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uspid insufficienc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4초

청색증성 복잡심기형의 교정수술 (Surgical correction of complex cyanotic cardiac malformations)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18-29
    • /
    • 1983
  • Thirty-two patients with a cyanotic cardiac malformations having more complex intracardiac defects than ones in a tetralogy of Fallot underwent complete intracardiac repairs in a-full-year period from July 1981 to June 1982. Twenty-two patients [68.8%] died within 30 days after surgery: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seven of 10 patients; Double-outlet right ventricle, four of 6 patients; Tricuspid atresia, four of 6 patients; Single ventricle, all of 4 patients; Pulmonary atresia, two of 3 patients; Double-outlet left ventricle, none of 2 patients; and Truncus arteriosus, one of a single patient. All deaths occurred with a low cardiac output syndrome or a failed off-bypass, and they were almost always accompanied with other grav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complex intracardiac anatomy itself was one of the risk factors by making a complete intracardiac repair of the defects difficult in a small heart. The reconstruction of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carried a difficulty in balancing an adequate relief of the obstruction with an avoidance of making too much pulmonary valvular insufficiency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an elevate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nd a high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was also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surviv als. The importance of detailed knowledge of intracardiac anatomy and hemodynamics from the careful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patient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technical refinement of the correction.

  • PDF

심내막상 결손증에 대한 임상고 (Clinical study of endocardial cushion defect: 37 cases report)

  • 조재일;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57-665
    • /
    • 1984
  • Thirty-seven patients had undergone repair of a endocardial cushion defect between 1977 and Aug. 1983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wenty eight had a partial defect, one intermediate defect and eight complete endocardial cushion defect. Tricuspid cleft was found in 4 cases and mitral cleft was in all p-ECD. Seven patients were of type C anatomy in c-ECD. Four patients had associated major anomalies, including three TOF in c-ECD, one coarctation in p- ECD. In p-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patch in all cases and the atrioventricular valvular insufficiency was corrected with MVR in 4 cases, TVR in 1 case and simple interrupted sutures in remainders. In c-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single patch except one case. The atrioventricular valve was repaired with simple interrupted sutures except one MVR and TVR cas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14.2% in p-ECD, 44.4% in c-ECD, but recent 3 years [1980-1983] mortality was 8.7% in p-ECD, 20% in c-ECD. More than grade III systolic regurgitant murmur was oted postoperatively in 4 cases of c-ECD and 3 cases of p-ECD. The operative risk factors were preoperative NYHA classification, cyanosis, Rp/Rs, systolic pressure of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degree of regurgitation of atrioventricular valves. The causes of death were low cardiac output syndromes, pulmonary complications and arrhythmias.

  • PDF

Old English Sheepdog Cross Dog에서의 특발성 심방정지 (Idiopathic Atrial Standstill in an Old English Sheepdog Cross Dog)

  • 서상일;최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0-333
    • /
    • 2015
  • 1년령 intact male mixed dog(체중 20 kg)가 복부 팽창과 심각한 운동불내성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심전도 검사에서 심방정지와 함께 두드러진 서맥(46-79회/분)이 관찰되었다. 실험실 검사상 특별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cortisol과 T4농도는 정상 범위였다. 영상검사상 심장비대, 복수, 모든 심장 chamber의 확장, 심방정지, transmitral A-peak 소실, 이첨판과 삼첨판 역류, 정상 좌심실 수축기 직경이 관찰되었다.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특발성 심방정지로 진단되었으며 심부전에 준한 일반적인 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정 대혈관 전위 환자에서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중기적 고찰 (Evaluation of Prognostic Factors in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at Mid-term Follow-up)

