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thoracic localiz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Percutaneous Electromagnetic Transthoracic Nodule Localization for Ground Glass Nodules

  • Song, Seung Hwan;Lee, Hyun Soo;Moon, Duk Hwan;Lee, Sungs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94-499
    • /
    • 2021
  • Background: A recent increase in the incidental detection of ground glass nodules (GGNs) has created a need for improved diagnostic accuracy in screening for malignancies. However, surgical diagnosis remains challenging, especially vi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Herein, we present the efficacy of a novel electrical navigation system for perioperative percutaneous transthoracic nodule localization. Methods: Eighteen patients with GGNs who underwent electromagnetic navigated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localization (ETTNL), followed by 1-stage diagnostic wedge resections via VAT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0,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on patient characteristics, nodules, procedures, and pathological diagnoses were collected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f the 18 nodules, 17 were successfully localized. Nine nodules were pure GGNs, and the remaining 9 were part-solid GGNs. The median nodule size was 9.0 mm (range, 4.0-20.0 mm); and the median depth from the visceral pleura was 5.2 mm (range, 0.0-14.4 mm). The median procedure time was 10 minutes (range, 7-20 minutes). The final pathologic results showed benign lesions in 3 cases and malignant lesions in 15 cases. Conclusion: Perioperative ETTNL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localization of GGNs, providing guidance for a 1-stage VATS procedure.

흉추부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1예 - 증례보고 - (A Case of Giant-cell Tumor of the Thoracic Spine)

  • 조준호;유수일;권영대;이용성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7호
    • /
    • pp.940-944
    • /
    • 2000
  • The giant-cell tumor is uncommon. It occurs in the long bones and vertebral localization is much less common, particularly in thoracic spine. We present a case of a 37-year-old man suffering from severe back pain. Affected vertebral bodies were removed by transthoracic approach and the spine was reconstructed with iliac bone autografts and internal fixation device(Kaneda) between T 8 and T 11. Histologoical diagnosis was giant-cell tumor, and pertinent literature was reviewed.

  • PDF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적 가치 -병변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을 포함한 연구-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ncluding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Tumor-bronchus Relationship-)

  • 강태경;차승익;박재용;채상철;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38-447
    • /
    • 2000
  • 연구배경 : 흉부 방사선사진상 국한성 혹은 미만성 음영을 보이는 환자로 비관혈적인 통상의 검사로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의 차이, 폐암의외 경우 세포형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병변의 위치결정에 있어 흉부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경기관지폐생검의 일치율, 종양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등을 조사하여 시술 전에 폐질환의 진단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진단적 접근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 하였던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278예 가운데 116예에서 경기관지폐생검으로 진단이 가능하였고 경피침생검 등의 다른 방법으로 진단된 76예를 포함하여 총 192에서 확진이 되었다. 2) 확진된 192예 가운데 악성종양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64.7%로 양성질환의 53.9%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9).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된 110예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선암과 소세포암이 나머지 세포형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다(p<0.01). 양성질환의 경우 결핵의 양성질환에 비해 높았다(p<0.05). 3) 폐야를 내측 1/3, 중간 1/3, 외측 1/3 그리고 상, 중, 하 폐야의 3구역으로 나누었을 때의 진단율 그리고 폐문 혹은 기관분기부(carina)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진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진단된 192예에서 병변의 양상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양성질환의 경우 병변의 양상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악성종양회 경우에는 미만성 및 다발성 결절 병변의 진단율이 국한성 병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병변의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크기가 클수록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6). 6) 병변의 위치판정시 흉부전산화단충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높은 일치울을 보였다(r=0.994, p<0.01). 7) 기관지-종피의 상관관계에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을 비교하면 종괴와 기관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VII형을 제외하고는 기관지가 종괴와 만나는 부위에서 단절되는 I형과 기관지가 종괴내로 일부가 틀어가는 II형에 대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폐병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전산화단층촬영과 경기관지폐생검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전산화단층촬영상 '기관지정후'(bronchus sign)에 해당되는 I형과 II형에서 진단율이 높았다. 기관지와 종괴의 해부학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thin section 전산화단층촬영이 도용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기관지폐생검을 이용해 병변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침생검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