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mora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대퇴절단인의 보행 시 하지 내 협응성 평가 (Evaluation of Intralimb Coordination in Transfemoral Amputee during Level Walking)

  • 장윤희;정보라;강성재;류제청;문무성;고창용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7-153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보행 시 대퇴절단인의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협응을 평가하고, 건측과 의지측의 대칭성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7명의 대퇴절단인($46.4{\pm}10.7$세, $174.8{\pm}3.5cm$, $78.3{\pm}9.7kg$)와 7명의 비절단인($24.0{\pm}4.5$세, $174.5{\pm}5.9cm$, $66.9{\pm}9.4kg$)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편한 속도로 10m 평지보행을 하였으며, 이때 보행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각도와 각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입각기와 유각기의 연속상대위상(CRP), CRP의 표준편차(CRP_SD) 및 이들의 대칭지수(SI)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비절단인의 경우 CRP 및 CRP_SD는 좌우가 차이가 없었지만 (모두 p>0.05), 대퇴절단인의 경우는 입각기의 CRP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두 p<0.05). 또한 비절단인과 대퇴절단인간의 SI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ll p<0.05). 결론적으로 대퇴절단인의 경우 하지의 협응이 변화되며, 건측과 의지측의 좌우 비대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단 보행을 위한 능동형 대퇴의지 무릎 관절의 설계 및 최적화 (Design and Optimization of an Knee Joint of Fully-active Transfemoral Prosthesis for Stair Walking)

  • 안형종;이광희;홍이;이철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2016
  • 본 논문은 계단 보행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는 능동형 대퇴의지를 설계하고 구조 최적화를 통해 경량화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단 보행 시 무릎에 걸리는 토크는 일반 보행에 비해 크므로 능동형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낼 수 있는 동력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의지의 무게는 사용자의 착용감과 피로감과 연관이 되므로 의지의 경량화 설계 또한 필수적이다. 계단 보행 시 필요한 토크를 만들어내고 경량화와 소형화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플랫형 BLDC 모터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감속 장치를 이용해 필요 토크를 생성하고 작동각도 및 속도를 만족할 수 있게 감속비를 선정하였다. 구조 및 구동부 설계가 완료된 후 최적화를 통해 구조 경량화를 수행하였다. 계단 보행 시 나타나는 하중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해석 및 실험을 통해 최적화된 구조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위상 최적화와 형상 최적화를 통하여 무게를 감량하였으며, 공간 효율이 좋아졌다.

입각기.유각기 동시제어식 대퇴의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nce and Swing Phase Control Transfemoral Prosthesis)

  • 김신기;김경훈;문무성;이순걸;백영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4호
    • /
    • pp.685-694
    • /
    • 2001
  • In this study, a transfemoral prosthesis system of which both stance phase and swing phase are controllable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covery of the biomechanical function of the amputated leg. It consists of a 5 bar link mechanism, a hydraulic-rubber knee damper for stance phase control and a pneumatic cylinder controlled via a microprocessor for stance phase control.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knee damper which absorbs the impact energy generated at the heel contact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ic cylinder essential for the speed adaptation of the prosthesis during swing phase were also studied for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 prosthesis was subject to the clinical tests, and the gait characteristics obtained were very close to those of normal subjects. The stance and swing controlled prosthesis that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good stability during the stance phase and showed good controllability during the swing phase.

입각기와 유각기 제어 대퇴의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nce & Swing Phase Control Transfemoral Prosthesis)

  • 김신기;김종권;홍정화;김경훈;문무성;이순걸;백영남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504-509
    • /
    • 2000
  • In this study, a transfemoral prosthesis system of which stance phase and swing phase are controlled during walking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covery of the biomechanical function of the amputated leg. It consists of a 5 bar link mechanism, a hydraulic-rubber knee damper for stance phase control and a pneumatic cylinder controlled via a microprocessor for stance phase control.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 of the knee damper which absorbs the impact energy generated at the heel contact w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ic cylinder essential for the speed adaptation of the prosthesis during swing phase was also studied for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 prosthesis was subject to the clinical test ant the gait characteristics obtained were very close to those of normal. The stance and swing controlled prosthesis that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good stability during the stance phase and showed good controllability during the swing phase.