  • 송영환;권혁주;김기범;강수정;배은정;노정일;윤용수;이정렬;김용진;노준량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2호
    • /
    • pp.154-161
    • /
    • 2003
  • 목 적 : 수정 대혈관 전위 환자에서는 동반 심장 기형, 우심실 기능, 삼첨판 판막 기능, 부정맥 등이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기간의 관찰을 통해 여러 예후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C-TGA로 진단 받은 9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 기록 고찰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남아가 58명, 여아가 36명이었고, 추적 관찰 시 최종 평균 연령은 $12{\pm}9$세였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pm}6.4$년이었다. 결 과 : 대상 환자 94명 중에 심장 수술은 72명이 시행 받았고, 고전적 교정술이 55례, 해부학적 교정술이 17례였다. 동반된 심장 기형(삼첨판 역류, 폐동맥 협착이나 폐쇄, 심실 중격 결손, 임상군), 심장 수술 여부와 종류, 완전 방실 전도 차단을 예후인자로 설정하였고, 예후 인자들 중에서 삼첨판 역류, 폐동맥 협착, 심실 중격 결손은 중등도 이상인 경우만 양성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삼첨판 역류만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였으며, Ebstein 기형과 고도 방실 전도 차단이 삼첨판 역류와 연관성이 있었다. 삼첨판 부전이 있는 환자의 20년 생존율은 35%로, 없는 환자 77%에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술 직후 사망을 제외한 소그룹 분석에서도 삼첨판 부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20년 생존율이 각각 48%와 87%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년 생존율 분석과 삼첨판 역류와의 연관성 분석에서 고전적 교정술과 해부학적 교정술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삼첨판 부전은 수정 대혈관 전위 환자의 중요한 예후인자이며, Ebstein 기형과 방실 전도 장애가 삼첨판 부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밖에 심장 수술, 동반 심기형 등 다른 예후인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방사성 동위원소 심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단락량 측정법: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Measurement of Shunt Amount Using Radionuclide Angiocardiography: Accuracy According to Level of Shunt and Associated Lesion)

  • 김양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4호
    • /
    • pp.200-204
    • /
    • 2006
  • 목적: 산소포화도법과 비교하여 동위원소법을 이용한 Qp/Qs측정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이와 연관된 요인이 무엇인지, 추적 검사시 두 검사법의 결과를 서로 비교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 검사법으로 Qp/Qs를 측정한 2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은 폐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얻어서 gamma variate model에 적용하여 면적으로부터 Qp/Qs를 구하였다. 환자의 연령, 좌우 단락의 종류와 동반된 질환 등에 따라서 방사성 동위원소 조영술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상관계수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평균치는 각각 $1.85{\pm}0.50,\;1.74{\pm}0.51$이며, 두 검사법으로 얻은 Qp/Qs의 상관계수는 0.86 (p<0.001)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land-Altman 분석에서 두 검사법에 의한 Qp/Qs의 일치의 한계값은 $-0.42{\sim}0.63$, 범위는 1.05였다. 심실중격 결손증 환자에서는 상관계수가 0.9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치의 한계값은 $-0.29{\sim}0.45$ 였다. 심방중격 결손증, 심실중격 결손증, 동맥관 개존증 환자와 삼첨판 부전증과 승모판 부전증이 동반된 환자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78, 0.90, 0.84, 0.63, 0.44 였으며, 일치의 범위는 1.52, 0.74, 0.96, 1.57. 1.50이였다. 결론: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는 전체적으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이나 일치의 한계값이 크므로 추적 검사시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방실판막 부전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낮은 상관관계와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Bronchial compression in an infant with isolate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severe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 Park, Sung-Hee;Park, So-Young;Kim, Nam-Kyun;Park, Su-Jin;Park, Han-Ki;Park, Young-Hwan;Choi, Jae-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8호
    • /
    • pp.297-300
    • /
    • 2012
  • Symptomat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in patients with isolated atrial septal defect (ASD) is rare during infancy.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ASD with severe PAH in an infant who developed airway obstruction as cardiomegaly progressed. The patient presented with recurrent severe respiratory insufficiency and failure to thrive before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confirmed volume overload on the right side of heart and severe PAH (tricuspid regurgitation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55 to 60 mmHg). The chest radiographs demonstrated severe collapse of both lung fields,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narrowing of the main bronchus because of an intrinsic cause, as well as a dilated pulmonary artery compressing the main bronchus on the left and the intermediate bronchus on the right. ASD patch closure was performed when the infant was 8 months old. After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showed improvement of PAH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22 to 26 mmHg), and the patient has not develope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while showing successful catch-up growth. In infants with symptomatic isolated ASD, especially in those with respiratory insufficiency associated with severe PAH, extrinsic airway com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Correcting any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these patients may improve their symptoms.

