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Thinning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9초

VARTM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방법에 의해 목재 및 파티클보드를 유리섬유로 보강한 복합소재의 성질 (Properties of Composites Reinforced with Fiberglass to Wood and Particleboard Using VARTM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Fabrication Process)

  • 차재경;이성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29-35
    • /
    • 2007
  • 본 연구는 목재 및 파티클보드의 기계적 성질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섬유를 VARTM 방법에 의해 보강한 복합소재에 대해 조사하였다. 시편들은 상업용 파티클보드 및 간벌소경재로 생산된 목재로 제작하였다. 시편들은 대조구(control)와 유리섬유로 보강된 목재/파티클보드 사이의 변이를 줄이기 위해 제재목과 파티클보드를 각각 길이 방향으로 둘로 잘라 한쪽은 대조구 시편으로 사용했고, 다른 한쪽은 한 층의 단축방향으로 짠 유리섬유 조방사로 시편의 양면을 보강하였다. 목재 및 파티클보드를 VARTM 방법에 의해 유리섬유로 보강한 복합소재는 기계적인 성질들이 크게 향상되었다.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 (Selecting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for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 이정호;이대성;서영완;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93-20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국유림 내 분포하는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조사된 표준지 80개소의 총 240개 시험구 내 입목정보를 활용하였다. 경쟁지수가 산출된 입목 수는 수종별로 소나무 1126본, 잣나무 4093본, 낙엽송 3399본 이었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을 위하여 흉고단면적 정수, 수고 및 지하고의 각도를 이용하여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기존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Modified Daniels 모델까지 총 6가지 경쟁지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최적 모형 선정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흉고단면적 정수 $4m^2/ha$를 이용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Modified Daniels 경쟁지수 모델이 이용된 모형에서 가장 좋은 상관이 나타나 최종적인 모형으로써 경쟁지수가 산출되었다. 임분특성에 따른 경쟁지수를 파악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모두 간벌강도가 강할수록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경쟁지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임업(林業)에서의 순수작업시간(純粹作業時間)과 임목형상조건(林木形狀條件)과의 관계연구(關係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Tree Formal Characteristics)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81-395
    • /
    • 1989
  • 본 연구는 임업 경영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특히 간벌 작업에서 순수 작업시간과 임목의 형상 조건과의 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임금표나 공정표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 대상지와 수종은 경남 양산에서 참나무 460본, 강원도 봉평에서 낙엽송 372본과 적송 232본, 전북진안에서 리기다 소나무 240본을 선정하였으며, 회귀식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종별 임목의 형상 조건인 5개의 독립 변수는 순수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데 있어 작업원별로 동일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2. 임목의 형상 조건간의 서로 상관관계를 구명,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순수 작업시간(WT)은 흉고직경(DBH)과 전체 가지수(NOB)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3. 변수의 수에 따른 결정계수(Rp)와 잔차평균제곱(MSEp)을 비교하여 최적회귀식을 수종별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에서 모든 수종으로부터 흉고직경(DBH)과 가지수(NOB)가 조합된 $WT=a+b1{\times}NOB+b2{\times}DBF$의 식이 유도 되었다. 4. 간벌 작업에서 걸림시간(Hang-up time)을 산출해보면 전체 작업 사간에 대하여 참나무가 평균 66%, 낙엽송 74%, 적송55%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가 52%를 나타났다. 5. 수종별 휴고직경(DBH)과 가지수(NOB) 2변수로 부터의 최적 회귀 방정식에 작업 시간표를 작성하였으며, 6. 여기에서 전체 작업시간(Total WT)은 벌도시간(FT)과 조재시간(LT) 그리고 걸림시간(HT)을 모두 합한 것으로써 임목의 1cm 증가마다 11-13초의 작업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tem Volume and Density during a Course of Self-thinning in a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

