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umatic stress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2초

주택파손 피해자의 심리적 충격 변화에 관한 추적조사 연구 (Longitudinale Study on the Psychological Trauma of Victims of Housing Damage)

  • 손희주;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119-129
    • /
    • 2023
  • 자연재해는 지역사회 전반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다수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충격을 극복하지만, 일부는 PTSD와 같은 장기적인 정신적 피해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재난과 심리적 충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다. 자연재해는 시설 붕괴, 인명피해 등 다양한 피해를 야기하기에 피해자가 경험하는 피해의 종류가 다르며, 경험하는 상실의 정도에도 차등이 있다. 특히 자연재해로 인한 가장 흔한 피해인 주택파손의 경우 피해자가 경험하는 충격은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주택이 파손된 가구가 경험하는 심리적 충격을 확인하고, 추적연구를 통해 심리적 충격이 변화하는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택이 파손된 경우 심리적 충격이 더 크게 나타나 주택의 파손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이 다른 피해로 인한 충격보다 더 큰 것을 확인했다. 또, 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충격이라고 할지라도 불안, 우울, PTSD 그리고 전반적인 심리적 충격 등 그 성격에 따라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보건의료 서비스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분석돼 재난 이후 안전과 관련된 기본서비스의 제공이 가장 필요로 된다고 해석된다. 또, 재난구호서비스 중 심리 안정 지원은 불안, 우울과 같은 단기적인 충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심리적 영향이 가중된 PTSD에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보여 심리지원체계의 변화 및 발전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심한 정신적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INGLE, SEVERE TRAUMA)

  • 엄소용;송원영;오경자;최의겸;심은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61-74
    • /
    • 2004
  • 연구목적:아동기에 경험한 심각한 정신적 외상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증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심리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신적 외상은 학령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후 인격형성에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9명의 학령전기 아동들의 심리적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들의 정신적 문제를 진단적 범주 차원을 넘어 내면의 심리적 차원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방 법:유치원 점심시간에 침입한 정신질환자에게 칼로 심한 신체적 상해를 입은 동일한 한 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만 $3{\sim}5$세 아동 9명(남아 6명, 여아 3명)을 대상으로, 사고 발생 1개월 경과 후 신체적 상해를 치료한 시점에서 심리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는 부모 면담, 아동에 대한 정신의학적 면담 및 관찰, 아동에 대한 심리평가(지능검사, House-Tree-Person test;HTP, MacArthur Stem Story Battery;MSSB) 등이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반영하는 MSSB, HTP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9명의 아동은 모두 진단(5명이 PTSD 진단에 해당됨)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외상 경험과 관련되어 보이는 높은 불안감, 우울감, 위축과 회피 등의 감정 반응을 주로 나타내었는데, 이런 반응들은 부모 보고에 의한 평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병원 치료에 대한 공포, 사고에 대한 재현, 공격적 주제, 양육자와의 이별 등의 내용이 아동의 그림이나 이야기 속에서 자주 나타났으며 이런 내용은 직접적 질문이나 대화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들은 PTSD 진단 여부와 관계없이, 전반적 정신적 표상으로 외상과 관련된 부정적 정서 경험과 사고 내용을 보였다. 따라서 향 후 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학령전기 아동들의 경우 PTSD 증상 뿐 아니라 사고로 야기된 부정적 정신적 표상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의 뇌 구조 및 휴식기 뇌기능 변화: 예비 결과 (Structural and Resting-State Brain Alteratio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Preliminary Results)

