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ort Zone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3초

반응존 공법 적용을 위한 나노영가철의 대수층 내 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Transport of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in an Aquifer for Application of Reactive Zone Technology)

  • 김철용;안준영;휭 뚜안;김홍석;전성천;황인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109-118
    • /
    • 2013
  •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 of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nZVI) in an aquifer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an application of nZVI-based reactive zone technology. Main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was north. Preferential flow paths of the groundwater identified by natural gradient tracer test were shown northeast and northwest. The highest groundwater velocity was $4.86{\times}10^{-5}$ m/s toward northwest. When the breakthrough curves obtained from the gravity injection of nZVI were compared with the tracer curves, the transport of nZVI was retarded and retardation factors were 1.17 and 1.34 at monitoring wells located on the northeast and northwest, respectively. The ratios of the amount of nZVI delivered to the amount of tracer delivered at the two wells mentioned above were 24 and 28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well on the main flow direction, respectively. Attachment efficiency based on a filtration theory was $4.08{\times}10^{-2}$ along the northwest direction that was the main migration route of nZVI. Our results, compared to attachment efficiencies obtained in other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mobility of nZVI was higher than that of result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regardless of large iron particle sizes of the current study. Based on distribution of nZVI estimated by the attachment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nZVI present within 1.05 m from injection well could remove 99% of TCE within 6 months.

The Records of Origin and Transport of Sedimen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Yellow Sea

  • Yi, Hi-Il;Chun, Jong-Hwa;Shin, Im-C.;Shin, Dong-Hyeok;Jou, Hye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1호
    • /
    • pp.96-106
    • /
    • 2004
  • A total of 116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on the Yellow Sea and analyzed for grain size and geochemical elements in order to interpret the present sediment transportation. Thirty-nine cores and 3,070 line-km shallow seismic profiles are analyzed for sedimentary records of Yellow Sea in the past. Results show that the boundary of sediment transport between Korean side and Chinese side is about between $123^{\circ}E$ and $124^{\circ}E$. The similar result is produced from Shi et al. (in this publication). Two cyclonic patterns of surface sediments are recognized in the northeastern and southwestern Yellow Sea, while the strong front zone of the mud patch and sandy sediments are found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coasts). The formation of fine-particle sediment packages, called for Northwest Mudbelt Deposit (NWMD), Hucksan Mudbelt Deposit (HSMD) and Jeju Mudbelt Deposit (JJMD), are resulted from eddies (gyres) of water circulations in the Yellow Sea. NWMD has been formed by cyclonic (anticlockwise) eddy. NWMD is composed of thick, homogeneous, relatively semi-consolidated gray clay-dominated deposit. On the other hand, HSMD and JJMD are formed by anticyclonic (clockwise) eddies. They are thick, homogeneous, organic-rich gray, silt-dominated deposit. Both core and surface sediments show that the middle zone across Chinese and Korean side contains bimodal frequency of grain-size distribution, indicating that two different transport mechanisms exist. These mud packages are surrounded by sand deposits from both Korea and China seas, indicating that Yellow Sea, which is the shallow sea and epicontinental shelf, is formed mostly by sand deposits including relict sands. The seismic profiles show such as small erosional/non-depositional channels, sand-ridges and sand-waves, Pleistocene-channelfilled deposits, a series of channels in the N-S major channel system, and thick Holocene sediment package, indicating that more complex sedimentary history exists in the Yellow Sea.

PVT법을 이용한 (011)면으로 성장된 AlN 단결정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wing of bulk AlN single crystals grown having a (011) growth face of by PVT method)

  • 강승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2-34
    • /
    • 2015
  • PVT(Physical vapor transport)법으로 벌크형 종자 결정을 이용하여 AlN 단결정을 성장 시켰다. 성장과정은 고주파 유도 가열 코일을 이용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카본 도가니의 하단에 원료 분말을 장입하고 종자 결정은 도가니의 상부에 부착하였다. 성장 조건으로 온도는 $2000{\sim}2100^{\circ}C$ 사이에서 이루어 졌으며 챔버내 압은 $1{\times}10^{-1}{\sim}200$ Torr로 유지하였다. 또한 가열 위치를 결정짓는 hot-zone 조절이 성장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수정되었다. 이러한 조건하에 약 600시간 성장시킨 결과로 장축 직경 17 mm 두께 7 mm의 AlN 단결정이 얻어졌으며, Laue X-Ray 장치을 이용하여 성장된 결정의 방향을 조사한 결과 R방향[011]으로 성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치조골신장 부위에 식립된 임프란트 주위의 골형성에 관한 연구 (A HISTOMORPHOMETRIC STUDY OF BONE FORMATION AROUND IMPLANTS PLACED AFTER VERTICAL ALVEOLAR DISTRACTION IN THE DOG MEDEL)

