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oloma matsutake soil colon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Ergosterol and Water Changes in Tricholoma matsutake Soil Colony during the Mushroom Fruiting Season

  • Koo, Chang-Duck;Lee, Dong-Hee;Park, Young-Woo;Lee, Young-Nam;Ka, Kang-Hyun;Park, Hyun;Bak, Won-Chull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patio-temporal changes of active fungal biomass and water in Tricholoma matsutake soil colonies during the mushroom fruiting season. The active fungal biomass was estimated by analyzing ergosterol content at four different points within four replicated locations in a single circular T. matsutake colony at Ssanggok valley in the Sogri Mt. National Park in Korea during 2003 to 2005. The four points were the ahead of the colony,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and 20 cm and 40 cm back from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Ergosterol content was 0.0 to 0.7 ${\mu}g$ per gram dried soil at the ahead, 2.5 to 4.8 ${\mu}g$ at the front edge, 0.5 to 1.8 ${\mu}g$ at the 20 cm back and 0.3 to 0.8 ${\mu}g$ at the 40 cm back. The ergosterol content was very high at the front edge where the T. matsutake hyphae were most active. However, ergosterol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he fruiting season, September to October. Soil water contents were lower at the front edge and 20 cm back from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than at the ahead and 40 cm back during the fruiting season. Soil water content ranged from 12 to 19% at the ahead, 10 to 11% at the edge, 9 to 11% at the 20 cm back and 11 to 15% at the 40 cm back.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e front edge of the T. matsutake soil colony could be managed in terms of water relation and T. matsutake ectomycorrhizal root development.

Soil Water Monitoring in Below-Ground Ectomycorrhizal Colony of Tricholoma Matsutake

  • Koo, Chang-Duck;Kim, Je-Su;Lee, Sang-Hee;Park, Jae-In;Kwang- Tae Ah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3
    • /
    • 2003
  • Water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richoloma matsutake(Tm) growth because it is the major component of the mushroom by over 90%. The mushroom absorbs water through the below ground hyphal colon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our study were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water changes in Tm colon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m fruiting sites in Sogni Mt National Park, where the below-ground mushroom colonies have been irrigated. To identify spatial water status within the Tm soil colony soil moisture and ergosterol content were measured at six positions including a mushroom fruiting position on the line of the colony radius. To investigate temporal soil moisture changes in the soil colony, Time Domain Reflectometry(TDR) sensors were established at the non-colony and colony front edge, and water data were recorded with CR10X data logger from late August to late October. Before irrigation, whereas it was 12.8% at non-colony, the soil water content within Tm colony was 8.0% at 0-5cm from the colony front edge, 6.2% at 10-15cm and 6.5-7.5% at 20-40cm. And the content was 12.1% at 80cm distance from the colony edge, which is similar to that at the non-colony. In contrast, ergosterol conten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live hyphal biomass was only 0.4${\mu}g$/g fresh soil at the uncolonized soil, while 4.9 $\mu\textrm{g}$/g fresh soil at the front edge where the hyphae actively grow, and 3.8 ${\mu}g$/g fresh soil at the fruiting position, l.1${\mu}g$/g at 20cm distance and 0.4${\mu}g$/g in the 40cm rear area. Generally, in the Tm fungal colony the water content changes were reversed to the ergosterol content changes. While the site was watered during August to October, the soil water contents were 13.5∼23.0% within the fungal colony, whereas it was 14.5∼26.0% at the non-colony. That is, soil water content in the colony was lower by 1.0∼3.0% than that in the non-colonized soil. Our results show that Tm colony consumes more soil water than other parts. Especially the front 30cm within the hyphal colony parts is more critical for soil water absorption.

  • PDF

송이산 소나무림 생태계에서 엽면적지수와 생리적활동 및 토양수분의 변화 (Changes of Leaf Area Index,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Soil Water in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Pine Forest Ecosystem)