  • 박예원;전선영;노주환;정석종;한상훈;이필휴;김창수;이승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76-687
    • /
    • 2020
  • 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가 없는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에서 뇌 구조의 변화와 휴식기 뇌기능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모든 피험자는 휴식기 기능 뇌자기공명영상(resting-state functional MRI; 이하 rsf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PTSD가 없는 40세 이상의 31명의 소방관(31명, 평균 연령, 49.8 ± 4.7세)이 포함되었다. 26명의 외상을 받지 않은 건강한 대조군(26명, 평균 연령, 65.3 ±7.84세)도 포함되었다. Voxel-based morphometry 분석을 시행하여 뇌 해부학상의 국소적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휴식기 뇌기능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seed-based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서울언어학습결과(Seoul Verbal Learning Test)의 평균 z 값을 비교했을때 소방관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즉각회상(immediate recall), 지연 회상(delayed recall), 통제단어연상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이하 COWAT)의 동물(animal)과 음소(phonemic)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경인지 기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은 좌위마루이랑(left superior parietal gyrus)과 좌하관자이랑(left inferior temporal gyrus)의 회색질 부피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소방관은 방추향이랑(fusiform gyrus)과 소뇌(cerebellum) 등을 포함한 여러 부위에서 rsfMRI 값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구조적 뇌 및 휴식 상태 기능 이상은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이미징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

아동기 외상의 정신과적 개관 (CHILDHOOD TRAUMA:PSYCHIATRIC OVERVIEW)

  • 한성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3-14
    • /
    • 2002
  • 아동에 가해지는 정신적 외상의 충격은 아동의 심리발달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김으로써 향후 심각한 정신장애를 일으키는 결정적 원인이 된다. 아동기 외상의 현상학적 특징과 외상에 관여하는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살펴보았고,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인격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와 관련한 정신병리를 알아보았다. 외상에 노출된 아동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경험한 공포사건을 시각적으로 재경험하거나 그 기억을 반복하며, 놀이나 행동을 통해서도 외상사건을 반복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일회의 충격적 사건에 노출된 아동은 사건에 대한 지나친 기억과 집착을 보이고 지각왜곡이 심한 반면 장기간 반복되는 외상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신적 무감각과 자기최면, 해리, 분노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소아·청소년에서는 외상 후 퇴행이 보다 현저하고 시간감각의 왜곡이 더 심하게 나타나며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율신경계의 반응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외상적 충격에 노출되면 뇌내에서 즉각적이고 방대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이 있게되는데, 자율신경계, 면역계,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이 활성화된다. 외상시 internal opiate가 활발한 작용을 하면서 아동으로 하여금 외상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고 외상에 대한 감정반응 자체를 봉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동기 외상의 경우 central noradrenergic system에 변화가 초래되어 카테콜아민에 대해 과민감한 비정상적 소견을 보이게 된다. 체내 순환되는 cortisol 수치는 감소하고, glucocorticoid 수용체 농도와 반응성이 증가한다. 외상 후 발견되는 기억력 장애는 해마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동기 외상은 자기(self)와 대상(object)에 대한 내적 표상(internal representation)이 지속적으로 분화 발전하는 발달과정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인격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리, 신체화, 자학성, 자기애 장애의 정신병리로 발전하면서 경계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다중인격장애 등을 초래하게 된다.

  • PDF

Humidifier disinfectant lung injury, how do we approach the issues?

  • Choi, Jihyun Emma;Hong, Sang-Bum;Do, Kyung-Hyun;Kim, Hwa Jung;Chung, Seockhoon;Lee, Eun;Choi, Jihyun;Hong, Soo-Jo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19.1-19.7
    • /
    • 2016
  •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been exposed to toxic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the victims are infants, the magnitude of the damage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y larger than what has currently been revealed. The current victims are voicing problems caused by various diseas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ung, upper respiratory tract, cardiovascular, kidney, musculoskeletal, eye, and skin diseases, etc. However,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gaining validation for these health problems and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s due to lack of evidence proving that toxic HD is the specific causes of extrapulmonary diseases such as allergic rhinitis. Furthermore, the victims and bereaved families of the HD case have not received any support for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feelings of injustice, and anger caused by the trauma. In addition, becaus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toxic materials within the HDs such as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poly(oxyalkylene guanidine) hydrochloride, chloromethylisothiazolinone /methylisothiazolinone have yet to be determined, the deman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HD issue is growing. The victims of the HD cases require support that goes beyond financial aid for medical costs and living expens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government-led integrated support centers that provide individualized support through health screenings; in other words, we need an integrated facility that provides the appropriate social support to allow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 as to well prepare them to return to a normal life.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plan requires not only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hose departments already directly involved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ut also active support on a national scale from pan-governmental consultative bodies.