  • 박종오;류동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4호
    • /
    • pp.312-321
    • /
    • 2007
  • Purpose: Distraction osteogenesis has been applied to the maxillofacial implantology and good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However, histologic studies of implants placement on distraction osteogenesis of atrophic alveolar ridges are scarce.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bone formation between in the transport part and in the distraction part by histomorphometric analysis. Materials & methods: Three adult beagle dogs were served as experimental subjects. The 2 premolars and 1st molar were extracted on the Lt. side of mandible in each beagle dog. After one month later, osteotomy was performed and distraction device was adapted. Distraction was performed with gradual incremental separation of two bone pieces at a rate of 1.0mm per day for 5 days. During consolidation phase, new bone was formed in the distraction zone between the separated bone pieces. 5 weeks after distraction phase, 3 implants were placed in each beagle dog. The implants were inserted through transport part and distraction part and inferior basal bone.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weeks, 4 weeks, and 12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BIC and BA of implants on distraction part and transport part were measured histomorphometrically. Results: BIC, BA increased after implant placement as time goes by passes and new bone formation was slightly higher in transport part than in distraction part at 2 weeks,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At 12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BIC, BA of were 74%, 61% in transport part and 77%, 59% in distraction part, therefore there were no difference in BIC and BA between transport part and distraction part at 12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ransport of Urea in Waterlogged Soil Column: Experimental Evidence and Modeling Approach Using WAVE Model

  • Yoo, Sun-Ho;Park, Jung-Geun;Lee, Sang-Mo;Han, Gwang-Hyun;Han, Kyung-Hw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25-30
    • /
    • 2000
  • The main form of nitrogen fertilizer applied to lowland rice is u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its transport in waterlogged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ansport of urea in waterlogged soil column using WAVE (simulation of the substances Water and Agrochemicals in the soil, crop and Vadose Environment) model which includes the parameters for urea adsorption and hydrolysis, The adsorption distribution coefficient and hydrolysis rate of urea were measured by batch experiments. A transport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soil column which was pre-incubated for 45 days under flooded condition. The urea hydrolysis rate (k) was $0.073h^{-1}$. Only 5% of the applied urea remained in soil column at 4 days after urea application.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of urea calculated from adsorption isotherm was $0.21Lkg^{-1}$, so it was assumed that urea that urea was a weak-adsorbing material.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urea was appeared at the convective water front because transport of mobile and weak-adsorbing chemicals, such as urea, is dependent on water convective flow. The urea moved down to 11 cm depth only for 2 days after application,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nhydrolyzed urea could move out of the root zone and not be available for crops. A simulated urea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waterlogged soil column using WAVE model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measur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is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same hydrolysis rate applied to all soil depths and overestimated hydrodynamic dispersion coefficien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transport of urea in waterlogged soil column could be predict with WAVE model using urea hydrolysis rate (k) and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which could be measured easily from a batch experiment.

  • PDF

빅데이터 기반 가축관련 운송차량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가축전염병 노출수준 평가 (Assessment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Exposure by Analyzing the Livestock Transport Vehicle's Trajectory Using Big Data)

  • 정희현;홍정열;박동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4-143
    • /
    • 2020
  • 아프리카 돼지 열병의 세계적인 확산과 함께 가축전염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축관련 운송차량은 가축전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이동성과 관련한 실증적인 방역절차와 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가축방역시스템의 축산시설 방문이력 데이터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DTG(Digital Tachograph)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축관련 운송차량이 이용한 도로이용정보를 추출하고, 각 차량의 링크별 점유시간을 집계하여 노출도 지표로 제시하였다. 총 274,519행의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통행궤적이 추출되었으며 링크별, 존별 노출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사전 모니터링 및 사후 방역방침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지명에 따른 공간적 영향권 기준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 도로표지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 (A Methodology for Standard Establishment of Spatial Impact Zone according to Place Names of Road Sign in Urban Regions - Using the Road Sign Management System Database -)