  • Ogawa, Kazuharu;Hagihara, Aki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27-33
    • /
    • 2004
  •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 was monitored every year during 15 years from 1983 to 1997 for stem diameter and volume. The reciprocal equation, 1/Y = A + B/N, wa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volume Y and cumulative number N from the largest tree in the stand each year. The parameters A and B, which means respectively the reciprocal of an asymptotic value of total stand stem volume and the reciprocal of the maximum stem volume, are related by a power function. The power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and B derived a linear relationship of B-points ( $N_{B}$, $V_{B}$; $N_{B}$ = B/A, $Y_{B}$ = 1/2A) of each Y-N curve on log-log coordinates. The gradient of B-point line was so steep that the Y-N curve moved parallel upward year by year. The time trajectory of mean stem volume (W) and density ($\rho$) provided evidence in favor of the 3/2 power law of self-thinning, because the gradient of W - $\rho$ trajectory on log-log coordinates approximated to -3/2 at the final stage of stand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Y-N curves and W - $\rho$ trajectory, the time trajectory of maximum stem volume $W_{max obs}$ and $\rho$ was derived theoretically. The gradient of $W_{max obs}$ - $\rho$ trajectory on log-log coordinates is calculated to be -0.6105 at the final stage. The gradient of $W_{max obs}$ - $\rho$ trajectory was steeper than that of W - $\rho$ trajectory at the early stage, while the former is gentler than the latter at the later stage.stage.e.age.e.

산림시업이 잣나무림의 생장, 토양조공극 및 토양함수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Practices on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s in Pinus koraiensis Stands)

  • 전재홍;정용호;최형태;유재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2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inning and pruning on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at the Pinus koraiensis stands in Gwangneung, Gyeonggido. The Pinus koraiensis had been planted in 1976 and thinning and pruning were carried out in 1996. A sample area survey was conducted at experimental plots (thinned and unthinned) in 1998 and 2005, 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have been monitored from 2000 to present. Average tree height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0.9m to 13.2m and from 10.3m to 12.8m for the unthinned plot. Average D.B.H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5.9cm to 21.1cm and from 14.5cm to 16.7cm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Crown density at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81.5% to 95.0% and from 89.5% to 95.0%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Mesopore ratio (pF2.7) of A layer soil at the thinned plot was 40.1% while that of the unthinned plot was 37.3%. Changes of mesopore ratio at unthinned plot were not associated with stand age, but those at thinned plot had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declining of the practice effect. Average soil water content at the thinned plot were 23.7% and 22.4% for the unthinned plot. Soil watercontents at both plots have been increased with increase in stand age. But the difference of soil watercontent at each plot has been decreased, especially at the depth of 10cm.

포도 '캠벨얼리'의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적립 노력 절감 및 과실 품질 (Effects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Berry Thinning Labor-save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문영지;이영철;남기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33-144
    • /
    • 2015
  • 포도 '캠벨얼리'에서 적립의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한 지베렐린(GA3)의 처리 방법, 적정농도 및 처리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적립의 노동력은 만개 5일 전 40ppm, 만개기 10, 20, 40ppm에서 14.27~19.15 분/주 절약 할 수 있었다. GA3 40ppm 과방 침지는 탄립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가용성고형물이 감소하여 실용화에는 문제가 있었다. GA3 처리에 의한 적립의 노동력 절감은 만개기 GA3 10 및 20ppm 과방 침지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동적계획법 적용에 의한 삼나무 임분의 간벌시업체계 분석 (Analysis of Optimal Thinning Prescriptions for a Cryptomeria japonica Stand Using Dynamic Programming)