해양경찰·경찰 공무원의 외상(trauma)관련 국내 연구 동향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rauma in Maritim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fficers in Korea)

  • 박경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해양경찰, 경찰의 외상 관련 논문 57편을 수집하여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 변인 등을 분석하였다.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57편 중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6편에 불과하였다. 연구자의 전공영역은 경찰행정분야(59.6 %)가 가장 많았고, 심리학(19.3 %), 의학 및 간호학(10.5 %), 사회복지학(8.8 %), 교육학(1.8 %)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양경찰공무원 대상 연구는 6편 중 1편 외에는 모두 경찰행정분야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78.9 %)이 대부분이었다. 질적 연구는 3편이었는데 모두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PTSD 척도는 IES-R-K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PDS, PCL-5가 뒤를 이었다. 외상 관련 변인으로는 외상성 사건 경험, 회복력, 스트레스 대처 방법, 사회적 지지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Burdens, Needs and Satisfac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 Chang, Yoon-Jung;Kwon, Yong Chol;Lee, Woo Jin;Do, Young Rok;Lee, Keun Seok;Kim, Heung Tae;Park, Sook Ryun;Hong, Young Seon;Chung, Ik-Joo;Yun, Young 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209-215
    • /
    • 2013
  • Objectives: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often experience traumatic stress and need many types of assistance. In the present study we interviewed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to determine how much burden they experienced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most important for satisfaction. Design: We construc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overall care burden and needs experienced, and administered it to 659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659 important caregivers at 11 university hospitals and 1 national cancer center in Korea. Results: Finally, 481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381 caregiv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are burden was not insubstantial in both and the caregiver group felt more burden than the patient group (P<0.001). While the patient group needed financial support most (39.0%), the caregiver group placed greatest emphasis on discussion about further treatment plans (44.8%).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 the patient group, patient's health status (OR, 2.03; 95%CI, 1.16-3.56) and burden (OR, 2.82; 95%CI, 1.76-4.50) influenced satisfaction about overall care, while in the caregiver group, high education level (OR, 1.84; 95%CI, 1.76-4.50), burden (OR, 2.94; 95%CI, 1.75-4.93) and good family function (OR, 1.94; 95%CI, 1.24-3.04) were important.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burden was great in both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nd was perceived to be more severe by caregivers. Our study also showed that burden was the factor most predicting satisfaction about overall care in both groups.

저체중아 출생과 관련된 산모의 특성 연구 (The Study of Maternal Characteristics of Low Birth-Weight Infant)

  • 홍필순;박형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9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ow birth-weight infants and their's moth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o delivery of L.B.W infants. The data derived from K. General Hospital and J. obs & gyn clinic in pusan from January, 1998 to August, 1998, which were from mothers of having B. W infants. The factors used for this study were characteristics of general, obstetrical, environmental aspect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life experiences during pregnancy. Analysis of data obtained were computeri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7.5 WIN program. the data were analysed as numbe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 The major results obtained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der that L.B.W infants were male in 47.2% and female in 52.8%, body weight of 2001~2500gm was above 8 in 68.5%, and below 5 in 1.8%. The L.B.W infants with complications were 7, which were 6.5%. The kinds of malformations were the Cleft palate & lip, Hyper-kalemia, Hypoglycemia, Meningocele, CHD, Down syndrome and each of them marked 0.9%. 2)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the age group of 25~29 years was the most common as 46.3%. Over 35 years of age, elderly gravidas were in 7.5%. the height of 156~160cm was the most common as 52.8%. pregnant women of below 150cm height was in 3.7%. body weight of 51~55kg was the most common as 38%. pregnant women of below 45kg were in 19.4%. The women with smoking and drinking episodes during pregnancy were 1.9% and 25%. In the status of marriage, married women were in 95.4%, unmarried ones were in 1.9%, and unmarried couples were in 2.8%. Iin he obstetric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age under 37wks were in 45.4%, and the ones over 38wks were 54.6%. At the methods of delivery,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ies were in 51.9%, which were the most common, cesarian section deliveries were in 47.2%, and breech deliveries were in 0.9%. I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40.8% of pregnant women lived in house or apartments with stairs, 23.1% of them lived in the high altitude. the pregnant women who ran a household without a helper were in 65.7%. In the pregnant women who had underwent life experience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during pregnancy. life experiences of physical stresses were described as persistent fatigue due to lifestyle, traumatic experience, illness, move away with an effort, physical impact caused by discord. life experiments of psychological stresses were describeded as trouble with their husbands, discord with one's husband family, family problems, and conflict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etc. The number of the pregnant women who had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was 32, which was 29.6% totally. Among them, pre-eclampsia was in 12.1% and th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in 7.4%. 3) In the analysis of the general, obstetrical, and circumstantial characteristics and L.B.W infant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the gestational age of pregnant women(F=12.035, P=.000), and the status of marriage(F=3.207, P=.044), and maternal complication(t=2.344, P=.021) etc.

