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verse sinu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Prediction of Venous Trans-Stenotic Pressure Gradient Using Shape Features Derived From Magnetic Resonance Venography in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Patients

  • Chao Ma;Haoyu Zhu;Shikai Liang;Yuzhou Chang;Dapeng Mo;Chuhan Jiang;Yupeng Z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1호
    • /
    • pp.74-85
    • /
    • 2024
  • Objective: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IIH) is a condition of unknown etiology associated with venous sinus stenosi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agnetic resonance venography (MRV)-based radiomics model for predicting a high trans-stenotic pressure gradient (TPG) in IIH patients diagnosed with venous sinus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05 IIH patients (median age [interquartile range], 35 years [27-42 years]; female:male, 82:23) who underwent MRV and catheter venography complemented by venous manometry. Contrast enhanced-MRV was conducted under 1.5 Tesla system, and the images were reconstructed using a standard algorithm. Shape features were derived from MRV images via the PyRadiomics package and selected by utilizing th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method. A radiomics score for predicting high TPG (≥ 8 mmHg) in IIH patients was formulat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its discrimination performance was assess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A nomogram was constructed by incorporating the radiomics scores and clinical features. Results: Data from 105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distinct datasets for model training (n = 73; 50 and 23 with and without high TPG, respectively) and testing (n = 32; 22 and 10 with and without high TPG, respectively). Three informative shape features were identified in the training datasets: least axis length, sphericity, and maximum three-dimensional diameter. The radiomics score for predicting high TPG in IIH patients demonstrated an AUROC of 0.906 (95% confidence interval, 0.836-0.976) in the training dataset and 0.877 (95% confidence interval, 0.755-0.999) in the test dataset. The nomogram showed good calibration. Conclusion: Our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a novel model for predicting high TPG in IIH patients using radiomics analysis of noninvasive MRV-based shape features. This information may aid clinicians in identifying patients who may benefit from stenting.

한국인 중이강후벽에 관한 형태해부학적 고찰 (An Anatomical Study of the Posterior Tympanum)