  • 정인택;정규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
    • /
    • 2016
  • 도로표지 안내지명은 운전자의 경로안내를 목적으로 도로표지에 사용되는 행정구역명, 시설물명, 도로명 등을 말하며, 도로표지 간의 연계성 확보를 위하여 안내지명의 선정방법과 공간적 영향권에 대한 기준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도시부 주요시설물에 대한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기준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 주요 시설물의 신규건립 또는 이전으로 인한 해당 주변 도로표지들의 신규 설치 및 안내지명 정비 범위를 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정부 3.0의 빅데이터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현재 운영 중인 도로표지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규모에 따른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상적인 설문조사 방법이 아닌 도로표지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공간적 영향권 기준 설정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시청"이라는 주요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국 84개 도시를 대상으로 해당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지지역에서의 안전운전 지원을 위한 경보정보 설계 (Amber Information Design for Supporting Safe-Driving Under Local Road in Small-scale Area)

  • 문학룡;류승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8-48
    • /
    • 2010
  • 이상기후는 도로교통 사고 위협요소로써 빈번하게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도로교통에서 기상변화 또는 재해에 의한 영향은 장대교량, 터널, 사면 및 결빙 지역에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관심 있는 관리가 필요하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도 집중적인 도로 관리와 도로 기상 정보 제공 및 조기 경보, 도로 순찰, 교통통제와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도로의 눈과 결빙은 제설로 위험을 줄일 수는 있으나, 강풍은 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상 정보와 기후, 재해 정보를 활용하여 국지 지역에서 안전운전을 위한 경보 정보를 설계를 하고자 한다. 극한 기상에 노출된 운전자를 위한 최상의 경보 정보 설계는 도로 상황 감시 개선, 도로 기상정보 감시, 정확한 사용자 정보전달들이 될 것이며, 또한 바람 및 재해 상황에 대한 통계, 표면 조건 통계, 차종 및 차종에 따른 바람에 의한 사고 통계와 조기 경보 정책과 교육들도 이를 위해서는 수반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딜레마 구간 최소화를 위한 감응식 신호제어전략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ctuated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to Minimize Dilemma Zone)

  • 김영찬;허정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8-69
    • /
    • 2002
  • 지방부 도로의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충돌 $\cdot$추돌사고가 차지하고 있다. 교통 사고 감소와 소통 증진을 위해 지방부 도로 신호제어의 고급화 및 딜레마 구간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딜레마 구간 내 차량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감응제어(actuated control)의 발전된 형태인 Volume-Density Control과 일본의 R형 검지기를 이용한 딜레마 구간 제어, 미국의 EC-DC Control을 딜레마 구간 제어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제어전략의 효과분석은 최대녹색시간에 따른 분석, v/c 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효과척도로는 안전 측면에서 딜레마 구간 내 차량 수, Max-Out Probability, 소통 측면에서 평균정지지체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국도상의 신호교차로를 효과분석 대상 교차로로 선정하여 딜레마 구간 제어 속도 범위를 설정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뮬레이터의 차량발생 기본 자료로 적용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평가 결과 일본의 딜레마 구간 제어전략이 안전 측면에서, 미국의 EC-DC Control 이 소통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신호제어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일본의 제어방식과 EC-BC Control의 정지선 검지기의 기능을 혼합한 것으로 안전 및 소통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차량 비에 따른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도로 용량 추정 (Estimation of Road Capacity at Two-Lane Freeway Work Zones Considering the Rate of Heavy Vehicles)

  • 고은정;김형주;박신형;장기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8-61
    • /
    • 2020
  • 본 연구는 2개 차로 중 1개 차로를 차단하고 공사를 시행하는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중차량비에 따른 도로 용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동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 공사구간의 CCTV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고속도로 상류부 지점의 정체를 관찰하였다. 상류부 정체 이후 차로차단으로 인해 생성되는 병목구간의 통과 교통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고속도로 하류부 지점의 통과 교통량을 분석하였다. 공사구간의 도로 용량 추정을 위해 관찰된 차두간격을 활용하여 이론적인 차종별 차두간격의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적합성 검정을 통해 도로 용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사구간을 통과하는 중차량 비에 따라 적합한 용량 값과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추정된 도로 용량은 영동고속도로의 경우 중차량의 비에 따라 1,181~1,422pcphpl,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경우 1,475~1,589pcphpl로 산정되었으며 중차량의 비가 증가할수록 도로 용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편도 2차로 차단 공사를 수행하는 공사구간에 대한 적합한 도로 용량 추정과 효율적인 교통운영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