  • PDF

한의치료와 '마음의 방 그리기'를 활용한 공황장애 치험 1례 보고 (A Case Report on Panic Disorder Patient Using the 'MRM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nd Korean Medicine Therapy)

  • 김지수;정문주;이가원;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1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improve clinical use after conducting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the main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for a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We conducted a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for 10 sessions on an age 23 female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fter receiving consent from the subject, through chart review, the progress of treatment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MMPI-2 and CSEI-s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onducted pre- and post-treat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Wonkwang University Sanbon Hospital (WMCSB202007-55). Results: 1. The MMPI-2 clinical scales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showed a 7 (Pt)-1 (Hs)-3 (Hy) profile pre-treatment, but for post-treatment, the scale showed 1 (Hs)-3 (Hy) profile, and the 7 (Pt) scale showed significant decline. In the MMPI-2 reconstructed clinical scales, RC7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RC8 (Aberrant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ecline. 2.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MMPI-2 content scales, Anxiety, Fears, Obsessiveness, Social Discomfort, and Work Interference scores decreased, showing overall positive stability. On the MMPI-2 supplementary scales, the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ores decreased, and the Ego Strength increased, resulting in improved overall psychological adaptation. 3. Pre- and post-treatment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CSEI-s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恐, 驚, 悲, and 思. So it seems that the emotions caused by Chiljeongsang (七情傷) were more stable than before treatment. Conclusions: As shown above,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rough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 major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MMPI-2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symptoms. Thus,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has high clinical use, and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anual for this in the future.

국제항공법상 정신적 손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tal Injury Suffered by Passengers in International Air law)

  • 조홍제;안진영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95
    • /
    • 2010
  • 'lesion corporelle'의 직역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그것의 의미와 정신 또는 정신적 상해의 다양한 문맥상 적용함에 있어서는 분명하지 못하다. 미국 법원은 Floyed 사건이 바르샤바 협약 제17조에 따라 정신적 상해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한 배상을 허용한 이후로 신체적 상해의 관련 또는 동반 여부에 따라 다르게 결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법원은 동 협약에 따라 순수한 감정적 손해에 대해서는 배상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에는 일치한다. 또한 신체적으로만 나타나는 증상 예를 들어 체중이 감소하거나 불면증과 같은 경우에는 감정적인 손해에 대한 배상을 인정하지 않는데 동의한다. 동시에 감정적 손해가 신체적 상해로부터 야기된 경우에는 그에 대한 배상에 동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는 바르샤바 협정의 용어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많은 국가들의 판례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조약의 본래의 목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신적 상해와 관련된 PSTD 등의 사안은 현 바르샤바에 따르든지, ICAO에서 제안한 새로운 협약에 따르든지 그 여하를 불문하고 '신체적 상해'라는 용어 내에서 법원이 정신적 고통과 관련된 과학적 증거와 그 적용문제에 있어서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현재의 바르샤바 협정 제17조의 '신체적 상해'라는 개념은 '정신적 상해'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조약에서 '신체적 상해'라는 용어는 '상해' 혹은 '건강훼손'이라는 용어로 개정 내지 교체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