  • 양오규;윤강묵;심상열;김영명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7.2-19
    • /
    • 1982
  • 중이 병변에 관한 수술적 처치는 그 병소 부위가 고막에 국한되어 있거나 중이 강 전벽부 및 내면부의 경우 수술시야가 좋아서 그 처치가 용이하며 술후 청력개선 및 치유경과도 만족할만하며 다양한 수술적 처치방법이 연구되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중이강 후벽이나 상고실에 있는 병소의 처리방법에 대하여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으며 그 이유로서는 첫째 수술 시야의 장애, 둘째 안면신경 손상의 위험, 셋째 등골 주변부 병소 조작에 의한 외임프의 유출 및 미로 손상의 위험, 넷째 상고실 부위가 너무 협소하여 수술시 병변 확인이 힘든 경우등을 들수 있다. 특히 Staged operation (단계수술)과 Intact Canal Wall Typanoplasty(외청도 보존형 유양동 삭개술)이 소개된 이후로는 더욱더 중이강후벽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으며, 두개골의 인종적 차이를 감안 할때 한국인에 대한 중이강 후벽의 구조적 연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중이강의 후벽(유돌벽)은 Reichert's 연골에서 기원되며 제 2새궁(Second branchial arch)에서 발생되며 이 후벽의 구조물중 Sinus tympani는 이관의 내피와(endothelial pouch) 중 후낭 (Saccus posticus) 에서 함기화 (pneumatization)된 중이봉소로서 이부위 병변의 제거가 중이수술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이유는 만성중이염에 의해 염증성반응이 오래 지속되면 비 후된 점막에 의해 Sinus tympani가 밀폐되고, 지속되는 자극에 의해 주로 안면신경관의 골성부와 등골 및 후반규관(Posterior Semicircular Canal)의 골성부에 육아조직을 형성하기 쉬울뿐더러 진주종에 의해 이 부위의 침식성 파괴를 이르켜 각각의 조직을 노출시킴으로 인해 중요한 합병증을 초래하기 쉬우며 수술로 인한 중대한 후유증이 병발하기 쉬운 곳이므로 임상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므로 오래 전부터 이곳 병변의 안전한 제거를 위해 여러사람의 끊임없는 연구가 있었다. Amjad (1968), Donaldson (1970)등은 각각 24개, 20개의 측두골 계측을 실시하여 Sinus tympani의 형태 해부하적 구조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Sinus tympani의 크기와 모양은 여러형태로 변형이 많으며, 특히 주위 중요한 조직과 연관성이 많은 Sinus tympani의 가장 은밀한 심부 (Deepest portion)는 거의 대부분 후부로 신전되는 경우의 변형이 많아 주위조직의 손상없이 Sinus tympani의 병변을 제거하기 힘든 형태라는 결론을 내리고 이곳의 수술적 처리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Jako (1965) 등은 Sinus tympani병소의 안전한 제거를 위해 Sinus tympani를 확인할 수 있는 광학거울 (Fine-grade optical mirror)을 이 부위에 넣고 반사시야에서 수술적 처치를 시행할 것을 주장했으나, 수술시의 출혈등에 의한 명료시야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어 널리 시행되지 않았다. Saito(1971)등은 Sinus tympani의 접근방법으로서 종래의 중이강내에서 접근방식 (Tympani approach) 보다 유양동을 통한 접근(mastoid approach)이 보다 편리하고 확실한 방법일 것이라는 생각으로 42개의 측두골에 대한 미세해부학적 계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에서 그는 Sinus tympani의 상부는 안면신경과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 있어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고 후부는 이낭(Otic capsule)에서 발생한 중치밀골(Hard compact bone)로 되어 있으며 안면신경 과 후반규관 사이가 협소하여 수술시 micro-drill burr로서 제거하기가 용이치 않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mastoid approach로는 Sinus tympani 접근이 힘들다는 결론을 지었다. Goodhill (1973)등은 술자의 위치에서 수술의 전 과정을 시행하는 보편적인 방법에서는 Sinus tympani의 병변제거가 힘들므로 술자의 위치의 반대방향에서 현미경적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은밀한 부위의 병변제거가 용이하다는 Circumferential approach 방법을 주장하였으나 수술부위의 감염성이 높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Sinus tympani와 함께 수술시 문제점이 될 수 있는 후벽구조의 일부인 facial recess는 내피와(Endothelial pouch)중 상낭(Saccus superior)과 내낭(Saccus medius)에서 발생한다. 최근 Intact Canal Wall Tympanoplasty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단계수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 수술의 성공여부에 관건이 되는 중이강과 유양동의 통기(Ventilation)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facial recess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Sheehy(1967)등은 facial recess를 개방하는 이유로서는 첫째 facial recess의 병변이 제거되고 둘째 골성고실륜(bony annulus)을 손상시키지 않고 난원창과 중이강 후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셋째 atticotomy를 시행치 않고도 안면신경의 일부와 상고실 (epitympsnum) 을 노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넷째 수술후 유양동의 통기를 유지시키는 Posterior tympanotony를 주장하였다. 중이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려면 중이강후벽의 정확한 형태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이 부위 병변을 제거하는 용이한 접근방법에 대한 술자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므로 이에 저자는 다양한 해부학적 변형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느껴 Sinus tympani와 facial recess를 중심으로 한국인 정상성인의 중이강후벽의 크기와 모양을 계측하였다. 연구대상은 측두골 35개 대상으로 능형융기 (pyramidal eminence) 안면신경, 등골 및 반규관등을 중심으로 주변부 구조의 계측을 시도하였다. 계측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각각의 은밀한 부위에 Elastic impression material 인 PERMLASTIC$^{(R)}$ (type 1 Polysul_fide base class 2 Regular body)을 삽입한뒤 1 시간 경과 후 그 주위에 복잡한 구조가 양각된 주형물을 분리하여 계측을 실시하였다. 각부위와의 거리는 1/20mm까지 측정가능한 부척이 있는 척도계인 Matui$^{(R)}$ caliper를 사용하여 수술현미경하에서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능형융기의 전부에서 Sinus tympani의 후부 및 Sinus tympani의 후부와 상부의 최대 신전 거리는 각각 2.54(1.05~5.40)mm, 3.22(1.25~7.45)mm, 0.67(0.40~l.75)mm 였다. 2) Sinus tympani는 상하경계가 난원창하부에서 정원창상부인 경우가 29예 (82.9 %)로 가장 많았다. 3 ) Sinus tympani의 후부는 심부(Deepest portion)가 ponticulus와 subiculum 사이인 경우가 22예(62.9 %)로 가장 많았다. 4) Facial recess의 침골와(Fossa incudis)로부터 하고실(hypotympanum)까지의 사선거리와 난원창과 정원창사이 중앙부에서의 횡선거리 및 침골와에서의 횡선거리는 각각 8.13 (7.90~9.55)mm 3.00 (2.85~3.45)mm 1,81 (1.40~2.15)mm 였다. 5) 안면신경관의 골결손 (bony dehiscence)은 5예 (14.3 %)에서 있었다. 6) 등골족판(footplate)의 전후거리 및 시상돌기(Cochleariform process)와 정원창까지의 거리는 각각 2.98(2.85~3.05)mm, 1.42 (1.35~l.55)mm, 1.85(1.45~2.10)mm 였다.