교정형 대혈관 전위증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CCTGA))

  • 이정렬;조광리;김용진;노준량;서결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21-627
    • /
    • 1999
  • 배경: 본 연구에서는 교정형 대혈관전위증으로 양심실교정이 가능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65례의 환아를 대 상으로 질환의 해부학적 특성, 수술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8년 9월까지의 교정형 대혈관전위증으로 양심실교정을 받은 65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동반기형에 따른 수술법의 차이 및 각각의 수술법에 따른 합병증등 단기 및 중장기 성 적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4$\pm$4.8세(2개월~18세)이었으며 남:녀비는 39:26이었다. 형태로는 {S,L,L}이 53례{I,D,D}가 12례였다. 폐동맥 협착이나 폐쇄가 동반되지 않았던 경우가 13례(20%)였으며 심실 혹은 심방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협착증이 동반된 경우가 26례(40%)였고 심실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폐쇄증이 동반된 례가 26례(40%)였다. 술전 경도이상의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보인 환자는 38.5%(26/65)였다. 완전교정 술전 단락술은 22명의 환자에서 24차례 시행하였다. 교정술의 방법으로 폐동맥심실유출로 협착이 없던 13례 에서는 7례에서 심실 혹은 심방 중격결손증만을 폐쇄하였고, 3례에서 삼첨판막치환술을, 3례에서 좌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 Senning+REV, Senning+ASO)을 시행하였다. 심실,혹은 심방 중격결손증과 폐동맥 협착이 있던 26명의 환자에서는 24례에서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 (Rastelli술식 9례, 심실중격결손증 폐쇄후 폐동맥판막절개술 7례, REV형 술식 4례, 중격결손 폐쇄후 폐동맥 판막하 근육절제가 3례, 삼첨판막치환술이 1례)으로 수술하였으며 2례에서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 Mustard+REV)을 시행하였다. 심실중격결손증과 폐동맥폐쇄증이 있었던 26명의 환자에서는 18명에서 심실중 격결손증을 폐쇄하고 Rastelli술식을 시행하였고, 7례에서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증을 폐쇄하고 REV형 술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추적 기간동안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한 환 자들에서의 삼첨판막폐쇄부전은 술전 평균 1.3$\pm$1.4도에서 2.2$\pm$1.0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중복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은 술후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증가가 없었다. 술전 완전 방 실차단을 보인 환자는 2례(3.1%)있었으며 술후 새롭게 발생한 완전방실차단은 7례(10.8%)있었다. 술후 기타 장,단기 합병증으로는 폐동맥심실유출로도관(conduit) 재협착이 10례, 혈전증(판막: 2례, 인조혈관: 1례, 폐동 맥: 1례)이 4례, 2주 이상의 지속적 흉관배액이 4례, 유미흉이 3례,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3례, 기타 급성 신 부전, 종격동염, 횡경막신경 마비가 각각 2례씩 있었으며,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들과 전통적 술식으로 수 술받은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65명의 환자를 평균 54$\pm$49개월(0~177개월)간 추적관찰하였 으며, 수술 초기에 사망한 환자는 13명으로 20.0%(13/65)의 수술사망율을 보였으며 3명의 환자가 추적기간중 사망하여 24.6%(16/65)의 전체사망율을 보였다.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33.3%(4/12)였다. 술 후 1년, 5년, 10년 누적생존율은 각각 75.0$\pm$5.6%, 75.0$\pm$5.6%, 69.2$\pm$7.6%였다.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는 술 후 저심박출증후군으로 8례였으며 삼첨판막 폐쇄부전이 심해져 심부전으로 사망한 경우도 5례로 사망의 중 요 원인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형태학적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형태학적 좌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하는 해부학적 교정법인 중복치환술중 어느 것이 우월하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었으나 해부학적 교정술이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진행을 막을수 있다는 면에서 이점이 있으리라 사 료되며 보다 세분화된 적응증의 결정과 아울러 장기적인 추적관찰 및 비교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감염성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Native Valve Endocarditis)