  • PDF

Renal Subcapsular Hematoma after Percutaneous Transfemoral Angiography

  • Yi, Jin-Seok;Lee, Hyung-Jin;Lee, Hong-Jae;Yang, Ji-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5권2호
    • /
    • pp.96-98
    • /
    • 2014
  •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angiography include hematoma, pseudoaneurysm, arteriovenous fistula, thromboembolism, arterial laceration and infection. Hematomas may occur in the groin, thigh, retroperitoneal, intraperitoneal, or abdominal wall. A 54-year-old female underwent percutaneous transfemoral angi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cerebral aneurysm. Renal subcapsular hematoma developed 3 hours after the procedure. Renal subcapsular hematoma after percutaneous angiography is very rare.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causes of renal subcapsular hematoma. To avoid this rare complication, we need to perform guide-wire passage carefu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cedure under full visual monitoring.

동맥관 개존증에 대한 비개흉적 폐쇄술: 6례 치험 보고 (Transfemoral plug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Experiences in 6 consecutive cases treated without thoracotomy)

  • 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42-548
    • /
    • 1985
  • In 1966 Porstmann was the first to successfully apply a new method by which a PDA was closed by a Plug transported by catheters through the femoral artery. We Successfully closed the isolated PDA in 6 consecutive patients using the transfemoral catheter method. To Perform this technique more safely and reliably, some instrumental and technical improvements was made. The Indications for this method have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cylindrical or window Type ductus as well as the conical-shaped ductus. Classification into three Group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y Angiography has been useful in selecting the shape of the closing plug. Whenever feasible, we consider the catheter technique to be the method of choice to close the ductus.

  • PDF

5축 링크를 이용한 입각기 제어 대퇴의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nce Phase Control Transfemoral Prosthesis Using the 5-Axes Link)

  • 김신기;홍정화;김경훈;문무성;이순걸;백영남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퇴부가 절단된 다리의 생체 역학적 기능을 복구할 수 있게 하는 의지의 개발을 위하여 5축 링크, 슬관절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보행시 입각기를 제어할 수 있는 대퇴 의지 시스템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입각기시 대퇴의지와 지면간 접촉 중 충격 에너지 흡수를 하는 슬관절 완충장치의 기계적 특성 및 거동을 분석하였다. 임상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대퇴의지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대퇴 절단 피검자들의 보행특성은 정상인의 보행에 근접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입각기 대퇴의지는 입각기시 현저한 보행 안전성을 보였다.

  • PDF

능동형 대퇴의지 시스템의 설계 및 최적화 연구 (Design and Optimization of Active Transfemoral Prosthesis System)

  • 정진호;이광희;이철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83-28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능동형 대퇴의지 시스템의 설계 및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능동형 대퇴의지 시스템은 무릎부의 1 자유도를 통해 슬관절의 움직임을 모사하는데, 실제 다리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므로 사람의 다리 무게와 최대한 유사해야 하며, 경량화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3-링크 구조의 능동형 의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어 구동 방식의 능동형 대퇴의지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고, 사용자의 만족감 향상 및 피로도 저감을 위해 최적화를 통한 경량화를 진행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응력 및 변위 특성을 분석하고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능동형 의지 시스템이 사용자의 보행 의도에 맞추어 작동하기 위해 의지의 인공 발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보행시 발의 앞, 뒷부분에 각기 다르게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 보행 주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스트레인 게이지는 미세한 변형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적절한 부착위치를 결정하고, 실제 제작 및 실험을 통해 안정성 및 보행주기 판단 여부를 검증한다.

  • PDF

발목관절 조절각도가 절단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amputee gait by the ankle joint alignment)

  • 김영호;양길태;임송학;장윤희;문무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9-372
    • /
    • 1997
  • Socket pressure distributions with gait analyses of a transfemoral and a transtibial prostheses were measured in order to assess an optimal socket fitting and unction. Ankle joint was aligned by the neutral and the dorsi/plantar flexed positions. Compared to dorsi and plantar flexed positions of ankle joint, cadence and walking speed increased with the neutral ankle joint alignment. Other gait parameters were close to the normative data with the neutral ankle joint alignment. For the transfemoral amputee, dorsiflexed alignment of the ankle joint created high pressure on the lateral aspect of the socket, on the other hand, plantarflexed alignment resulted in increased pressure on the medial aspect of the socket. For the transtibial amputee, dorsiflexed alignment of the ankle resulted in high pressure on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socket during mid-stance, but plantarflexion of the ankle joint showed slight increases in pressure at the same location in the socket.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malalignment of a prosthesis results in localized increasing pressure within the socket. Proper alignment of the prosthesis is required in order to acquire an appropriate socket-limb interface as well as the proper gait.

  • PDF