  • PDF

실험동물에서 두개강내 정맥동의 부위별 폐쇄가 두개강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ive Obstruction of Intracranial Venous Sinuses on Systemic Arterial Pressure, Cerebral Perfusion Pressure, Intracranial Pressure and Intrasinal Pressure in Cats)

  • 도은식;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75-484
    • /
    • 1993
  • 두개강내 정맥동 주위의 수술시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정맥동을 결찰해야 할 경우 안전한 결찰부위 및 결찰시간을 알기 위해 30마리의 고양이를 각각 5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시상정맥동의 전방 1/3, 중앙 1/3, 후방 1/3과 Torcular Herophili 및 좌, 우 횡행정맥동을 폐쇄시켜 전신동맥압, 뇌관류압, 두개강내압 및 정맥동내압의 폐쇄 전과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시상 정맥동의 경우 전방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중앙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별로는 전신동맥압이 폐쇄후 2분, 4분에 유의한 상승이 있었고 두개강내압이 폐쇄후 l분에서 3분에 걸쳐, 정맥동내압이 1분에서 4분에 증가하였다. 후방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라 전신동맥압의 경우는 폐쇄후 2분, 4분, 6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6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5)를 보였고 두개강내압은 2분에서 7분간 계속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3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정맥동내압은 1분에서 3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1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Torcular Herophili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 별로는 전신동맥압의 경우는 폐쇄후 1분에서 2분, 4분에서 6분까지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폐쇄후 2분에 각각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고 뇌관류압은 폐쇄후 5분, 6분, 7분에 유의한 감소(p<0.05)를 실험군중 처음으로 보였다. 두 개강 내압은 3-6분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6분에 가장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정맥동내압은 7분간 계속 유의한 상승이 있었고 폐쇄후 2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우측 횡행정맥동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별로는 전신동맥압이 폐쇄후 5분에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두개강 내압이 7분간 계속 유의한 상승을 보여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폐쇄후 6분에 가장 현저한 상승(p<0.01)을 보였다. 정맥동내압도 계속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2분에 가장 유의 한 증가(p<0.01)를 나타냈다. 좌측 횡행정맥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 PDF

신증후군 환아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뇌정맥 혈전증 1례 (A Case of Extensive Cerebral Venous Thrombosis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 손창희;이은혜;이주훈;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2호
    • /
    • pp.238-243
    • /
    • 2006
  • Nephrotic syndrome in childhoo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hypercoagulable state and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among which cerebral venous thrombosis is a very rare and serious one, with only a few isolated reports in the literature. A 9-year-old boy with known nephrotic syndrome was admitted due to a relapse with massive proteinuria and generalized edema. He complained of a prolonged frontal headache. The enhanc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showed a high signal in the region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and right transverse sinus consistent with a thrombus. He was managed with steroids, cyclosporine and warfarin. His headache subsided 2 weeks later and proteinuria resolved 1 month later. An MRI 2 months later was normal. We describe this case and review the literatur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is potentially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 and initiating anticoagulation therapy.

  • PDF

좌측 가로정맥동과 에스자정맥동의 부재를 동반한 좌측 속경정맥의 선천성 폐쇄 (Congenital Atresia of the Left Internal Jugular Vein with Absence of the Left Transverse Sinus and Sigmoid Sinus)

  • 조영주;이경석;황병언;양윤수;홍기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6-229
    • /
    • 2011
  • Knowledge of variations of veins of head and neck in relation to internal jugular, external jugular, anterior jugular and facial veins is important to surgeons doing head and neck surgery as well as to radiologists doing catheterization and to clinicians in general. In the current case, congenital atresia of the left internal jugular vein is reported. During neck dissection, superficial veins of neck and left external jugular vein was engorged and the left internal jugular vein was look like a fibrotic band. The left common carotid artery and vagus nerve was normal.