  • 김애중;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9호
    • /
    • pp.822-828
    • /
    • 1995
  • This paper reports 15 native valve endocarditis cases had surgical operation in the past 10 years at the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this study, 10 cases out of 15 were in class I or II by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None of the cases had a history of taking addictive drugs. Five cases were congenital heart disease, three cases were rheumatic heart disease and two cases were degenerative heart disease. Thus 10 cases had the underlying disease. All cases had antibiotics treatment for 3 to 6 weeks before operation. In the culture test, only four cases were positive in the blood culture and one case was positive in the excised valve culture. Organisms on blood and valve culture were Streptococcus epidermis, Streptococcus viridan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the 10 cases without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 aortic valve was involved in four, mitral in four, both in two and involved valves in the 5 case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tricuspid in three, pulmonic in two. Eight cases had operation because they showed moderate congestive heart failure due to valvular insufficiency and vegetation with or without embolism. Seven cases had operation because they showed persistent or progressive congestive heart failure and/or uncontrolled infection. Five case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underwent the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vegetectomy and leaflet excision of the affected valves without valve replacement. In the cases without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 affected valves were replaced with St. Jude mechanical prosthesi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recurrent endocarditis in two, embolism in one, allergic vasculitis in two, spleen rupture in one and postpericardiotomy syndrome in one. At the first postoperative day, one case died of cerebral embolism. At the 11th postoperative month, one case died of recurrent endocarditis and paravalvular leakage in spite of a couple of aortic valve replacement. In the survived cases[13 cases in this study , all cases but one became class I or II by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 PDF

$^{99m}Tc-tin$ colloid를 이용(利用)한 간(肝)스캔상(上) "Hot spot"로 나타난 상대정맥증후군(上大靜脈症候群) 1예(例) (The Hot Spot in Superior Vena Caval Obstruction Using $^{99m}Technetium$ tin Colloid)

  • 김병태;권기익;신영태;조경빈;이명철;조보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49
    • /
    • 1981
  • The hot spot on liver scan was demonstrated by many authors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SVC obstruction, Budd-Chiari syndrome, liver abscess, hemangioma of liver,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s, IVC obstruction, and tricuspid insufficiency. And the appearance of hot spot in SVC obstruction is due to unsual collateral circulation. But there was no report of this hots pot on liver scan in our country. We have recently observed one patient with SVC obstruction who shows well-defined area of increased radioactivity between right and left lobe of liver on liver scan using $^{99m}Tc-tin$ colloid, and demonstrated collateral circulations with RI venography using $^{99m}Tc-O_4$. The injection site of radiocolloid was left antecubital vein. This hot spot did not appear when the radiocolloid was injected into right leg vein. We report here this hot spot on liver scan in SVC obstruction with review of some liter atures.

  • PDF

심내막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성적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for Infective Endocarditis)

  • 최순호;양현웅;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57-163
    • /
    • 1996
  • 1986년 1월 부터 1994년 7월까지 원광대학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23명의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수술하였다. 남녀의 비는 13:5 이 었고 평균 43.7세 이었다. 분포는 고유판막 심내막염 21례, 인공판막 심내막염 2례이었고 승모판막을 치환한 경우가 16례로 가장 많았고 대동맥 판막 치환술 11례, 삼천판막 치환술 2례 순이었다. 가장 흔한 감염균주는 연쇄상포도구균 이었으나 배양이 않된 경우는 7례나 되었다. 수술대상은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증, 거대식균 그리고 판막부전을 보이는 경우이었고, 술후 사망율은 13.4%로 만기사망은 없었다. 사망의 주 원인은 뇌경색증과 저심박출증이었다. 술전 기능등급이 III-IV 이었던 모든 환자는 사망 3례를 제외한 모든 례에서 I-II 등급으로 호전되었다. 결론적으로 조기 수술적 조작은 지속적이거나 진행성 심부전을 갖고있는 환자에서는 감염의 활동성 내지는 항생제 치료의 유무에 관계없이 생명을구할수 있는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