  • 한희;권기범;정혜진;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49-656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의 삼나무조림지에서 목재 및 탄소 경영을 위한 최적의 간벌시업체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Paderes and Brodie에 의해 개발된 PATH 알고리즘을 의사결정 지원체계로 그리고 임분생장예측을 위해 권기범 등이 개발한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임분생장모델은 개체목간의 거리에 대한 고려가 없이 임목의 고사나 간벌과 같은 임분밀도 조절 요인에 의한 생장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순현재가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재생산경영은 탄소흡수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탄소경영에 비해 간벌의 횟수는 적었지만 간벌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나타났다. 탄소경영의 경우 목재생산경영에 비해 탄소흡수량이 약 6% 증가한데 비해 순수익은 약 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경영이나 목재생산경영을 위한 집약적 경영은 무간벌 시업조건을 전제로 하는 '무간벌 대조구'의 경우에 비해 약 60% 정도의 탄소흡수 및 순수익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tial Display PCR을 이용한 사과 자가적과성 연관 유전자 탐색 (Identifying Genes Related with Self-thinning Characteristics in Apple by Differential Display PCR)

  • 김세희;허성;신일섭;김정희;조강희;김대현;황정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65-573
    • /
    • 2010
  • 사과의 경우 한 과총에 5개의 꽃이 피는데 그 중 한 가운데의 중심화가 먼저 개화하여 과일로 발달하고 주위의 측과 4개는 스스로 낙과되는 현상을 자가적과성이라고 한다. 적과는 인위적으로 과실의 숫자를 줄여 잎 수와 과실 수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으로 과실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수세, 수형을 유지시켜 안정적인 생산에 도움을 준다. 노동력 절감을 위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자가적과성인데, 자가적과성 품종의 사과에서 측과는 만개 후 30일 이내에 떨어지고 중심과만 남아서 성숙하게 된다. 51개의 사과 품종으로부터 비자가적과성 그룹 20종, 6월 생리적 낙과 그룹 16종, 자가적과성 그룹 15종을 분류하였다. 대표적인 자가적과성 품종인 Aori #9 로부터 중심과와 측과에서 다르게 발현이 되는 유전자들을 DD-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중심과에서 30개의 clones 과 측과에서 24개의 clones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주로 측과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은 pathogenesis, senescence, temperature stress, protein degradation, fruit browning, sorbitol metabolism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고, 중심과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보면 anthocyanin의 up-regulation이나 flavonol 생합성, ethylene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분포한다.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보기 위해 Real time PCR 분석을 한 결과 중심과보다 측과에서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과와 측과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실제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Real time PCR을 이용해서 상대정량을 분석할 계획이며 분자수준에서의 자가적과를 조절하는 기작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는 생력 재배가 가능한 품종 육성의 육종 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조림지의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 Time Elapse Among Thinned Forest Stand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전종훈;김한규;김준수;이우신;김종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27-132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일대의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은 교목 수와 관목 수, 상층 피도, 중층 피도, 암석 피도, 수목잔존물 수에서 임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형 설치류의 포획 결과,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4종이 포획되었으며, 대조구보다 간벌지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이 중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의 성비와 연령비를 분석한 결과, 두 종 모두 수컷의 비율은 간벌 3년차 임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성숙개체와 미성숙개체의 비율은 임분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의 간벌은 하층 식생의 발달과 수목잔존물의 증가로 소형 설치류에 더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벌 이후 수목잔존물의 존치와 중층 및 하층 식생의 유도를 통한 산림관리는 소형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of the Natural Monument (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오해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60
    • /
    • 2013
  • 본 연구는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Z.-M. 학파의 방법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비자나무 숲에 대한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자나무 숲은 수평적으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역의 저지대 및 구릉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총 50과 80속 95종으로 구성되어진 비자나무 숲은 종조성에 의해 비자나무-상산군락의 전형하위군락,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였다. 3~4층으로 구성된 비자나무 숲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과거 간벌이후 일제히 재생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을 특징짓는 진단종군으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기되었다. 또한 임상의 경우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큰천남성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임연식생의 주요 구성종으로 대표되는 주름조개풀이 높은 기여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자나무 숲이 지속적으로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자나무의 치수는 반음지, 음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쇠퇴시킬 가능성이 큰 강도간벌 대신에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교목수종을 간벌하되, 아교목 및 관목수종을 대상으로 밀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관리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