. 결 론 : Fallot 4징은 교정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가 별 문제없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지만 본 조사에서처럼 여러 가지 문제점들-부정맥, 폐동맥 역류, 잔존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유출로 협착, 폐동맥분지 협착, 감염성 심내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인 관찰과 조기 교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