  • 구창덕;가강현;박원철;박현;류성렬;박용우;김태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38-44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송이산 소나무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토양 수분동태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는 충북 괴산군 칠성면 속리산국립공원내 쌍곡의 송이산 소나무림에서, 생태계 구조에 속하는 식생구성 및 엽면적지수 그리고 기능에 속하는 광합성, 증산, 목부수분포텐셜과 토양수분변동을 측정분석하였다. 송이산의 수직적 구조로써 주요 상층식생은 소나무였고, 중층은 신갈나무, 하층은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였다. 송이산의 엽면적지수는, 6월~9월에 3.8, 10월에 2.6, 11월~4월에는 2.1로 연중 변하였다. 수목들의 광합성은 8월말에 $6.0{\sim}7.0{\mu}mol\;CO_2/m^2/s$였으나, 10월 말경에는 소나무 $4.0{\mu}mol\;CO_2/m^2/s$, 신갈나무 $2.0{\mu}mol\;CO_2/m^2/s$, 철쭉은 마이너스 값이었고, 쇠물푸레나무는 낙엽되었다. 수목들의 증산량은 8월말경에 $2.5{\sim}3.5mmol\;H_2O/m^2/s$, 10월 중순경에는 약 $1.0 mmol\;H_2O/m^2/s$로 감소하였다. 신갈나무는 다른 활엽수보다 늦게까지 광합성과 증산작용을 하였다. 각 수종의 목부수분포텐셜은 소나무가 -10~ -22 bars, 진달래와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는 -5~-12 bars의 범위로 변화하였는데, 8월 말경이 -12 bars로 가장 낮았고, 10월 중순경에 -3 bars 정도였다. 송이산의 토양수분은 지형과 관련이 깊었다. 수분함량은 산능선부에서 7~11%, 중간인 산복에서 8~15%, 산록은 11~19%의 범위였다. 송이균환내부의 온도는 비균환보다 약 0.2~0.4 높은 경향이었고 송이원기 형성온도인 $19.0^{\circ}C$는 9월 중순경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송이균환의 수분은 비균환보다 약 0.5~2.0% 낮았다. 이것은 송이균환이 대사작용을 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수분을 소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송이 발생에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므로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국(韓國)에서 9월(月)의 기상인자(氣象因子)가 송이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그 극복방안(克服方案) (Effects of Climatic Condition in September on Pine-mushroom(Tricholoma matsutake) Yield and a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ing Factors in Korea)

  • 박현;김교수;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79-488
    • /
    • 1995
  • 송이 발생(發生)의 제한인자(制限因子)를 파악(把握)하고 극복방안(克服方案)을 개발(開發)하기 위(爲)하여 18개(個) 주요(主要) 송이산지(産地)의 생산량(生産量)과 송이 발생(發生)에 관여(關與)하는 주요(主要) 기상인자(氣象因子)(월별(月別) 강수량(降水量), 상대습도(相對濕度) 평균기온(平均氣溫), 최고(最高) 최저기온(最低氣溫), 지중온도(地中溫度), 일조율(日照率)의 관계(關係)을 지난 17년간(年間)(1978-1994)의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분석(分析)하였다. 송이 발생(發生)에 가장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因子)는 지역별(地域別)로 다르지만 대체로 송이 발생기(發生期)인 9월(月)의 기상(氣象)이었으며 각(各) 인자(因子)들의 중요도(重要度)는 지역별(地域別)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中)에서 1% 유의수준(有意水準)에서 $$r^2{\geq_-}0.41$$를 나타낸 인자(因子)는 9월(月)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으로 이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송이 발생량(發生量)이 많았으며, 이런 현상(現象)이 있는 지역(地域)은 영덕(盈德), 울진(蔚珍), 삼척(三陟), 봉화(奉化) 등(等) 9개(個) 지역(地域)이었다. 이들 지역(地域)에서는 식생정리(植生整理)를 통해 임내(林內)에 햇빛이 많이 들어 오도록 하여 균환(菌環) 주변(周邊)의 온도(溫度)를 높이면 송이 증수(增收)에 효과적(效果的)일 것으로 예상(豫想)되었다. 9월(月) 강수량(降水量)이 $$r^2{\geq_-}0.41$$인 지역(地域)은 남원(南原), 문경(聞慶), 상주지역(尙州地域)이었고, 이 지역(地域)에서는 송이 발생시기(發生時期)에 균환주변(菌環周邊)에 관수(灌水)하는 것이 효과(效果)를 거둘 것으로 기대(期待)되었다. 1994년(年)에는 가뭄으로 인(因)하여 1993년(年)에 버금가는 흉년(凶年)을 맞이하였는데, 문경(聞慶)과 거창지역(居昌地域)에서는 관수처리(灌水處理)를 통해 가뭄을 극복(克服)하여 송이를 증산(增産)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경북 봉화와 강원도 간성 지역의 송이자생지 산림토양의 특성 - 1. O층과 토양지표층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a Forest Soil on Pine Mushroom Habitat Located in Ponghwa, Kyungbuk and Gansung, Kangwon. 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 Horizon and Surface Soil)

  • 정덕영;이교석;이종신;윤영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6-213
    • /
    • 2008
  • 본 연구는 2005년에 송이가 자생하고 있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비교가 되는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북단과 최남단 지역인 경북 봉화와 강원 간성지역 토양의 이화학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송이균사는 임목밀도와 유기물층 하부의 토양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봉화지역에서 발생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토양수분함량은 유기물 두께가 증가할수록 토양내 수분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송이균사의 발생과 발생밀도는 토양수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토양내 성분을 조사한 결과 송이가 발생한 지점의 철(iron) 이온의 함량이 미 발생지점보다 높았다. 그리고 철이온의 함량이 높은 지점에서 자갈의 비율은 송이균사가 존재하지 않는 지점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토양내 점토 함량이 높을수록 점토입자 표면에 흡착된 철이온의 용탈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송이균사의 존재는 토양수분과 균사가 존재하는 토양내 수분함량과 철이온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