2D 혈관조영술에서 직접 측정한 혈관 직경과 MR 영상에서 단면적 기반 환산 직경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rectly Measured Diameter in 2D Angiography and Cross-Sectional Area-Converted Diameter in MR Image)

  • 이기백;김미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5호
    • /
    • pp.427-43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diameters measured directly from the coronal plane or sagittal plane of 2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the cross-sectional area-converted diameters calculated from contrast-enhanced MR (CE-MR) imaging.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20 patients who underwent both 2D DSA and CE-MR imaging. Firstly, the venous diameters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SSS) and transverse sinus (TS) were directly measured from 2D DSA. Subsequently, the axial planes for SSS diameter and the sagittal plane for TS in CE-MR imaging were utilized to calculate cross-sectional area-based converted diameters. The numerical values obtained from 2D DSA and CE-MR imaging were compared pairwise at each location. For SSS, the diameter measured by 2D DSA was 27% larger than the conversion-based diameter from CE-MR imaging (9.8±1.4 mm vs. 7.1±1.3 mm, P<0.05). Similarly, for the right TS, the difference was 16% (8.8±3.2 mm vs. 7.4±2.0 mm, P<0.05), and for the left TS, the difference was 22% (8.4±2.8 mm vs. 6.6±1.3 mm, P<0.05). In conclusion, the diameter measured directly in conventional 2D DSA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converted based on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size of the stent, it is crucial to make precise determinations while keeping this fact in mind.

A Case of Intraosseo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s Involving Diploic Vein Treated with Transarterial Onyx Embolization

  • Shim, Jae-Hyun;Yoon, Seok-Mann;Shim, Jai-Joon;Kim, Ra-S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3호
    • /
    • pp.260-263
    • /
    • 2011
  • Intracranial dural arteriovenous fistulas (DAVFs) are abnormal arteriovenous connections that lie within the dura. Intraosseous DAVFs involving diploic venous system are extremely rare. A 46-year-old woman presented with headache and right pulsatile tinnitus for three weeks. The tinnitus started after yelling.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revealed DAVF within the basal portion of right parietal bone along the middle meningeal artery (MMA) groove. The fistula was fed by frontal branch of right MMA and drained into right transverse sigmoid sinus junction through dilated middle meningeal vein. The intraosseous DAVF involving diploic vein was successfully obliterated with Onyx embolization via transarterial route.

우관상동맥 침범한 급성 대동맥 박리증 치험 1례 (Acute Type 1 Aortic Dissection Involving Right Coronary Artery)

  • 민경석;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88-192
    • /
    • 1995
  • A 50 year old man with acute aortic dissection DeBakey type I, involving right coronary artery and aortic valve, underwent replacement of the ascending aorta and aorto-right coronary bypass grafting. The operative findings showed a large transverse intimal tear was at about 4cm above the aortic valve. The dissection extended out into the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And we found that the right coronary artery originated from the left sinus of Valsalva, run transversally in the aortic wall, with partial rupture. Postoperatively he had no ischemic cardiac symptoms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He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9th day with good result.

  • PDF

선천성 횡격막 무발육증 수술치험 1례 (Congenital Agenesis of Left Diaphragm: Surgical Repair - Report of a Case -)

  • 이종락;이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238-1241
    • /
    • 1991
  • Agenesis of the hemidiaphragm is unusual congenital anomaly associated with a high mortality. A case of congenital agenesis of left diaphragm was experienced in 22-day old male patient who was dyspneic and cyanotic on admission. Emergency exploration through the left eight interspace thoracotomy showed complete agenesis of the left diaphragm. The stomach and transverse colon covered with peritoneal sac was partially herniated into left hemithorax. The left lung was slightly hypoplastic. This neonate had no intestinal malrotation. The defect was reconstructed using Dacron graft. Dacron patch was sutured with interrupted Ethibond to chest wall anteriorly, esophagus aorta and costomediastinal sinus medially, and the tenth rib posterolaterally. Postoperatively, Extubation was performed at 1st day, but some respiratory difficulty was noted. Severe dyspnea was occurred at postoperative 11th day and so reintubation was done. Intermittently ventilatory support and intravenous alimentation were continued for 9 days after that. Thereafter he had no respiratory problems at discharge.

  • PDF

질자궁수종 신생아 2례 (Two Cases of Hydrometrocolpos in Neonate)

  • 박민영;손보라;김소영;김영유;김현희;이원배;성인경;전정식;임수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2호
    • /
    • pp.278-283
    • /
    • 2002
  • 저자들은 출생시 복강내 큰낭종성 종괴에 의한 복부팽만을 주소로 입원한 환아들에서 초음파검사,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형광경 등을 이용한 조영술로 질자궁수종과 신수종을 비롯한 동반된 여러 합병증을 진단하였으며 경피적 도관을 질자궁수종내에 삽입, 유치함으로써 지속적인 배액을 유지하여 감압 치료를 하면서 외래에서 추적 관찰 중으로 8개월 현재 8.15 kg으로 양호한 건강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질 재건술을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